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Article ]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Vol. 35, No. 4, pp.91-107
ISSN: 1229-7836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Oct 2018
Received 31 Aug 2018 Revised 11 Oct 2018 Accepted 21 Oct 2018
DOI: https://doi.org/10.21539/Ksds.2018.35.4.91

고용형태에 따른 심리적 안녕감과 무용수행능력성취감의 관계

최은혜 ; 김희진**
세종대학교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Dance Performance Achievement by Employment Type
Choi, Eun-Hye ; Kim, Hee-Jin**
Sejong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 heejin74k@nate.com

CopyrightⒸ 2018 by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초록

본 연구는 직업무용수들과 비직업 무용수들의 심리적 안녕감과 무용수행능력성취감에 차이를 비교 분석하고, 심리적 안녕감과 무용수행능력성취감의 관계를 알아보며 직업무용수와 비직업 무용수들의 무용수행능력에 변별력을 주는 심리적 안녕감의 하위요인을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는 직업무용수 300명과 비직업 무용수 300명을 표집으로 설정하였고, 선행 질문지들의 탐색적 요인 분석과 직업무용수와 비직업 무용수들의 심리적 안녕감과 무용수행능력성취감 비교를 위해 독립적 t-test를 실시하였고, 심리적 안녕감과 무용수행능력성취감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서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직업무용수와 비직업 무용수 집단의 변별력 검증을 위해서 판별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모든 통계적 유의도 α=.05로 설정하였다.

첫째, 본 연구에서 심리적 안녕감의 대인관계 요인은 비직업 무용수들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자율성 요인은 직업무용수가 유의하게 높았다(p<.05). 둘째, 본 연구의 직업무용수들을 무용수행능력성취감 요인의 신체관리능력 및 실기능력성취감, 무용수행자신감, 무용수행집중 및 무용수행성취 요인은 비직업 무용수들 보다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이해능력성취감 요인은 두 그룹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5). 셋째, 본 연구에서 직업무용수들은 심리적 안녕감의 하위요인은 환경에 대한 지배력 및 삶의 목적, 자율성, 자아수용 요인이 부분적으로 무용수행능력성취감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으며, 비직업 무용수들은 모든 하위 요인들에 부분적으로 무용수행능력성취감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다. 넷째, 본 연구의 직업무용수와 비직업 무용수들의 무용수행능력성취감 변별력을 보여주는 결정적인 요인은 긍정적 대인관계, 자율성, 개인적 성장 요인이었다. 결론적으로 심리적 안녕감의 긍정적 대인관계, 자율성, 개인적 성장 요인이 직업무용수들의 무용수행능력성취감에 영향을 주는 결정적인 요인이며, 무용수행능력성취감의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과 비직업 무용수들이 명확하게 변별되는 요인이다. 즉, 이러한 부분들을 개선시킴으로서 무용수행능력성취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무용수로서 지속적으로 활동하는데 영향을 미칠 것이다.

Abstract

This study was aim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difference o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dance performance achievement and effectively determine which impact the factors will have on difference between dnacer of dance company and freelance dancer. The subjects were dancer of dance company(N=300) and freelance dancer(N=300) engaged in korean dance, modern dance and ballet. For this study analysis, a preliminary study was conducted to secure data reliability and validity and was used various statistics including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t-test,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d discriminant analysis. This study result are as follows:

For psychological well-being variable, the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 was significant higher in freelancer dancer(p<.05) but autonomy support was significant higher in dance of dance company(p<.05), There were no a significant difference in dance performance achievement variables between groups(p.>05). The psychological well-being variable included environment governing power, purpose in life, self-acceptance and autonomy support partially affect dance performance achievement in dancer of company dance and the freelance dancer. The psychological well being variable included autonomy support, personal growth and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 can effectively distinguish the dance performance achievement between the dancer of dance company and freelance dance group.

Keywords:

dancer of dance company, freelance dancer, dance performance achievement, psychological well-being

키워드:

직업무용수, 비직업 무용수, 무용수행능력성취감, 심리적 안녕감

Acknowledgments

본 연구는 최은혜의 2017년 박사학위 논문을 일부 수정 및 보완한 것임.

References

  • 강은주(2016). 무용전공 여고생의 신체이미지와 무용수행능력의 관계.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 김명소, 김혜원, 차경호(2001). 심리적 안녕감의 구성개념분석. 한국심리학회지, 15(2), 19-39.
  • 길진영(2012). 예술 고등학교 무용 전공학생들의 자기관리와 학습몰입과의 관계.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 김아름(2015). 무용전공 대학생의 능력믿음, 동기, 자기관리 및 무용지속의 관계.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 김종이(2012). 하키선수들의 자기관리행동과 심리적 기술이 스포츠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조선대학교 대학원.
  • 김진아(2010). 무용전공 대학생들의 심리적 기본욕구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 김현숙, 표내숙(2009). 직업무용수들의 자기관리 특성. 부산대학교 부설 체육과학연구소, 25(2), 1-10.
  • 김혜정, 박혜은(2010). 무용전공 대학생이 지각한 무용교수유형이 지도자 신뢰 및 무용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과학회지, 22(1), 1-17.
  • 김희영(2000). 다이어트를 하는 여고생 집단에서 완벽주의적 성향과 다이어트 실패경험이 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카톨릭대학교 대학원.
  • 류정희, 이명자(2007). 청소년의 심리적, 사회적 안녕감; 그 구조 및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4(1), 55-77.
  • 박미소(2012). 직업무용단의 직무특성과 심리적 주인의식 및 공연성과와의 관계.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대학원.
  • 백누리(2016). 무용전공 대학생의 자기지각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무용수행의 매개효과.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강원대학교 대학원.
  • 오아람(2013). 무용전공 대학생들의 신체관리가 무용 자신감과 무용능력성취감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상명대학교 대학원.
  • 유진, 한시완(2007). 무용수들의 자기조절 전력의 역동성.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18(3), 165-197.
  • 윤선의(2009). 대학 무용전공 학생의 자기효능감이 무용수행능력 개발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동국대학교 대학원.
  • 이래교(2016). 무용전공학생들의 무용 참여동기가 무용 중독성향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세종대학교 대학원.
  • 이영준(2015). 대학생들의 스포츠 활동 참여 동기와 운동 몰입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 이정수(2004). 여성 직업무용수의 여가경헙에 대한 현상학적 분석.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 이예원(2016). 무용전공 대학생들의 완벽주의 성향과 자기관리 및 성취목표성향간의 관계.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 이학식, 임지훈(2011). SPSS 18.0 매뉴얼. 서울 : 집현재.
  • 이현경(2008). 직업무용수와 비직업 무용수의 자기관리 비교 분석.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스포츠과학대학원.
  • 정희담(2008). 무용전공 여자대학생의 신체상지각과 체질량지수와의 관계.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새종대학교 대학원.
  • 조영주(2005). 무용수행의 심리적 요인 구조 분석.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창원대학교 대학원.
  • 조영주, 정유영, 이강헌(2007). 무용수행의 심리적 요인 탐색. 한국무용예술학회, 21(24), 151-174.
  • 최은혜(2017). 무용단소속 여부에 따른 무용수행능력성취감에 미치는 심리적요인 비교 분석.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세종대학교 대학원.
  • 한혜원, 오진숙(2011). 무용전공 여대생의 신체이미지가 무용자신감과 무용능력 성취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20(5), 859-870.
  • 황경숙(2009). 무용학의 재구성. 서울 : 한국학술정보. 111-112.
  • 현보람(2016). 직업무용단 무용수의 신뢰연결망 구조와 사회적 자원교환의 관계.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호서대학교 대학원.
  • 형남희(2017). 직업무용수의 직무특성이 직업가치관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 Ryff, C. D.(1989).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s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7(6), 1069-1081. [https://doi.org/10.1037/0022-3514.57.6.1069]
  • Jones, R. T. & Nelson, R. E * Kazdin, A. E.(1977). The Role of external variables in self re-inforcement: A review. Behavior Modification, 1, 147-148. [https://doi.org/10.1177/01454455771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