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Article ]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Vol. 36, No. 4, pp.95-112
ISSN: 1229-7836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1 Oct 2019
Received 02 Sep 2019 Revised 08 Oct 2019 Accepted 19 Oct 2019
DOI: https://doi.org/10.21539/Ksds.2019.36.4.95

무용전공자의 지도자 신뢰 형성과정에 관한 내러티브 연구

김민주 ; 노정식**
단국대학교
용인대학교
Narrative Research Act to Identify the Trust-building Process of Dance Majors with their Leaders
Kim, Min-Ju ; Rho, Jung-Sik**
Dankook Univ.
Yongin Univ.

Correspondence to: ** rohjs@naver.com

CopyrightⒸ 2019 by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초록

이 연구는 무용전공자의 지도자에 대한 신뢰형성 과정을 탐색하는데 목표를 두고 진행되었으며, 개인적이고 실제적인 경험을 통한 심도 있는 이해를 위하여 내러티브 연구방법을 적용하였다. 이를 위해 5년 이상의 무용경력이 있으며 지도자에게 무용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고, 무용 예술 현장 및 무용교육의 다양한 경험이 있는 무용전공자 8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으며 심층면담 및 개별 문서자료를 작성하고 연구 설계 3단계 구성에 따라 자료 분석을 실시하고 다음과 최종적인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연구 참여자 대부분 춤추는 것을 좋아하고 지인의 추천이나 부모님의 권유 또는 근거리에 있는 무용학원에서 무용을 전공하기 시작하며 무용지도자와의 관계 형성을 시작하게 되었다. 둘째, 이렇게 시작된 지도자와의 관계 속에서 연구 참여자 대부분이 대화 및 소통을 통하여 지도자를 신뢰하게 된 계기가 되었으며 특히, 지도자와 식사를 하거나 혹은 동반 여가활동을 하는 등 무용실이 아닌 외부활동을 통해 지도자와의 신뢰감을 형성하는 것으로 진술하였다. 셋째, 지도자와 신뢰감이 형성된 후에는 무용 활동을 하며 편안함, 행복함, 기대감을 가지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 참여자들은 신뢰하는 지도자는 부모님, 친구, 멘토라고 생각하며 자신에게 가장 영향력이 있는 사람 중 하나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지도자에게 받는 영향’에 대해서 연구 참여자들은 대부분 본인의 미래 교육관에 현재 지도자의 지도방법 중 장점이라고 느껴지는 점을 자신의 지도 현장에 적용할 것이라고 진술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의 지도자에 대한 신뢰형성 과정에 대해 탐색한 결과, 그들의 삶을 이해하지 않고서는 그들의 신뢰형성 과정이 연구 참여자들에게 어떤 의미인지 알 수 없었다. 즉 연구 참여자들의 신뢰형성 내러티브를 통하여 그들의 신뢰형성 과정을 이해할 수 있었다. 내러티브 연구를 통해 그들의 경험을 이야기하고 다시 이야기하는 과정에서 연구자와 연구 참여자들은 신뢰형성에 대한 재인식의 계기가 되었으며, 이미 형성되어 있는 신뢰형성에 대해서도 재고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었다.

Abstract

This study conducted to identify the trust-building process of dance majors with their leaders and applied the Narrative Research Act for in-depth understanding through personal and practical experience. Eight dance majors with more than five years of experience in dance for this experiment selected as participants in the study, who had received dance education from leaders, and who had various experiences in dance, art scene, and education. In-depth interviews with study participants and individual document data prepared, and the following conclusions drawn through the analysis of the data according to the three stages of research design. First, most of the study participants liked to dance, began to major in dance in the dance academies around home through recommendations from acquaintances or parents, and began to form relationships with dance leaders. Second, the participants stated that they formed a trust relationship with the leader through communication and dialogue with the leader, primarily through outside activities, not only dance rooms, such as eating or engaging in shared leisure activities. Third, after a trust relationship with the leader was established, study participants thought of the leader as one of their parents, friends and mentors, and came to recognize him/her as one of those who had a strong influence on themselves. Finally, most participants in the study stated that they would apply to their future guidance what they felt were advantages of their leaders' guidance methods. For study to explore the process of building trust with study participants and leaders, it was impossible to know what the process of building trust meant to study participants until we understood their lives. In other words, the Narrative Research Act was able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building trust among study participants. Narrative research has allowed participants to talk about their experiences, and in the process, researchers and research participants to re-recognize the trust-building process, allowing them to think again about the trust-building process that has already formed.

Keywords: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leader trust, narrative study

키워드:

무용전공자, 지도자 신뢰, 내러티브 연구

Acknowledgments

본 연구는 2017년도 단국대학교 무용학과 석사학위논문을 수정 보완한 것임.

References

  • 강지혜(2010) 고등학교 무용전공 지도자의 지도유형과 지도자 신뢰 및 만족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세종대학교 대학원.
  • 구교선(2012) 무용교육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능력, 지도자 신뢰 및 무용몰입의 구조적 관계. 대한무용학회. 71(3), 1-24
  • 김동학(2013) 체육대학 교육경험을 통한 체육전문인의 삶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진로교육연구. 22(23), 137-195.
  • 김선정(1997)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이 무용 역할 학습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 김정련, 김명주, 윤민숙(2012) 무용지도자의 교육지원이 지도자신뢰 및 무용애착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2(11), 145-154. [https://doi.org/10.5392/JKCA.2012.12.11.145]
  • 김혜정, 박혜은(2014) 무용전공 대학생이 인식하는‘좋은 지도자’의 유형과 특성. 박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 노성호(2016) 교사들의 대인표상과 학생지도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 박선희(2012) 무용지도자의 변혁적 리더십이 팔로워십 및 지도자 신뢰에 따라 무용만족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대학원.
  • 박진희, 김하진(2011) 무용전공대학생의 무용활동만족과 지도자 신뢰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 20(1), 701-713
  • 소경희, 강현석, 조덕주, 박민정(2007) 내러티브 탐구. 교육과학사, 서울, 대한민국.
  • 손수미(2010) 무용전공 대학생의 신체적 자기지각이 지도자 신뢰와 무용지속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 양지현(2014) 예술 고등학교 무용지도자의 지도유형이 지도자에 대한 신뢰 및 지도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이로사(2014) 내러티브 탐구를 활용한 무용전공자의 진로결정. 박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 최재희(2013) 무용수업 참여 중학생이 지각하는 지도자 신뢰감과 무용몰입의 관계. 한국무용과학회지. 30(1), 123-137. [https://doi.org/10.21539/ksds.2013.30.1.123]
  • Creswell, J.(2007)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2nd ed.), Sage, 질적 연구방법론 : 다섯 가지 접근. 조흥식·정선욱·김진숙·권지성 공역(2010). 학지사, 서울, 대한민국.
  • Jennifer Del Corso, Mark C. Rehfuss(2011). The role of narrative in career construction theory. Journalof Vocational Behavior. vol. 79 pp.334-339. [https://doi.org/10.1016/j.jvb.2011.04.003]
  • http://www.asiatoday.co.kr/view.php?key=20170409010005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