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Article ]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Vol. 39, No. 4, pp.1-20
ISSN: 1229-7836 (Print) 2713-6949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1 Oct 2022
Received 26 Aug 2022 Revised 11 Oct 2022 Accepted 24 Oct 2022
DOI: https://doi.org/10.21539/Ksds.2022.39.4.1

PBL을 적용한 대학 무용전공 수업 사례연구

윤혜선*
*동덕여자대학교 공연예술대학 무용과 부교수 dasoma40@naver.com
A Case Study of PBL Applied University Dance Major Class
Hye-Sun Yoon*
*Associate Professor, College of Performing Arts, Department of Dance, Dongduk Women's Univ


CopyrightⒸ 2022 by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PBL(Problem-Based Learning)을 적용한 대학 무용전공 수업 사례연구를 통해 PBL 운영방법과 학습효과 및 학습자 평가 결과를 분석함으로써 대학 무용전공 수업에서 PBL의 적용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2022년도 1학기에 수도권 D여자대학교 무용과의‘무용교육 프로그램 개발’교과목을 수강하는 무용전공자 61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이 연구에서 PBL 운영방법은 D여자대학교 CTL의 PBL 수업 개발 지원 시스템을 기반으로 설계하여 15주 수업 중 8주를 PBL 학습과정으로 구성하였고, PBL 모듈에 따른 문제를 개발하였다. PBL 학습과정은 ‘문제 만나기’, ‘문제해결 계획 세우기’, ‘탐색 및 재탐색하기’, ‘해결책 고안하기’, ‘발표 및 평가하기’의 단계로 구성하였다. 또한 이 연구에서 PBL 적용 무용 전공 수업에 대한 학습효과를 탐색하기 위해 자기평가 설문과 성찰일지의 내용을 분석하였고, 학습자 평가에 대해 탐색하고자 PBL 수업평가와 수업만족도 설문 결과를 취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PBL 학습효과는 ‘학습역량 향상’, ‘상호작용과 협동능력 향상’, ‘창의적 문제해결력 & 사고력 향상’, ‘무용교육 현장 실무 역량 향상’에 대해 확인할 수 있었고, PBL에 대한 학습자 평가에서도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평가 결과를 확인함으로써 대학 무용 전공 수업에서 PBL의 적용 가능성을 탐색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시대적 요구에 부합하는 창의적인 무용인재 양성과 대학 무용교육의 질적 개선을 위한 차원에서 PBL의 효과적인 적용방안을 모색하는데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by analyzing the PBL(Problem-Based Learning) operation method, learning effect, and learner assessment results through a case study of a dance major at PBL applied university. The purpose was to explore the applicability of PBL in a university dance major class.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61 dance majors who took the ‘Dance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course in the first semester of 2022 offered in the Department of Dance at D Women’s University. In this study, the PBL operation method was designed based on the PBL class development support system from D Women's University CTL in which 8 out of 15 classes were composed of PBL. A problem was developed according to the PBL module. The PBL course consists of ‘meeting a problem’, ‘making a problem-solving plan’, ‘exploring and re-exploring’, ‘devising a solution’, and ‘presentation and assessment’. Also, in this study, the contents of a self-assessment questionnaire and journal were analyzed to explore the learning effect of the PBL applied dance major class. In order to explore learner assessment, the results of the PBL class evaluation and class satisfaction questionnaire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s a result, the PBL learning effect was confirmed as 'improvement of learning competency', 'improvement of interaction and cooperation', 'improvement of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 thinking ability', and 'improvement of practical competency in dance education'. In the learner assessment of PBL, overall positive results were confirmed which suggests the applicability of PBL in university dance major classes.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find effective ways to apply PBL in terms of educating creative dance talents that meet the needs of the times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university dance education.

Keywords:

dance major, dance education, PBL, problem-base learning, case study

키워드:

무용전공, 무용교육, 문제중심학습, 사례연구

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2021년도 동덕여자대학교 학술연구비 지원에 의하여 수행된 것임

References

  • 고현정(2017). 무용의 앎의 적용 공간 고찰-영국대학 무용교과목을 중심으로. 한국무용교육학회지, 28(4), 21-40
  • 금혜진(2019). PBL 우수 사례자로 선정된 교수들의 수업운영 전략 탐색. 융합정보논문지, 9(10), 163-169.
  • 김경화(2017). PBL 수업적용에 따른 학습 성과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7(12), 191-201.
  • 김병길(2013). 대학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 교육에서 문제중심학습(PBL) 적용 방안. 열린교육연구, 2(2), 53-70.
  • 김기화(2011). 창의적 무용교육과 문제중심학습(PBL). 한국무용연구, 29(2), 29-50.
  • 김예진, 윤혜선(2021). 문화예술교육사 현장실습 과정에 대한 무용전공자의 경험 연구, 한국무용과학회지, 38(2). 29-47.
  • 김지영, 김은혜, 홍애령(2019). 문제중심학습(PBL)의 무용수업을 위한 프로토타입 개발: 미래사회 대비 대학무용의 변혁적 교육. 한국무용과학회지, 19(1), 29-47.
  • 김태완(2011). 21세기 창의적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의 미래전략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 김향자, 김선희, 김희성, 송수민(2014). PBL(Problem-Based Learning)수업의 학습효과 분석. 열린부모교육연구, 6(1), 1-20.
  • 김혜성(2013). 예비 무용교사들의 움직임교육 수업향상을 위한 PBL 수업 모형의 개발과 적용. 한국무용연구, 31(3). 111-149.
  • 박현주(2021). 대학교 무용교육의 역할과 방향. 영남춤학회지, 9(3), 137-159.
  • 박재우, 김동학(2018). 체육대학 이론수업에 대한 PBL 기반 수업 적용가능성 탐색. 한국체육학회지, 57(4), 177-193.
  • 박혜원 역.(2018). 크리에이티브 ‘돌에서 칼날을 떠올린 순간’(Agustin Fuentes 지음). 서울: 청림출판(주)
  • 백현수, 이예순, 김아영(2012). 한국 민속무용 수업과 PBL, 한국무용연구, 30(1), 1-19.
  • 소현주(2017). 국내 무용분야의 창의·교육 연구 동향 분석. 한국무용연구회 국제학술발표논문집(N/A), 2017, 33-36.
  • 신희선(2011). 문제중심학습(PBL)을 적용한 의사소통교육 사례연구. 한국교육포럼(아시아태평양교육학회), 한국교육논단, 10(3), 137-169.
  • 오레지나(2013). 대학무용 교육역량 강화를 위한 특성화 방향 연구, 한국무용교육학회지, 24(2), 1-12.
  • 왕량(2022). PBL 교육모델이 일반대학교 무용창작 교육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신한대학교 대학원.
  • 이권(2020). 한·중 대학교 무용교육 체계의 비교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상명대학교 대학원.
  • 정유진, 백현순(2016). PBL을 적용한 초등학생 한국무용 수업 설계, 한국무용연구, 34(3). 151-174.
  • 정이도(2020.09.11.). 4차산업혁명의 핵심 ‘공학과 창의’고정관념 버려야, 공학저널. http://www.engjournal.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56
  • 정이룡(2018.09.18.). 4차산업혁명 시대와 창의적 인재, 디지털투데이. https://www.digital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2858
  • 조연순(2006). 문제중심학습의 이론과 실제-문제로 시작하는 수업-, 서울: 학지사.
  • 조연순, 이명자(2017). 문제중심학습의 이론과 실제 2판, 서울: 학지사.
  • 하영미, 이지영, 홍애령, 김지영(2018). 문제중심학습(PBL)기반의 무용교육 모델 개발에 관한 실행연구. 한국콘텐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2018(5), 531-532.
  • 최연구(2020.04.01.). 미래에 필요한 인재는? [4차 산업혁명시대, 미래 교육 칼럼#5], 교육부.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aver?volumeNo=27860587&memberNo=15194331
  • 최미나(2021). COVID-19 시대 비대면 e-PBL 원격교육의 효과적 운영 방안 탐색 : 대학 PBL과 e-PBL수업에 대한 교수의 요구 및 효과 인식 비교를 중심으로, 淸大學術論集(청대학술논집), 36, 77-99.
  • 최재희(2015). 창의·인성 인재 양성을 위한 대학 무용교육의 방향. 2015한국체육교육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자료. 47-51.
  • 최정임, 장경원(2015). PBL로 수업하기, 서울:학지사.최재희(2015). 창의·인성 인재 양성을 위한 대학 무용교육의 방향, 한국체육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 2015(5), 47-51.
  • 홍애령, 박재근(2018). 대학 무용학과 문화예술교육사 자격 인정 전공교과의 체계적 학습모듈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무용과학회지, 35(2), 51-65.
  • Duch, B. J., Groh, S. E., Allen D. E. (Eds.)(2001). The power of Problem-based learning: A practical “How tho” for teaching undergraduate courses in any discipline. VG:Sylus publishing.
  • LeJeune, N.(2003), “Critical Components for Successful Collaborative Learning In S1”, Consortium for Computing Sciences in Colleges, 275-2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