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용이 발달장애 아동 및 청소년의 사회·정서적 변인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CopyrightⒸ 2021 by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무용이 발달장애 아동 및 청소년의 사회·정서적 변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2000년 1월부터 2020년 12월까지 국내에 발표된 논문 중 선별기준에 적합한 19개의 연구를 대상으로 CMA ver.3(Comprehensive Meta-Analysis)을 사용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변인은 사회적 변인군(사회·정서발달, 사회성, 대인관계, 부적응행동, 적응행동)과 정서적 변인군(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자기표현, 자아개념)이다. Hedge’g를 적용하여 효과크기를 추정하였고, 출판편의와 민감도 진단검사를 통해 내적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전체 사회·정서적 요인(0.811, 29.1%)에는 큰 정도의 효과크기를 보였다. 둘째, 전체 사회적 변인군(0.785, 28.23%)에는 중간 정도의 효과크기를 보였고, 사회성(1.227, 39.8%), 문제행동(-0.813, 29.1%)에서는 큰 정도의 효과크기를, 적응행동(0.594, 22.24%)에서는 중간 정도의 효과크기를 보였다. 셋째, 전체 정서적 변인군(0.996, 33.89%)에는 큰 정도의 효과크기를 보였고, 자기효능감(1.6, 44.52%), 자기표현(1.055, 33.31%), 자아존중감(0.733, 26.73)에서도 큰 정도의 효과크기를 보였다. 넷째, 연구 대상자 연령군에서는 아동 집단(0.599, 22.24%) 보다 청소년 집단(0.904, 32.64%)에서 더 큰 정도의 효과크기를 보였다. 다섯째, 프로그램 유형은 무용교육(0.899, 31.33%), 무용/동작치료(0.764, 27.64%)순으로 모두 높은 효과크기를 보였다. 프로그램 실시는 1회기 진행시간은 40분~60분(1.113, 37.08%), 주당 회기 수는 2~3회(0.798, 28.52%), 총회기 수는 31회 이상(2.144, 48.38%)에서 가장 큰 효과크기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무용이 발달장애 아동 및 청소년의 사회·정서적 요인 향상에 효과적인 활동임을 확인하였고, 하위변인과 무용 중재방법에 관한 종합적인 정보를 제공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발달장애아동을 대상으로 무용의 효과성을 분석한 첫 번째 연구로 의의가 있으며 추후 장애무용연구 및 현장 적용을 위한 근거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ance intervention on variables related to social and emotional factor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This study conducted a meta-analysis using CMA ver. 3 (Comprehensive Meta-Analysis) version 3 on 19 studies that meet the inclusion criteria among the studies published in Korea from January 2000 to December 2020. The outcome clusters included social·emotional development, sociality, interpersonal relationship, maladjusted behaviors, and adaptive behavior in social factors and self- efficacy, self-esteem, self-expression, self-concept). Effect size were calculated using Hedge’g. We examined the publication bias and Jacknifed Residual for internal validity. The results were as follow. First, the overall effect size was large(0.811). Seconde, the social variable cluster was medium(0.785), including sociality(1.227), maladjusted behaviors(-0.813), and adaptive behavior(0.594). Third, the emotional variable cluster was large(0.996), including self- efficacy(1.6), self-expression(1.055), and self-esteem(0.733). Forth, the overall effect size was higher in the adolescent group(0.904) than the children group(0.599). Fifth, both dance program and dance/movement therapy showed a high effect size. With regard to program implement, 40~60 minutes per a class (1.113), 2~3 times per a week (0.798), and over 31 times for the total frequency were more effective than other variables to perform dance program.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e effectiveness of dance for improving social and emotional factors, providing comprehensive informations on the implementation of dance program.
Keywords:
developmental disability, dance, social variable, emotional variable, meta-analysis키워드:
발달장애, 무용, 사회적변인, 정서적변인, 메타분석References
- ※ 별표(*)로 표시된 연구는 메타분석에 포함되었음.
- 곽현주, 김영희(2018). 예술치료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음악치료, 미술치료, 무용동작치료, 통합에술치료를 중심으로. 예술심리치료연구, 9(8), 185-208.
- 김나영(2001). 정신지체 아동의 표현력 향상을 위한 무용/운동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에 관한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대학원.
- * 김나영, 정연진, 장경호(2006). 원형구조 기법의 무용/동작치료가 정신지체 아동의 자기 통제력과 사회성 기술에 미치는 효과. 한국사회체육학회지, 26, 393-403.
- * 김소연(2003). 무용요법이 정서장애아의 정서불안에 미치는 효과.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 * 김유경(2017). 무용/동작 치료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청소년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충북대학교 일반대학원.
- 김순정(2001). 어머니의 정서표현 수용태도와 유아의 정서적 부적응 및 친사회적 행동과의 관계.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 김승국(1990). 적응행동 검사 지침서. 도서출판 특수교육. 서울.
- 김화숙(1989). 무용창작능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 노형규(2012). 발달장애인 신체활동 프로그램 유형과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특수체육학회지, 20(3), 17-28.
- * 박수진(2011). 무용/동작치료가 지적 장애아의 사회성 발달과 부적응 행동 완화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 박수진, 홍나연, 오광진(2013). 지적장애인의 건강관련체력 메타분석. 한국사회체육학회지, 54(2), 983-998.
- 박영근(2017). 지적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미술치료 연구 메타분석: 국내 실험 연구를 중심으로. 특수아동교육연구, 19(4), 25-49.
- *박은규(2009). 무용치료가 발달장애 학생의 정서표현, 동작표현 및 사회성 기초능력에 미치는 영향. 초등교육연구논총, 25(1), 113-124.
- * 박지연(2010). 무용치료가 지적장애아의 자기표현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 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배주옥(2014). 장애인무용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한국무용연구, 32(2), 129-148.
- * 변지현(2012). 무용교육이 정신지체아의 주의집중력 및 사회성숙도 향상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중부대학교대학원.
- 서해린, 이상로, 김영미(2018). 장애인 대상 국내무용 및 문화예술교육 연구동향 분석. 한국무용학회지, 18(2), 19-25.
- 손명희, 송영혜(2009). 집단놀이치료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놀이치료연구-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13(1), 19-43.
- 오경자(2007). K-CBCL 아동 청소년 행동평가척도. 중앙적성출판사. 서울.
- * 오정(2011). 무용교육이 정신지체아동의 자기표현력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 유윤희(1994). 학교적응, 불안, 학업성취간의 관계분석.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 * 연은주(2019). 발달장애아동의 무용 프로그램 참여가 건강체력과 자기표현력에 미치는 효과.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육대학교 대학원.
- 이숙민, 최세민(2015). 집단미술치료가 지적장애학생의 적응행동에 미친 영향.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예술심리치료 연구, 11(4), 171-186.
- * 이안나(2009).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이 시설 발달장애아동의 불안 및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 이윤구, 홍애령, 이소미(2018). 자아 존중감 향상을 위한 무용동작치료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체육과학회지, 27(2), 927-937.
- 이은경(2009). 지각운동기능 중심의 특수체육활동이 발달장애유아의 대근운동 능력과 기본 생활에 미치는 효과.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이창섭, 강연실(2006). 무용활동이 정신지체아의 사회적응행동 및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체육과학연구소, 23(1), 1-11.
- * 임인선, 이진효(2010). 무용-신체활동 프로그램이 지적장애아동의적응행동능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무용학회논문집, 62(62), 135-153.
- 임정순 (1993). 아동의 의존성과 학교적응과의 관계.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 * 송현주(2013). 무용동작 프로그램이 발달장애 청소년의 자기효능감과 부적응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147-148.
- 손명희, 송영혜(2009). 집단놀이치료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놀이치료연구-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13(1), 19-43.
- * 신미선(2001a). Folk Dance가 정신지체아의 적응행동에 미치는 효과.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 * 신미선(2001b). 무용학습이 정진지체아의 자아개념(Self-concept)에 미치는 효과: 특수학교 중등부 학생을 중심으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 장선철(2009). 특수아동의 이해. 동문사. 서울.
- 장연희, 박은경(2018). 발달장애아동을 위한 집단 음악치료 효과 메타분석. 한국음악치료학회지, 20(2), 29-51.
- 정희정, 박문석, 이용호(2019). 긍정 심리학 관점에서 바라 본 창작무용프로그램 참여를 통한 뇌성마비 장애인의 경험적 의미탐색. 한국무용과학회지, 36(1), 75-91.
- 조훈현 (2002). 시설 정신지체 장애인을 위한 재활농장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고나한 연구: 정서적 안정과 재활능력 배양을 중심으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 전귀연, 최보가(1993).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응집성, 가족적응성 및 가족체계유형이 부모-청소년기 자녀관계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31(3), 157-173.
- * 전소연(2010). 무용동작치료가 특수학급아동의 사회성 및 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 *주성용(2011). 무용동작치료가 지적장애 여자고등학생의 자기표현능력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원광대학교 대학원.
- 최석란(2007). 영아의 사회정서발달과 보육교사의 역할. 사회과학논총. 1, 97-116.
- 최승권(2018). 특수체육론. 레인보우북스. 서울.
- * 최현주(2002). 정신지체학생의 민속무용학습을 통한 적응행동 및 문제행동.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 한유진, 이유나, 황찬용, 박혜진, 김영미, 조항휘(2018). 장애인 무용교육 연구 동향 분석. 한국무용학회지, 18(1), 25-32.
- 한상철, 김헤원, 설인자(2006). 청소년 문제행동: 심리학적 접근. 학지사. 서울.
- 홍연성(2005). 신체표현 통합교육의 무용프로그램이 아동의 정서지능 발달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
- * 홍혜전(2020). 장애무용교육프로그램 참여가 발달장애아동의 문제행동과 사회성 및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 한국무용학회지, 20(1), 1-11. [https://doi.org/10.26743/kaod.2020.20.1.001]
- 홍혜전(2020). 장애무용교육 관련 연구동향을 통해 바라본 장애무용교육의 방향성. 무용역사기록학, 56, 183-205.
- Beaudry, L., Fortin, S., & Rochette, A. (2020). Adapted dance used in subacute rehabilitation post-stroke: impacts perceived by patients, relatives and rehabilitation therapists: Qualitative study.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42(21), 2997-3006. [https://doi.org/10.1080/09638288.2019.1581845]
- Barnet-Lopez, S., Pérez-Testor, S., Cabedo-Sanromà, J., Oviedo, G. R., & Guerra-Balic, M. (2016). Dance/movement therapy and emotional well-being for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Arts in Psychotherapy, 51, 10-16. [https://doi.org/10.1016/j.aip.2016.08.002]
- Bentley, E. L. & Yeatts, P. P. (1974). The Self-Concept: Instructional Objectives, Curriculum Sequence, and Criterion Referenced Assessment. ERIC Reproduction Document Service No. ED 096-560.
- Bojner Horwitz, E., Lennartsson, A. K., Theorell, T. P., & Ullén, F. (2015). Engagement in dance is associated with emotional competence in interplay with others. Frontiers in Psychology, 6, 1096. [https://doi.org/10.3389/fpsyg.2015.01096]
- Borenstein, M., Hedges, L. V., Higgins, J. P., & Rothstein, H. R. (2011). Introduction to meta-analysis. John Wiley & Sons.
- Cohen. J. (1988). Sta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2nd ed.). Hillsdale, NJ : Lawrence Erlbaum.
- Cooper, H. M. (2010). Research synthesis and meta-analysis: A step by step approach (4th ed.). Thousand Oaks, CA: Sage.
- Duval, S., & Tweedie, R. (2000). Trim and fill: A simple funnel-plot-based method of testing and adjusting for publication bias in meta-analysis. Biometrics, 56, 45-46. [https://doi.org/10.1111/j.0006-341X.2000.00455.x]
- Gilbert, A. G. (2015). Creative dance for all ages. Human Kinetics.
- Gresham, F. M., & Elliott, S. N. (1990). Social skills rating system: Manual. American guidance service. [https://doi.org/10.1037/t10269-000]
- Hackney, M. E., & Earhart, G. M. (2009). Effects of dance on movement control in Parkinson's disease: a comparison of Argentine tango and American ballroom. Journal of rehabilitation medicine, 41(6), 475-481. [https://doi.org/10.2340/16501977-0362]
- Hedges, L. V. (1980). Unbiased estimation of effect size, evaluation in education. An International Review Series, 4, 25-27. [https://doi.org/10.1016/0191-765X(80)90005-1]
- Jobling, A., Virji-Babul, N., & Nichols, D. (2006). Children with Down syndrome: Discovering the joy of movement.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Recreation & Dance, 77(6), 34-54. [https://doi.org/10.1080/07303084.2006.10597892]
- Jones, D. E., Greenberg, M., & Crowley, M. (2015). Early social-emotional functioning and public health: The relationship between kindergarten social competence and future wellness.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105(11), 2283-2290. [https://doi.org/10.2105/AJPH.2015.302630]
- Kendall, P. C., & Wilcox, L. E. (1979). Self-control in children: Development of a rating scale.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47(6), 1020. [https://doi.org/10.1037/0022-006X.47.6.1020]
- Lobo, Y. B., & Winsler, A. (2006). The effects of a creative dance and movement program on the social competence of head start preschoolers. Social development, 15(3), 501-519. [https://doi.org/10.1111/j.1467-9507.2006.00353.x]
- Mandelbaum, R., Triche, E. W., Fasoli, S. E., & Lo, A. C. (2016). A pilot study: examining the effects and tolerability of structured dance intervention for individuals with multiple sclerosis.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38(3), 218-222. [https://doi.org/10.3109/09638288.2015.1035457]
- May, T., Chan, E. S., Lindor, E., McGinley, J., Skouteris, H., Austin, D., McGillivray, J., & Rinehart, N. J. (2021). Physical, cognitive, psychological and social effects of dance in children with disabilities: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43(1), 13-26. [https://doi.org/10.1080/09638288.2019.1615139]
- Methley, A. M., Campbell, S., Chew-Graham, C., McNally, R., & Cheraghi-Sohi, S. (2014). PICO, PICOS and SPIDER: a comparison study of specificity and sensitivity in three search tools for qualitative systematic reviews. BMC health services research, 14(1), 1-10. [https://doi.org/10.1186/s12913-014-0579-0]
- Morgan, R. (2004). Improvisation: Another way to move and dance. Strategies, 18(2), 19-20. [https://doi.org/10.1080/08924562.2004.10591120]
- Mualem, O., & Klein, P. S. (2013). The communicative characteristics of musical interactions compared with play interactions between mothers and their one-year-old infants.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183(7), 899-915. [https://doi.org/10.1080/03004430.2012.688824]
- Munsell, S. E., & Bryant Davis, K. E. (2015). Dance and special education. Preventing School Failure: Alternative Education for Children and Youth, 59(3), 129-133. [https://doi.org/10.1080/1045988X.2013.859562]
- Pereira, N. S., & Marques-Pinto, A. (2018). Development of a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 program using educational dance: A participatory approach aimed at middle school students. Studies in Educational Evaluation, 59, 52-57. [https://doi.org/10.1016/j.stueduc.2018.03.003]
- Prieto, L. A., Haegele, J. A., & Columna, L. (2020). Dance Programs for School-Age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 Systematic Review. Adapted Physical Activity Quarterly, 37(3), 349-376. [https://doi.org/10.1123/apaq.2019-0117]
- Rajan, R. S., & Aker, M. (2020). The Impact of an In-school Dance Program on At-risk Preschoolers’ Social-Emotional Development. Journal of Dance Education, 1-8. [https://doi.org/10.1080/15290824.2020.1766689]
- Richards, S. B., Brady, M. P., & Taylor, R. L. (2014). Cognitive and intellectual disabilities: Historical perspectives, current practices, and future directions. Routledge. [https://doi.org/10.4324/9780203508251]
- Rokos, R. F., & Schroeder, H. E. (1980). Self-directed assertivenss training. New York : Bio Monitoring Application(BMA).
- Rosenthal, R. (1979). The file drawer problem and tolerance for null results. Psychological bulletin, 86(3), 638. [https://doi.org/10.1037/0033-2909.86.3.638]
- Sherer, M., Maddux, J. E., Mercandante, B., Prentice-Dunn, S., Jacobs, B., & Rogers, R. W. (1982).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s, 51(2), 663-671. [https://doi.org/10.2466/pr0.1982.51.2.663]
- Yates, T., Ostrosky, M. M., Cheatham, G. A., Fettig, A., Shaffer, L., & Santos, R. M. (2008). Research synthesis on screening and assessing social-emotional competence. The Center on the Social and Emotional Foundations for Early Learning.
- Wasserman, N., Plutchik, R., Deutsch, R., & Taketomo, Y. (1973). A music therapy evaluation scale and its clinical application to mentally retarded adult patients. Journal of Music Therapy, 10(2), 64-77. [https://doi.org/10.1093/jmt/10.2.64]
- Zitomer, M. R., & Reid, G. (2011). To be or not to be–able to dance: Integrated dance and children’s perceptions of dance ability and disability. Research in dance education, 12(2), 137-156. [https://doi.org/10.1080/14647893.2011.575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