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무용학과 문화예술교육사 자격 인정 전공교과의 체계적 학습모듈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CopyrightⒸ 2018 by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초록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사회적 수요의 증대와 교육수준의 질적 고양에 대한 요청에 따라 전통적으로 무용전문인력을 양성해왔던 고등교육기관인 대학 무용학과의 교육목표 및 교육내용에도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현실적으로 졸업 직후에 무용수, 안무자와 같은 전문적 예술가로의 본격적인 진입과 취업이 매우 힘든 상황에서 학부 졸업생들의 진로를 개척하기 위해서는 문화예술교육사의 양성 또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해야 하는 것이다. 이에 대학 무용학과의 전공 교과과정에서는 전문무용수와 안무자 등을 양성하는 것과 더불어 모든 학습자를 위한 문화예술교육을 가르치는 문화예술교육사를 양성하는 것 또한 하나의 방향성을 설정하여 도입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대학 무용학과에 개설되어 있는 문화예술교육사 자격 인정 전공교과의 운영현황을 살펴보고 고등교육기관으로서 대학 무용학과에서의 문화예술교육사 교육을 체계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문헌고찰을 통해 현재 시점에서 문화예술교육사 2급 자격 교육과정의 교과목과 대학 무용학과 전공교과과정의 운영 상황을 살펴보고, 최근 교육학 및 교육공학에서 체계적인 교수학습을 위해 활용되는 체제적 교수설계(Instructional System Design, ISD)와 최근 체계적인 학습모듈로 인정받고 있는 국가직무능력표준(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의 구성 체계와 개발 절차를 참고하여 문화예술교육사 자격 인정 전공교과의 체계적 학습모듈 개발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문화예술교육사 자격 제도에 대한 이해와 인식을 넓히기 위한 특강, 워크숍, 로드맵의 제공, 체제적 교수설계모형 적용을 위한 기초단계로서 요구분석, 과제분석, 학습자 분석, 환경 분석, 무용 분야 문화예술교육사의 능력 단위명, 능력단위 정의, 능력단위 요소명을 도출하는 연구들이 선행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Abstract
In line with the recent increase of social demand for arts & culture education, there unfolds some change in educational target and contents of dance departments in universities as one of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s fostering dance professionals. Along with education of professional artists such as dancers, choreographers, university dance departments should pursue to foster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uctor, teaching arts & culture education for all learners as an educational direction. Under the circumstances, this study examined major subjects related with qualification of a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uctor at university dance departments and sought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and applying systematic learning modules and educational model. That is, the study examined the aptitude of curriculums for 2nd grade qualification for a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uctor and major subject courses as of 2017, and provided basic data for developing systematic learning modules of major subjects certifying an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uctor, referring to the system and development procedures of the NCS(National Competency Standards)-recently recognized as a systematic learning module.
Keywords: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uctor, university dance department, major subject, instructional system design,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키워드:
문화예술교육사, 대학 무용학과, 전공교과, 체제적 교수설계, 국가직무능력표준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2017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NRF-2017S1A5B8058996)
참고문헌
- 경희대학교 무용학부 홈페이지. 2017학년도 교육과정 개정 안내. http://dance.khu.ac.kr/contents/bbs/bbs_content.html?bbs_cls_cd=006001001&cid=16103114185288&bbs_type=B. 2018.02.27.검색.
- 고용노동부, 한국산업인력공단(2013).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 매뉴얼. 서울: 고용노동부, 한국산업인력공단.
- 교육부 진로정보망 커리어넷. http://www.career.go.kr/cnet/front/base/major/FunivMajorView.do?SEQ=162#tab2). 2018.02.27.검색.
- 교육부,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17). 2017년도 NCS학습모듈 개발 매뉴얼.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김보미(2017).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반 대학 무용교육전문인 양성 교육과정 기준 개발.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 김세중(2016). 공업계열 특성화고등학교 교사들의 NCS 기반 직업교육과정에 대한 인식.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 김수진(2014). 문화예술교육사 제도도입에 따른 대학 무용(학)과 교과현황 조사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 문화예술교육 지원법 법률 제14630호 일부개정 2017. 03. 21. http://www.lawnb.com/lawinfo/contents_view.asp?cid=0DAF321428A24CDA86714D22DE355DCD. 2018.02.27.검색.
- 문화예술교육사 시스템. https://acei.arte.or.kr. 2018.02.27.검색.
- 문화체육관광부(2015). 2015 문화예술교육사 교육과정 세미나. 서울: 문화체육관광부.
- 문화체육관광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7a). 문화예술교육사 교육과정 적합여부 검토 현황. 서울: 문화체육관광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문화체육관광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7b). 문화예술교육사 전공학과 인정여부현황. 서울: 문화체육관광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박상선(2014). NCS 학습모듈을 활용한 특성화 고등학교 컴퓨터 네트워크과 교육과정 개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 박성익, 임철일, 이재경, 최정임(2011). 교육방법의 교육공학적 이해. 파주 : 교육과학사.
- 선걸(2013). 문화예술교육사 양성 교육과정 운영 방향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 오레지나(2013). 대학무용 교육역량강화를 위한 특성화 방향 연구. 한국무용교육학회지, 24(2), 1-12.
- 이주연(2015). 문화예술교육사 제도 정착을 위한 프로그램 체계화 방안-미술 및 디자인 분야를 중심으로-. 미술교육연구논총, 41, 57-81.
- 임학순 외(2011).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제도 도입 방안 연구. 서울: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임학순, 선걸(2012). 문화예술교육사 국가자격증제도 도입에 따른 문화예술교육사 역량 개발방향 모색. 디지털콘텐츠와 문화정책, 6, 169-192.
- 최경희(2010). 대학 무용(학)과의 특성화를 위한 교육과정 개발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최경희(2017). 대학 무용(학)과 및 무용 전공의 변화와 과제. 한국무용교육학회지, 28(3), 23-42.
- 최웅아(2016). 무용분야 문화예술교육사 교육과정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 Association of Teaching Artists(2009). Teaching artist manual(3rd ed.). New York: Association of Teaching Artists.
- Bose, J. H. (2008). Aesthetic education: Philosophy and teaching artist practice at Lincoln Center Institute. New York: A City University of New York.
- Booth, E. (2003). Seeking definition: What is a teaching artist? Teaching Artist Journal, 1(1), 5-12. [https://doi.org/10.1080/15411796.2003.9684265]
- Gagné, R. M., Briggs, L. J., & Wager, W. W. (1992). Principles of instructional design(4th ed.). Forth Worth, TX: Harcourt Brace Jovanovich College Publishers.
- Tennyson, R., Schott, F., Seel, N., & Dijkstra, S. (Eds.) (1997). Instructional design: International perspectives: Theory, research, and models Vol.1. New Jerse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