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공적 노화와 무용에 관한 연구동향
CopyrightⒸ 2021 by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초록
본 연구에서는 성공적인 노화와 무용과 관련된 연구의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파악하여 차후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확인하고자 KCI 등재지 이상 2012년부터 2021년 7월 20일까지 발표된 연구물 총 120편을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연구 연도별 동향에서 성공적인 노화와 무용과 관련된 연구는 2020, 2016, 2013년도에 가장 많이 발표되었고 2012년, 2015년을 제외한 모든 연도에서 10편 이상씩 꾸준히 발표된 것으로 나타났다. 게제학술지별 동향에서는 성공적인 노화와 무용과 관련된 연구 총 120편이 총 32개 학술지에 발표되었으며 한국무용과학회지에 가장 많이 게제 되었고 대한무용학회논문집, 한국체육과학회지, 한국체육학회지, 한국무용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등에 관련 연구물들이 게제된 것으로 나타났다. 차후 본 연구결과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관련 연구가 다양한 학술지에서도 발표되어 무용의 입지를 넓혀가면서 변화를 이끌어낼 필요성이 있다. 둘째, 연구 대상별 동향에서는 여성노인 대상의 연구가 가장 많았고 남성노인 대상의 연구는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질병이 있는 노인 대상의 연구도 활발히 연구되고 있어 남성노인 대상의 연구 필요성과 함께 시대적 변화가 반영되는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무용 유형별 동향에서는 한국무용이 가장 많이 연구되었고 현대무용은 가장 적게 연구되었으나 댄스스포츠, 라인댄스, 생활무용 등 한국무용외 다양한 무용들이 성공적인 노화관련 연구에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었다, 현재 관련 연구에서 생활무용, 건강무용, 실용무용, 사회무용 등 비슷한 개념을 가지고 있는 무용들이 제시되고 있어 차후 무용 유형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여겨진다. 셋째, 연구 분야별 동향에서는 성공적 노화와 무용관련 연구가 자연과학분야와 인문사회분야별로 균형감을 가지고 연구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 방법별 동향에서는 양적연구가 질적연구보다 두드러지게 많이 연구되어 수치화에 의한 결과 제시로 연구목표를 달성하고자 하는 현상을 볼 수 있었다. 차후 개인차가 많은 노인을 이해하고 노화정보를 심층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질적연구가 지속적으로 요구된다.
Abstract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 of research about successful aging and dance. Using the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a total of 120 papers published from 2012 to July 20, 2021 were analyze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trends by study year, the papers on successful aging and dance were published the most in year 2020, 2016, and 2013. And more than 10 papers have been released every year consistently except in 2012 and 2015. Total 120 papers were published in 32 journal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has published the most research about successful aging and dance with 18 papers, and The Korean Journal of Dance, The Korea Journal of Sports Scienc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Journal of Korean Dance and The Contents association Review also have published related research. As shown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draw changes while expanding the base of dance by publishing related studies in various academic journals. Second, in terms of trends by study subject, the number of papers on the elderly female was the highest with 54 papers, and the number of papers on the elderly male was the lowest with 3 papers.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24 papers on the elderly with the disease, which shows the necessity of research on male elderly subjects and a phenomenon of the changing times reflected in studies. In terms of trends by dance type, Korean dance was studied the most with 28 papers and modern dance was studied the least with 2 papers. However, 16 papers about dance sports, 15 papers about line dance and 19 papers about life dance were studied, showing that various dances other than Korean dance were being studied actively in papers about successful aging. Recently, dances with similar concepts, such as life dance, health dance, practical dance and social dance are being suggested in recent related research, so it seems necessary to consider the type of dance of future. Third, In terms of trends by study field, successful aging and dance related studies were conducted at a similar rate between natural science field and humanities and social field, suggesting that related studies are being conducted in a balanced way. In terms of trends by study method, quantitative research was significantly conducted more than qualitative research, indicating the tendency to achieve the research goal by presenting the results by quantification. It suggests that to understand the elderly with many individual differences and to analyze aging information in depth, qualitative research is needed to be conducted more continuously.
Keywords:
successful aging, elderly, dance, trend research키워드:
성공적 노화, 노인, 무용, 연구동향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2021학년도 제주대학교 학술진흥연구비 지원사업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References
- 강승민(2017). 2021년 8월 20일. 발레를 찾는 사람들이 늘었어요. YTN https://www.ytn.co.kr/_ln/0123_201708031119432909
- 권구명(2020). 100세 시대, 활동적 노화를 위한 노인체육의 역할과 기대. 한국발육발달학회지, 28(2), 381-388.
- 권세정, 양승원(2015). 한국무용운동이 노인비만여성의 심혈관질환위험인자, 노화관련 호르몬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과학회지, 32(4), 113-121.
- 권인선, 김지연(2021). 라인댄스 프로그램 참여가 고령 암 경험자의 건강관련 신체활동과 운동자기효능감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학회지, 19(1), 455-465.
- 김남수, 이소은(2019). 경도인지장애노인을 위한 한국무용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체육과학회지, 28(2), 955-965.
- 김동욱, 이현순, 권영숙(2012). 댄스스스포츠 프로그램이 농촌 여성의 건강증진에 미치는 효과.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 14(2), 84-93.
- 김미옥, 김윤식, 천성욱, 신상근(2019). 16주간 댄스스포츠 운동이 남성노인의 기능체력 및 Fullerton 상급 균형능력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발육발달학회지, 27(4),321-327.
- 김보미, 유정애(2014). 우리나라 초등학교 무용교윤연구 동향 및 연구과제 탐색. 한국초등체육학회지, 20(3), 137-149.
- 김승일, 민애경(2017). 전통무용에 참여하는 남성노인 단일사례 연구. 한국체육학회, 56(4), 551-562.
- 김승일, 이현경(2012). 실버타운 한국무용 프로그램 참여자의 행복한 노년. 대한무용학회논문집, 70(2),39-55.
- 김영곤(2007). 노화방지클리닉. 여문각.
- 김정하, 윤정수, 백승현(2013). 한국무용수행이 노인여성의 심리적 지수 및 심혈관계 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과학회지, 30(2), 91-101.
- 김찬양, 이진욱(2020). 모던댄스 적용에 따른 골 감소증 노인여성의 골대사지표 및 아디포사이토카인 변화. 한국컴퓨터정보학회눈몬지, 25(2), 147-158.
- 박미정, 이재형(2008), 노인의 생활무용 참여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33(1), 705-714.
- 박선희(2020). 고령여성의 발레운동 참여에 따른 자아존중감과 여가만적 및 삶의 질의 관계 분석.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4(6), 167-170.
- 박연환(2007). 복지관 이용 노인의 신체활동과 수면. 대한간호과학회지, 37(1), 5-13.
- 박은향(2020). 고령자를 위한 신체활동으로서 발레. 한국노년학연구, 29(1), 25-42.
- 박현정, 김수미, 유현순(2020). 규칙적인 신체활동 참여가 여성노인의 노화관련 호르몬 농도 및 심혈관 질환 위험요소에 미치는 영향. 한국융합학회논문지, 11(8), 323-330.
- 박현주(2014). 노인의 실용무용 참여가 신체상 및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6(5), 2661-2671.
- 박휴경, 조양희(2018). 노인대상 현대무용적용 사례연구. 한국무용교육학회지, 29(4), 241-263.
- 배혜영, 곽이섭, 김기진(2018). 강강술래를 활용한 무용프로그램이 경증치매노인의 정서 및 의사소통에 미치는 효과. 코칭능력개발지, 20(1), 64-72,
- 백정희(2016). 한삼놀이 프로그램사용이 후기 고령 만성질환자의 체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과학회지, 33(4), 79-92.
- 서연수, 김운미(2021). 소고춤 참여가 여성노인의 뇌기능에 미치는 영향. 무용역사기록학, 60, 173-192.
- 서영(2015). 노인여성의 한국무용참여가 정서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대한무용학회논문집, 73(2), 55-71.
- 서영(2016). 무용프로그램이 건강생활습관과 건강상태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연구, 34(4), 101-122.
- 서영재, 김지훈(2021). 노인의 무용참여에 관한 국내연구동향 분석. 한국체육과학회지, 30(3), 861-874
- 설수황, 최석환(2021). 성공적 노화를 위한 중년 골프 참여자의 지도자 신뢰와 적응유연성 및 주관적 건강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83, 287-297.
- 손지영(2020). 생활체육 참여 여성노인의 자기관리가 건강증진행위 및 성공적 노화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성체육학회지, 34(1), 51-70.
- 송한이(2009). 노인종합복지관 생활 체육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노인의 참여특성과 참여만족도의 관계. 미간행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 안옥희, 김영희, 조현철, 박재근(2012). 12주간 라인댄스 운동이 만성퇴행성 질환을 가지 노인의 체력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운동재활학회지, 8(4), 103-113.
- 안윤희, 홍남수, 윤희정(2020). 댄스스포츠 프로그램이 농촌지역 여성노인의 신체기능과 인지, 우울 및 삶의 잘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지, 45(4), 385-393.
- 오세숙, 오경아, 손영미(2013). 국내 여가 연구동향 분석: 주요학술지를 중심으로. 한국체육학회지, 52(3), 405-419.
- 오진숙(2007). 요가참가와 영성능력 및 웰리스의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46(1), 269-28.
- 윤혜선, 이연정(2018). 노인 대상 한국춤 프로그램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 한국무용과학회지, 35(2), 35-49.
- 이건미(2016). 여성노인의 생활무용참여와 심리적 웰빙과의 관계. 대한무용학회논문집, 74(3), 59-73.
- 이경호(2010). 한국무용의 균형 잡기 동작 프로그램이 노인여성들의 하지근지구력, 유연성 및 평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예술학연구, 11, 299-316.
- 이미숙, 조정환(2018). 고령자 건강장수를 위한 신체활동 개인전략의 현황과 과제. 한국체육과학회지, 27(1), 905-921.
- 이민주(2014).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선택·최적화·보상 전략을 중심으로. 미간행박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대학원.
- 이애덕, 이주립(2003). 한국무용 동작을 통한 노인의 체력증진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학회지, 42(5), 631-637.
- 이예주, 신상근(2021). 16주간 우리츰 운동 프로그램이 여성노인의 인지기능과 기능체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과학회지, 30(3), 1147-1157.
- 이주연, 최인애, 김태완(2015). 발레를 통한 건강프로그램이 노인여성의 체력과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과학회지, 24(1), 1525-1532.
- 이진욱, 장석암, 김찬양(2019). 12주간의 댄스스포츠 운동이 비만노인여성의 신체조성, 아이리신, 아디포넥틴 및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58(1), 271-284.
- 이현준(2014). 노인여성의 6개월간 생활무용참여가 관상동맥질환 위험인자와 Framingham Risk Score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과학회지, 31(2), 197-210.
- 정미선, 정진욱(2018). 노인여성의 한국무용 몰입이 자아존중감과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영남춤학회지 8(1), 175-199.
- 정윤하(2015). 무용활동과 노인 심리건강의 관계분석. 한국과학예술포럼, 19, 613-621.
- 차성기(2007). 학술지를 통해 본 해양스포츠 연구동향과 과제. 한국체육학회지, 46(1), 557-565.
- 최미진(2019). 성공적 노화 자원으로 운동참여의 심리적 경험과 생활기술. 미간행박사학위논문,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 최보나, 이승민(2014). 생활무용참여 여성노인들의 열정이 긍정적 정서와 스트레스 대처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성체육학회지, 28(3), 35-48.
- 통계청(2017). 2017년 고령자 통계.
- 통계청(2019). 장래인구추계. 통계정보보고서.
- 허철무(2020). 신체활동 참여 노인의 삶의 의미, 행복감 및 성공적 노화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지, 29(2), 293-305.
- 홍예주(2016).성공적 노화를 위한 노인여성의 체력변인과 유산소 능력에 미치는 한국무용의 효과. 한국무용과학회지, 33(1), 117-127.
- Battaglia, G., Bellafiore, M., Alesi, M., Paoli, A., Bianco, A., & Pahna, A.(2016). Effects of an adapted physical activity program on psychophysical health in elderly women. Clinical Interventions in Aging, 11, 1009-1015. [https://doi.org/10.2147/CIA.S109591]
- Brustio, P. R., Liubicich, M. E., Chiabrero, M., & Rabaglietti, E.(2018). Dancing in the golden age: a study on physical function, quality of life and social engagement. Geriatric nursing, 39(6), 635-639. [https://doi.org/10.1016/j.gerinurse.2018.04.013]
- Krampe, J., Wagner, J. M., Hawthorne, K., Sanazaro, D., WongꠓAnuchit, C., Budhaꠓthoki, C., Lorenz, R. A., & Raaf, S.(2014). Does dance-based therapy increase gait speed in older adults with chronic lower extremity pain: A feasibility study. Geriatric Nursing, 35, 339-344. [https://doi.org/10.1016/j.gerinurse.2014.03.008]
- Neuendorf, K. A.(2016). The content analysis guidebook. Sage. [https://doi.org/10.4135/9781071802878]
- Westheimer, 0., McRae, C., Henchcliffe, C., Fesharaki, A., Glaztnan, S., Ene, H., & Bodis-Wollner, I.(2015). Dance for PD: A preliminary investigation of effects on motor function and quality of life among persons with Parkinson's disease(PD). Journal of Neural Transmission, 122(9), 1263-1270. [https://doi.org/10.1007/s00702-015-1380-x]
- Zacher, H.(2015). Successful aging at work. Aging and Retirement, 1(1), 4-25. [https://doi.org/10.1093/workar/wau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