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Article ]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Vol. 37, No. 2, pp.85-104
ISSN: 1229-7836 (Print) 2713-6949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0 Apr 2020
Received 26 Feb 2020 Revised 09 Apr 2020 Accepted 09 Apr 2020
DOI: https://doi.org/10.21539/Ksds.2020.37.2.85

문화예술교육의 선순환구조 확립을 위한 신체활동기반 융합문화예술교육 사례분석

조남규** ; 이지선***
**상명대학교 문화기술대학원 교수
***교육공학 박사 petitet@hanmail.net
A Case Study on the Physical Activity-Based Convergence Culture and Arts Education for Establishing a Virtuous Circle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Namgyu Cho** ; Jisun Lee***
**Professor, College of Art, Department of Dance, Sang-Myung University
***Ph.D in Educational Technology


CopyrightⒸ 2020 by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초록

이 연구는 서울어젠다 발표 이후,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른 융합예술교육의 질적 제고 방안의 구체성과 체계성을 확인하고자 실행된 연구이다. 이에 수준높은 문화예술교육을 위하여 예술교육의 선순환 운영구조 가능성을 탐색하고 국내외 신체활동기반 융합문화예술교육의 운영사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예술교육 질적 향상의 재도약을 위하여 첫째, 융합문화예술교육을 기획단계에서 지역연계를 위한 요구분석, 학습자 수준 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자료수집 과정이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프로그램 실행 이전, 교육자의 역량강화를 위하여 다양한 분야를 경험할 수 있는 융합교육 프로그램의 예시를 제공하고, 각 분야의 현장전문가와의 면담, 멘토링을 통해 융합교육의 실제 운영방법에 대한 자료를 습득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융합의 유형에 따른 선진 사례를 지속적으로 발굴하여, 학습자 수준별 실천적인 융합교육모형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효과적인 적용을 위한 자료 구축을 해야 한다. 넷째, 기관, 학교, 교육자 간의 의사소통을 통한 교육환경 개선지원을 넘어 교육프로그램 참여자와의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프로그램 관리방안과 운영방법을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다섯째, 각 부문을 대표하는 협력인력과의 공동실행을 통해 융합문화예술교육의 기획, 제작, 보급에 필요한 실질적인 제도 정비와 지원이 이루어져야 할 것을 제안한다. 이 연구를 통해 예술교육 전략의 선순환구조 가능성을 설명하고, 이와 연계하여 예술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문제점 및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자료구축의 토대를 마련하며, 문화예술교육 정책사업의 사례 및 성과 점검을 통해 정책적 기반 강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specificity and systemicity of the qualitative improvement plan of convergence arts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of education paradigm after the announcement of Seoul Agenda. And in this study, domestic and foreign cases of physical activity-based convergence culture and arts education were analyzed in connection with the virtuous circle structure of art education for sustainable culture and arts education. In the planning of convergence culture and arts education, the process of identifying information on the needs and level of learning of the local learners who receive the culture and arts education should be included. Before implementing the program, provide examples of integrated and converged education programs for the educators and artists who are engaged in the education to experience the various fields. It would be necessary to develop practical convergence educational model by level of learners by continuously exploring advanced cases according to the type of convergence, and to construct data for effective application by analyzing the effects and results of convergence dance education in depth in seminar and workshop. Beyond supporting the improvement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through communication between institutions, schools, and educators, it would be necessary to form a network with participants and their parents in educational program to understand how to manage and operate the program. In the implementation, practical institutional readjustment and support needed for the planning,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convergence culture and arts education, through joint implementation with governments, communities, institutions, privates, and convergence fields.

Keywords:

Convergence Culture and Arts Education, Virtuous Circle, Regional Linkage, Empowerment, Research and Development, Practical Support, Mutual Cooperation

키워드:

융합문화예술교육, 선순환구조, 지역연계, 역량강화, 연구개발, 실천지원, 상호협력

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2019년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지원에 의하여 연구되었음.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Korea Arts & Culture Education Service in 2019.

이 논문은 2019 한국무용과학회 제41회 추계학술심포지엄에서 발표된 연구임.This work was supported by 41st Korean Society of Dance Symposium.

References

  • 강주선 (2014). 대학무용교육의 융복합 커리큘럼 필요성에 관한 연구: 융복합공연 사례를 중심으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 곽덕주, 남인우, 임미혜 (2015). 예술이 교육이다 유럽에서 만난 예술교육. 서울: 서울문화재단.
  • 권민영 (2016). 국제적 가이드라인을 넘어 새로운 도전으로. 아르떼365(2016.04.11.).
  • 문화체육관광부, 유네스코 세계문화예술교육대회 조직위원회(2010). 2010 색깔의 꽃과 새 그리고 물고기를 위하여. 2010 유네스코 세계문화예술교육대회 결과보고서.
  • 박소연 외 (2015). 한국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사례연구를 통한 효과 모델 탐색.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백현순 (2013). 영상 매체를 활용한 융복합 무용교육. 한국무용연구, 31(3). 173-192.
  • 석문주, 최은식, 최미영 (2010). 외국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분석연구: 미국, 영국, 핀란드, 일본을 중심으로. 예술교육연구, 8(2), 1-19.
  • 신창식 (2012). 예술을 중심으로 한 융합교육 방법론.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상명대학교.
  • 양승지 (2014). 국내 과학예술 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현황 및 국외 과학예술 융합교육 프로그램 사례를 바탕으로 한 학교 교육에의 적용 방안 탐색.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경인교육대학교.
  • 오하영 (2014). 감성논리 관점에서 본 국내 융복합 무용작품 분석.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 이정민 (2013). 현대예술에서 무용과 영상미디어를 활용한 융복합 작품 분석.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 정명지 (2011). 융복합 교육에서 대학 무용교육과정 개선 방안 탐색.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세종대학교.
  • 조희연 (2011). 공교육으로서의 프랑스 예술문화교육 정책고찰. 예술교육연구, 9(2). 41-56.
  • 태혜신, 박명숙 (2013). 무용학의 융복합적 접근. 한국콘텐츠학회논문, 12(12). 605-615.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8). 2018 서울어젠다 이행실적 점검을 위한 기초연구.
  • 허은영외 (2005). 문화예술교육 전문강사 운영방안 연구.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 허정임 (2014). 체험으로서의 예술중심 통합교육 연구. 미술교육연구논총, 38. 49-72.
  • 홍병선 (2009). 대학교육에 대한 사회적 요구와 대안 모색 : 교육경쟁력 강화를 위한 융합교과목 개발. 교양교육연구, 3(2). 51-78.
  • 홍애령 (2015). 지역문화재단 기반 융.복합 무용교육 프로그램 사례연구. 문화예술교육연구, 10(4). 19-32.
  • Drake, S. M.(1998). Creating integrated curriculum: Proven ways to increase student learning. Corwin Press, Inc.
  • Elster, A.(2001). Learning Through the Arts Program goals, features, and pilot results.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 & the Arts, 2(7).
  • Kind, S., Cosson, A., Irwin, R. L., & Grauer, K.(2007). Artist-Teacher Partnerships in Learning: The In/Between Spaces of Artist-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Canadian Journal of Education, 30(3), 839-864. [https://doi.org/10.2307/20466665]
  • Nelson, C. A. (2001). The arts and education reform : Lessons from a four-year evaluation of the A+ schools program, 1995-1999. Executive Summary. North executive Summary of A+Schools. Winston-Salem, NC: Thomas S. Kenan Institute for the Arts.
  • Ting, C. (2007). Policy developments in Pre-school education in singapore; A focus on the key reforms of kindergarten edu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Child Care and Education Policy, 1, 35-43. [https://doi.org/10.1007/2288-6729-1-1-35]
  • VAPA, Visual And Performing Arts, http://www.sandi.net/page/2203
  • http://aplus-schools.ncdcr.gov
  • http://www.Juliagabriel.com, /
  • www.kulturkontak.or.kr/dva
  • www.isacctan.net
  • https://dance.smu.ac.kr/dance, /
  • http://www.annantalo.f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