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Article ]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Vol. 35, No. 4, pp.43-60
ISSN: 1229-7836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Oct 2018
Received 31 Aug 2018 Revised 15 Oct 2018 Accepted 21 Oct 2018
DOI: https://doi.org/10.21539/Ksds.2018.35.4.43

무용전공자가 경험한 유아무용지도 과정의 난점 분석을 통한 개선 방향 탐색

윤혜선 ; 김예진*
동덕여자대학교
A Study on Improvement Direction for Infant Dance Instruction Courses through Analysis of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Dance Majors
Yoon, Hye-Sun ; Kim, Yeh-Jin*
Dongduk Women's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 nana1729@hanmail.net

CopyrightⒸ 2018 by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초록

이 연구는 무용전공자들이 유아무용지도 과정에서 경험한 난점 분석을 통해 유아무용교육의 개선 과제를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4년제 대학에서 무용과 졸업 후 유아교육 관련 기관에서 현재까지 4년 이상 유아무용지도자로 활동한 경력을 가진 8인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통한 질적연구로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의 달성을 위해 심층면담을 통해서 도출된 자료는 전문가 회의를 통해 분석하였다. 이에 따라 도출된 결과는 크게 3가지 대주제로 범주화되었고, 그 주제는 ‘유아무용 지도자 자격과정 및 양성과정의 난점’, ‘유아무용 지도방식 및 활동지속의 난점’, ‘유아무용 지도자 활동에서 환경적 난점’으로 분류되었으며 각 대주제별로 범주화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전공자가 경험한 ‘유아무용 지도자 자격과정 및 양성과정의 난점’에 대한 내용은 ‘자격증 발급기관의 운영방식’과 ‘지도자 양성기관의 교육내용’에 대한 난점으로 나타났다. 둘째, 무용전공자가 경험한 ‘유아무용 지도방식 및 활동지속의 난점’은 수업과정에서 ‘지도자의 대처 방법’, ‘지도자의 전문성 부족’, ‘유아무용지도자로서 활동지속의 한계’에 대한 내용으로 나타났다. 셋째, 무용전공자가 경험한 ‘유아무용 지도자 활동에서 환경적 난점’은 ‘교육기관과의 마찰’, ‘지도자 파견기관과의 마찰’, ‘학부모와의 마찰’에 대한 내용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해 보면 무용전공자들은 유아무용지도 과정에서 경험한 난점에 대해 다각도의 관점에서 인식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 개선 방안도 함께 제시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에서 무용전공자들은 이러한 난점들에 대해 사회적, 제도적 관점에서 해결해야 하는 문제로 볼 수도 있지만 무용전공자들이 유아무용교육의 올바른 교육적 가치 실현 차원에서 지도자로서의 책임감과 전문적 자질 함양을 통해 유아무용지도 활동에 대한 난점들을 능동적으로 해결하려는 자세와 노력으로 난점 개선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유아무용지도자로 준비하는 교육생이나 활동 중인 지도자들과 유아무용교육 관련기관의 종사자들에게 유용한 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mprovement tasks for early childhood dance education by analyzing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dance major students in the process of infant dance instruction. This study was carried out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using the in-depth interviews of 8 persons who have been working as infant dance leaders for 4 years or more in an institute related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after graduating from a 4 year college. The data deriv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as analyzed through expert meeting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ccordingly, the result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broad categories. The themes are ‘Difficult points in the qualification process and training course for infant dance leaders’, ‘Difficult points with continuing activities and guidance in infant dance instruction’, and ‘Difficult points in the environment for the activities of infant dance leaders’. The results of for each main category are as follows: First, the contents in ‘Difficult points in the qualification process and training course for infant dance leaders’that the dance majors experienced appeared as ‘Difficulty in the way of operating the certificate issuing organization’ and ‘Difficulty with the educational contents of the leader training institute’. Second, the ‘Difficult points with continuing activities and guidance in infant dance instruction’appeared as ‘How leaders cope’, ‘Lack of leaders’ professionalism’, and ‘Limit of continuous activities as a leader of infant dance’ in the course of the lesson. Third, the ‘Difficult points in the environment for the activities of infant dance leaders’that the dance majors experienced were found to be ‘Friction with educational institutes’, ‘Friction with institutions that dispatched the leaders’, and ‘Friction with parents of students’.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dance major students not only recognized the difficulties they experienced in the process of teaching infant dancing, but also suggested ways to improve them. In this study, dance major students can regard these difficulties as a problem to be solved in terms of social and institutional viewpoints. It shows, however, dance major students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improving these difficulties with the attitude and effort to solve them by developing responsibilities and professional qualities as leaders in realizing the educational value of infant dance education. I hope that these results will be used as a valuable resource in the future for students who are preparing to become infant dance leaders, leaders in active roles, and those who are in institutes related to infant dance education.

Keywords:

dance major, infant dance, dance education, qualitative research

키워드:

무용전공자, 유아무용, 무용교육, 질적연구

References

  • 강은영(2013). 유아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대학원.
  • 권세시, 이원미(2014). 유아의 한국춤 교육에 대한 무용전공자의 인식조사. 한국무용연구, 32(2), 29-50.
  • 고은숙, 차은주(2016). 유아무용 지도자 프로그램 현황 및 개선 방안. 한국무용학회지, 16(2), 1-10.
  • 김미숙(2014). 무용전공 대학생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선호직업유형과 교과과정 만족도. 한국무용연구, 32(2), 51-76.
  • 김미향(2006). 유아무용에 관한 학부모의 인식도 분석.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대학원.
  • 김주희(2012). 유아 무용강사 파견업체 현황분석과 개선방안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대학원.
  • 김효영(2007). 유아무용교육에 대한 학부모 인식도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 김화숙, 신은경, 신정희, 임혜자, 오레지나, 한혜리(2015). 무용교육론. 서울: 한학문화.
  • 남정걸(1998). 교육실습의 이론과 실제. 서울: 교육과학사.
  • 박지숙(2008). 무용전공생의 교육실습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예술교육연구, 6(2), 19-33.
  • 변민경(2010). 유아무용교육의 현황과 무용지도자 인식의 영향력 분석: 사설 무용교육기관을 중심으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전북대학교 대학원.
  • 서영주(2016). 통합 유아발레 교육경험 탐색.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송미숙(2015). 예비 초등 교사의 무용 수업 인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 탐색. 우리춤과 과학기술, 28, 53-69.
  • 안정훈(2001). 체육교육실습에 대한 중등체육교사의 인식.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8(2), 177-190.
  • 양혜주, 여인성(2010). 유아발레의 지도실태와 개선방안. 대한무용학회논문집, 63, 115-132.
  • 윤혜선, 김예진(2017). 유아무용교육에서 무용전공자의 지도형태와 통합예술교육의 적용에 대한 인식 연구. 한국무용과학회지, 34(3), 27-44.
  • 오지은(2017). 유아신체활동 예비지도자의 전문성과 태도 및 발전방향 : 4년제 체육과 학생을 대상으로,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7(2), 799-808.
  • 이미경(2007). 한국 유아무용 분야 연구 동향에 관한 분석. 한국무용교육학회지, 17(1). 1-25.
  • 이영아(2007). 문화센터 무용 프로그램 발전 방안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세종대학교 교육대학원.
  • 이은경(2008). 조기 영어무용교육의 효과성 분석 및 활성화 방안.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 이은진(2008). 유아 무용교사의 직무 및 조직요인과 이직의도의 관계.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 임수진(2013). ‘즐거운 생활’ 신쳬표현활동 잘 가르치기 : 교사수업지도의 난점과 개선방안. 한국초등체육학회지, 19(1), 1-13.
  • 정은수(2009). 유아무용 파견교사 교육환경 요인 탐색.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 차윤신(2014). 발레교수법을 활용한 유아발레 교육방안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세종대학교 일반대학원.
  • 정옥희(2013). 유아 영어발레 프로그램의 교육원리 및 방법론 분석. 무용예술학연구, 45, 103-131.
  • 허우정(2016). Q-방법론을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동작교수 어려움에 대한 유형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10), 639-6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