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Article ]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Vol. 35, No. 3, pp.59-72
ISSN: 1229-7836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Jul 2018
Received 31 May 2018 Revised 01 Jun 2018 Accepted 18 Jul 2018
DOI: https://doi.org/10.21539/Ksds.2018.35.3.59

대학 한국무용 교수자의 강의역량 탐색 : 네트워크 기반 의미연결망 분석의 적용

김혜련 ; 최창환**
한국체육대학교
Exploring the Teaching Competency of University Korean Dance Instructor : Application of Semantic Network Analysis
Kim, hye-Ryeon ; Choi, chang-hwan**
Korea national sport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 chchoi85@gmail.com

CopyrightⒸ 2018 by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초록

이 연구는 네트워크 기반 의미연결망 분석을 적용하여 대학 한국무용 교수자들의 강의역량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 소재 대학 무용 전공자 96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학습자가 인식하는 대학 한국무용 교수자의 강의역량을 탐색하였다. 연구대상의 표집방법은 비확률표집방법 중 편의표본추출법을 적용하였으며, 비구조화 질문지와 반 구조화 질문지를 활용하여 대학 한국무용 교수자에게 요구되는 강의역량을 서술하도록 하였다. 수집된 연구 자료에서 강의역량을 의미하는 개념단어를 추출하였으며, Netminer 4.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의미연결망 분석을 위해 기술통계, 연결중앙성, 매개중앙성, 위세중앙성의 분석지표를 산출 하였다. 연구결과 대학 한국무용 교수자의 강의역량은 ‘전문성’, ‘교수법’, ‘학생중심’, ‘강의준비’, ‘공정성’, ‘평가’, ‘맞춤형’의 단어를 기반으로 관계와 연결강도를 형성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국무용의 특수성을 반영하여 학습자 중심의 맞춤 수업이 상위개념으로 나타났으며, 전문성을 지닌 교수자의 교수법을 통하여 공정성 있는 평가를 하는 것을 한국무용 교수자들의 주된 강의역량 요인으로 인지하고 있음을 탐색할 수 있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대학 한국무용 교수자들에게 강의역량 재고의 필요성과 수업계획 등의 유용한 정보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teaching competence of Korea dance instructor in the university by apply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96 students majoring in university dance in Seoul were selected. Netminer 4.0 software was used to analyze the degree, between, eigenvector centrality.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The teaching competence of Korea dance instructor in universities is based on the words 'professionalism', 'teaching method', 'student-centered', 'lecture preparation', 'fairness', 'evaluation', and 'customized' respectively. Reflecting the peculiarity of Korea dance, the learner-centered customized lesson appeared as the upper concept. It is possible to find out that the evaluation of fairness through the teaching method of instructors with specialization is recognized as the main teaching competency factor of Korea dance instructors.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useful information such as the necessity of teaching competency inventory and teaching plan to Korea dance instructors of university.

Keywords:

Korea dance, teaching competence, instructor, semantic network analysis

키워드:

한국무용, 무용 교수자, 강의역량, 네트워크 의미연결망

Acknowledgments

이 연구는 2017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과제번호: 2017S1A5B5A01026487)

References

  • 강미리(2015). 무용지도자의 리더십 역량 강화를 위한 기독교적 리더십의 적용.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 강성룡(2014). 예술강사 역량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숭실대학교 대학원..
  • 김연수(2017). 유아교사용 수업역량 평가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대학원..
  • 김희곤(2017). 교육자의 역량과 학습자 성과간의 관계: 교육훈련 만족도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한국산업경영학회, 32(3), 361-385..
  • 김현수, 정혜영(2016). 유아교사의 핵심역량에 대한 네트워크 분석. 유아교육연구, 36(5), 135-158..
  • 김혜련(2016). 무용 전공 대학생들의 무용교수유형 선호도 측정척도 개발.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상명대학교 대학원..
  • 박한우, Leydesdorff, L. (2004). 한국어의 내용분석을 위한 KrKwic 프로그램의 이해와 적용,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6(5), 1377-1388..
  • 박창현, 전경화(2014).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하는 교육 실습 역량 분석: 면담자료 및 개념 연결망 분석, 유아교육학논집, 18(4), 289-306..
  • 성예진(2016). 대학 무용전공자들의 무용학습 참여동기 측정도구 개발.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상명대학교 대학원..
  • 손충기(1998). 중등학교 교사의 수업에 대한 학생평가의 타당성 연구, 교육평가연구, 11(2), 69-90..
  • 신안나(2013). 중학생이 지각한 실천적 교수역량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수업참여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 양은하(2010). 교수역량 진단도구 개발; A 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 원효헌, 설현수(2000). 학생에 의한 교사 교수활동 평가도구의 양호도 분석, 교육평가연구, 13(2), 55-76..
  • 윤지운, 박재현(2015). 질적연구의 내용분석을 위한 의미연결망 : 특수체육의 활용가능성, 한국체육학회지, 54(5), 877-889..
  • 이기훈(2010). 강의평가 타당성과 신뢰성에 관한 연구-전주대학교 강의평가 결과를 중심으로,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21(1), 87- 98..
  • 이대용(2012). 초등학교 교사의 교수역량 평가지표 개발 및 타당화.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 이세환(2010). 국내 태권도학 분야의 연구동향과 학문적 과제, 국기원 태권도연구, 1(1), 1-11..
  • 이수상(2012). 네트워크 분석 방법론. 논형. 서울..
  • 이현영(2012). 공과대학 교수역량진단도구 개발과 교수역량, 교수 효능감, 직무만족도, 강의평가 간의 관계규명.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임우섭, 김용주(2007). 대학 교수의 핵심 강의역량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25(4), 413-434..
  • 정선정(2017). 우수 직업훈련교사에 관한 의미연결망 분석, 직업능력개발연구, 20(1), 167-201..
  • 조수빈(2014). 무용전공대학생의 자기관리가 대학생활 적응 및 무용성취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단국대학교대학원..
  • 최미나(2006). 대학에서 교수역량 분석을 통한 효과적인 교수 역량 진단방안 탐색, 청주대학교학술연구소, 7(S), 143-164..
  • 최유리(2017). 태권도지도자의 전문성 척도개발 및 타당도 검증, 한국체육학회지, 56(1), 263-274..
  • 최창환, 이재봉(2017). 국내 태권도학 연구의 지식구조 탐색, 한국체육학회지, 56(3),627-644..
  • 하오선(2017). 학습자 관점에서의 대학교수 강의역량 요인 도출 및 강의수준에 따른 차이 분석, 교육종합연구, 15(1), 1-26.
  • 한관종(2003). 사회과학 방법론으로서의 연결망 분석기법 적용의 의의와 연구과제: 의미연결망 분석을 중심으로, 사회과교육연구, 10(2) 219-235..
  • Albanese. M. A. (1991). The validity of lecturer ratings by students and trained observers. Academic Medicine, 66(1), 26-28.. [https://doi.org/10.1097/00001888-199101000-00008]
  • Cohen, P. A. (1981). Student ratings of instruction and student achievement: A meta-analysis of multisection validity studies.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51(3), 281-309.. [https://doi.org/10.3102/00346543051003281]
  • Doerfel, M. L., & Barnett, G. A. (1999). A semantic network analysis of the international communication.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25(4), 589-603.. [https://doi.org/10.1111/j.1468-2958.1999.tb00463.x]
  • Fico, F. G., Lacy, S., & Riffe, D. (2008). A content analysis guide for media economics scholars. Journal of Media Economics, 21(2), 114-130.. [https://doi.org/10.1080/08997760802069994]
  • Marsh, H. W., Fleiner, H., & Thomas, C. S. (1975). Validity and usefulness of student evaluations of instructional quality.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67(1), 833- 839.. [https://doi.org/10.1037/0022-0663.67.6.833]
  • Rourke, L., & Anderson, T. (2004). Validity in quantitative content analysis.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52(1), 5.. [https://doi.org/10.1007/BF02504769]
  • Strijbos, J. W., & Stahl, G. (2007). Methodological issues in developing a multi-dimensional coding procedure for small-group chat communication. Learning and Instruction, 17(4), 394-404.. [https://doi.org/10.1016/j.learninstruc.2007.03.005]
  • 경향신문 (인터넷신문, 2006년 04월 8일자 사회면).
  • 아주경제 (인터넷신문, 2009년 04월 8일자 사회면).
  • 이투데이 (인터넷신문, 2009년 04월 8일자 사회면).
  • 한국대학신문 데일리 UNN(인터넷 신문, 2016년 10월 17일자).
  • 한국대학신문 데일리 UNN(인터넷 신문, 2017년 3월 19일자).
  • 한겨례신문(인터넷 신문, 2016년, 11월 18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