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문화예술교육을 위한 무용 내용교수지식(PCK-DE)의 요소 탐색
CopyrightⒸ 2019 by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초록
본 연구는 「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2018~2022)」의 발표를 기점으로 생애주기별 맞춤형 문화예술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시점에 사회문화예술교육으로서 유아, 아동・청소년, 청년・중년, 장년・노년을 지도하고 있는 무용교육자들이 인식하고 있는 PCK의 요소들은 무엇인지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에서 다루어진 PCK(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 Dance Education)의 개념과 요소들을 검토하고 이상적 사례선택(ideal case selection)에 근거하여 사회문화예술교육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는 무용교육자 12명과의 개방형 설문과 심층면담을 통해 PCK의 요소들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사회문화예술교육 무용교육자들이 제시한 PCK-DE는 전문지식 기반의 무용교수 역량, 학습자별 특성을 고려한 교수설계 역량, 무용의 기법적 역량, 교수자-학습자 간의 커뮤니케이션 역량, 교수상황 대처 및 평가 역량, 치유와 내적 성장을 위한 관리 역량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통적인 무용교육의 영역인 전문무용, 학교무용에 비해 사회문화예술교육으로서 무용을 지도하는 생활무용은 학습자 지식, 교수법 지식, 교육환경 지식이 특성화되어 있었다. 향후 이를 바탕으로 미시적인 수업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무용수업모형, 교수법, 상황적 학습전략을 개발할 수 있는 실천과 노력이 요청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what are the elements of PCK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erceived by dance educators who teach preschoolers, children, teenagers, youth, the middle aged, the prime aged and the elderly for societal arts & culture education. It might be meaningful particularly under the present circumstances when the importance of tailored arts & culture education by each life cycle is emphasized more than ever following the announcement of 'Master Plan of Arts & Culture Education (2018~2022)'. For this, the study examined the concept and elements of PCK dealt in previous research, and based on criterion sampling (Goetz & LeCompte, 1984) drew the elements of PCK using open-ended survey question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12 dance educators working in the field of societal arts & culture education. PCKs suggested by them turned out to be in the order of ability to sympathize and communicate with learners, ability of movement change and choreography, ability to cope with educational environment and particular circumstances, positive feedback and verbal expression ability and accurate motion demonstrating ability. The study found that specialization was made in the areas of knowledge of learners, knowledge of pedagogy, knowledge of educational environment in traditional dance education domain school dance and specialized dances. Building on these findings, dance educators need to develop dance lesson models, pedagogy, situational learning strategy that can be used in diverse actual classrooms.
Keywords:
PCK-D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eaching Professionalism, Social Arts & Culture Education, Community Dance키워드:
PCK-DE, 내용교수지식, 무용교육자전문성, 사회문화예술교육, 커뮤니티댄스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2017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17S1A5B8058996).
References
- 공주희(2017). 문화소외지역을 위한 무용교육 지원사업 활성화방안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중심으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 곽영순, 강호선(2005). 교사평가 수업평가-수업평가 바로하기-. 도서출판: 원미사.
- 교육인적자원부(2007). 2007 개정 교육과정.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 권덕원, 석문주(2016). 음악교사의 PCK에 대한 이해와 적용. 교사교육연구, 55(4), 460-471. [https://doi.org/10.15812/ter.55.4.201612.460]
- 권성룡(2015). 초등수학교사의 PCK 향상을 위한 수업연구의 방향 탐색. 교육논총, 52(1), 15-43.
- 김경은(2018). 사회과 예비교사를 위한 학습자중심 수업전문성 프로그램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17), 543-568. [https://doi.org/10.22251/jlcci.2018.18.17.543]
- 김명수(2018). 초등 체육교과 내용 교수 지식(PCK) 습득을 위한 실행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2), 677-701. [https://doi.org/10.22251/jlcci.2018.18.2.677]
- 김병수(2013). 국어 수업 분석을 통한 예비교사와 경력교사의 PCK 연구. 새국어교육, 97, 7-36. [https://doi.org/10.15734/koed..97.201312.7]
- 김선아(2014). 미술과 초임교사의 내용교수지식(PCK) 개발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조형교육, 50, 1-25.
- 김영미(2016). 무용에서의 신체정렬과 고유수용감각 고찰. 대한무용학회논문집, 74(2), 49-61.
- 김영미, 홍경화(2017). 신체정렬수업이 현대무용전공 대학생의 자기조절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과학회지, 34(2), 69-81. [https://doi.org/10.21539/Ksds.2017.34.2.69]
- 김우경, 이영일(2017). 생활무용 참여자의 만족 척도 개발 및 타당도. 한국무용연구, 35(2), 25-46. [https://doi.org/10.15726/jkd.2017.35.2.002]
- 김욱, 김지태(2017). 통합교육의 내용교수지식(PCK)에 관한 예비·경력체육교사의 개념도 구성과 특성 차이 분석. 한국체육학회지, 56(5), 807-822. [https://doi.org/10.23949/KJPE.2017.09.56.5.59]
- 김정민, 이한주, 이정화, 김진경(2013). 전문무용단 예술감독의 교수전문지식(PCK) 탐색. 대한무용학회논문집, 71(2), 47-76.
- 김지영(2012). The content and structure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PCK) of recreational dance educators.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 김지영, 박인실(2016). 무용패러다임의 진화: 실천공동체의 이론과 사례를 근거로 한 커뮤니티댄스의 재개념화. 한국체육학회지, 55(4), 443-462.
- 김지영, 윤용진(2012). 라인댄스의 교육 체계를 위한 지도자들의 PCK 탐구: 교육대상별 교수내용지식의 차별화. 한국사회체육학회지, 48(1), 87-102.
- 김지영, 주형철, 윤인애(2013). 무용교육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능력, 지도자 신뢰 및 무용몰입의 구조적 관계, 대한무용학회논문집, 17(3), 1-24.
- 류상환, 남상준(2016). 사회과 수업전문성에 관한 초등교사의 인식. 사회과교육연구, 23(2), 67-82.
- 문공주(2019). 과학-예술 융합교육을 위한 교수내용지식 (SAI-PCK)의 요소. 학습자중심교과교육, 19(2), 669-691. [https://doi.org/10.22251/jlcci.2019.19.2.669]
- 문화체육관광부(2018). 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2018~2022). 서울: 문화체육관광부
- 박계화, 정영란(2018). 초임 과학교사의 PCK와 수업에서 발현되는 PCK의 비교에 대한 사례연구. 교과교육학연구, 22(5), 293-304. [https://doi.org/10.24231/rici.2018.22.5.293]
- 박대원(2016). 예비체육교사의 교육적 가치 담론에 따른 수업지도안 작성과 수업실연 경험에 관한 연구-교수핵심질문과 그 방안을 중심으로.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23(3), 19-46.
- 박명옥(2011). 초등 미술과 수업에 나타난 내용교수지식(PCK) 분석 연구. 교육과정평가연구, 14(1), 123-150.
- 박선정, 민현주(2018). 생활무용 지도자의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긍정심리자본 및 갈등관리방식에 미치는 영향. 대한무용학회논문집, 76(5), 65-84. [https://doi.org/10.21317/ksd.76.5.4]
- 박영애(2012). 무용요법에서의 음악사용. 대한무용학회논문집, 70(1), 147-158.
- 박정철(2018). 음악 감상수업에 있어서 내러티브를 활용한 pck 수업의 실제. 인성교육연구, 3(1), 23-43.
- 박태호, 최민영(2013). PCK에 기반한 국어과 쓰기 수업 설계 방안 연구. 작문연구, 17, 155-192.
- 박혜연(2017). 문화예술교육으로서의 무용교육에서 미적체험의 구조 및 교수전략 탐색- 근거이론 패러다임모형을 중심으로. 한국예술연구, 17, 275-301.
- 백현정, 민찬규(2009). 중등학교 영어 교사의 내용 교수 지식에 대한 조사 연구. 중등영어교육, 2(2), 95-114.
- 서예원, 조은숙, 문영, 김윤진(2013). 무용교육표준 개발 연구. 무용예술학연구, 42, 21-49. [https://doi.org/10.16877/kjds.42.3.201305.21]
- 손지현, 윤지영(2014). 내용교수지식(PCK)에 기반한 발도르프 습식수채화 수업 설계 방안 연구. 예술교육연구, 12(2), 19-41.
- 심상길, 우지영(2018). 수학교과 교수내용지식(PCK)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특수아동교육연구, 20(4), 155-177.
- 윤상문, 염두승(2018). 생활무용 지도자의 긍정심리자본이 무용정서 및 무용능력성취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학회지, 16(3), 281-290.
- 윤성원(2015). PCK에 근거한 음악교사 임용시험의 내용 탐색. 음악교육공학, 22, 147-168.
- 이병준, 이유리(2013). Mimesis 이론 기반의 무용교육방법론 탐색 - Paul Ricoeur의 삼중 미메시스 이론을 중심으로 -. 무용예술학연구, 45(6), 81-102.
- 이유리, 곽승철(2011). 교수내용지식(PCK)의 연구 동향에 대한 분석. 교육종합연구, 9(3), 115-134.
- 이유리, 이병준(2017). 문화예술교육으로의 무용교육 이행에 관한 패러다임 분석 연구. 문화예술교육연구, 12(3), 1-26.
- 이윤경, 조미혜(2018). 중등체육교사 전문성 신장을 위한무용교육과정 진단.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23), 317-338. [https://doi.org/10.22251/jlcci.2018.18.23.317]
- 이은진(2019). 대학-유치원 협력관계에 기반한 Field에서의 실제 교수경험이 예비유아교사들의 과학교수지식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24(1), 85-105. [https://doi.org/10.20437/KOAECE24-1-04]
- 이진희(2017). 생활무용 지도자의 전문성 척도개발. 한국무용과학회지, 34(2), 37-51. [https://doi.org/10.21539/Ksds.2017.34.2.37]
- 이인경(2006). 건강교과교육의 이론과 실제-실천적 이론가로서 교사의 역할을 기대하며-. 교원교육, 22(2), 155-173.
- 이효림, 이지연(2018). 예비유아교사의 사회과 내용교수지식(PCK)향상을 위한 유아사회교육 수업 모형 개발. 열린유아교육연구, 23(5), 223-244. [https://doi.org/10.20437/KOAECE23-5-10]
- 임영숙(2015). 공간인식 교육프로그램 운영체계. 조형교육, 56, 251-276.
- 장현주(2010). 다문화가정 아동을 위한 지역문화시설의 무용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 전영한, 한만석(2015). 초등학교 저경력 교사들의 체육교과 PCK 형성 과정 탐색. 한국초등체육학회지, 21(1), 235-251.
- 조남흥(2015). 생활무용 지도자의 인적서비스가 수업 참여자의 감정반응과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웰니스학회지, 10(4), 197-212.
- 조미혜, 홍희정, 김승환(2013). 체육과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PCK) 하위요소 구조화 및 성취기준 구성. 한국여성체육학회지, 27(2), 79-95.
- 주미경, 김래영(2016). 융복합적 수학수업에서 나타난 PCK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4), 1029-1063.
- 최윤경(2012). 초등학교 음악 창작 수업에서 나타난 교사의 PCK사례 분석. 예술교육연구, 10(3), 199-226.
-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07).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체육과 내용 교수 지식(PCK) 연구.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한은미, 정경숙(2008). 수업 컨설팅을 통한 초등영어 교사의 내용교수지식 발달에 관한 사례 연구. 초등영어교육, 14(2), 73-94.
- 홍미화(2013). 예비 초등교사의 사회과 수업지도안에 나타난 활동 유형. 사회과수업연구, 1(1), 1-21.
- Barry, M. M., Clarke, A. M., Jenkins, R., & Patel, V. (2013). A systematic review of the effectiveness of mental health promotion interventions for young people in low and middle income countries. BMC Public Health, 13, 835-854. [https://doi.org/10.1186/1471-2458-13-835]
- Chempp, P., Manross, D., Tan, S., & Fincher, M. (1998). Student expertise and teacher's knowledge. Journal of Teaching in Physical Education, 17, 342-356. [https://doi.org/10.1123/jtpe.17.3.342]
- Cochran, K. L., Deruiter. J. A., & King, R. A. (1993). Pedagogical content knowing: An integrative mode for teacher preparat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44(4), 263-272. [https://doi.org/10.1177/0022487193044004004]
- Gess-Newsome, J., & Lederman, N. (1999). Exami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ed). Dordrecht, Netherlands: Kluwer Academic Publishers.
- Goetz, J. P., & LeCompte, M. D. (1984). Ethnography and qualitative design in educational research. Orlando, FL: Academic Press.
- Grossman, P. L. (1990). The making of a teacher: teacher knowledge and teacher education. NY: Teachers College Press.
- Gudmundsdottir, S., & Shulman L. S. (1987).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social studies. Scandinavian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 31, 59-70. [https://doi.org/10.1080/0031383870310201]
- Kendall, F. P., McCreary, E. K., Provance, P. G., Rodgers, M. M., & Romani, W. A. (2005). Muscles: Testing and function with posture and pain.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 Marks, R. (1990). Procedural content knowledge: From a mathematical case to modified concept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41(3), 3-11. [https://doi.org/10.1177/002248719004100302]
- Purves, A. C., Papa, L., & Jordan, S. (Eds.).(1994.). Encyclopedia of english studies and language arts. Urban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English.
- Schempp, P., Manross, D., Tan, S., & Fincher, M. (1998). Student expertise and teacher's knowledge. Journal of Teaching in Physical Education, 17, 342-356. [https://doi.org/10.1123/jtpe.17.3.342]
- Shulman, L. S. (1986). Those who understand: Knowledge growth in teaching. Educational Researcher, 15(2), 4-14. [https://doi.org/10.3102/0013189X015002004]
- Shulman, L. S. (1987). Knowledge and teaching: Foundations of the new reform. Harvard Educational Review, 57(1), 1-22. [https://doi.org/10.17763/haer.57.1.j463w79r56455411]
- Van Dijk, E. M. (2009). Teacher’s views on understanding evolutionary theory: A PCK-Study in the framework of the ERTE-model. Teaching Education, 25(2), 259-267. [https://doi.org/10.1016/j.tate.2008.09.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