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 대상 한국춤 프로그램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
CopyrightⒸ 2018 by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초록
본 연구는 2002년부터 2016년까지 15년간 국내에서 진행된 노인 대상 한국춤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동향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노인에게 필요한 한국춤 프로그램연구의 질적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개선과제를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자료는 학위논문 및 학술지의 범위에서 진행하였고, 노인 대상 한국춤 프로그램의 주요 검색어로 생활무용, 춤 체조, 풍물 춤, 국악, 기무, 생활 한국춤, 순수무용, 실버무용, 한국 민속춤, 사회무용, 민요 등의 주제어를 통해 탐색된 연구물을 선별하여 분석하였다. 이에 따라 분석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표연도, 발표형태, 학문분야별 학과 및 학회 동향의 분석 결과, 발표연도는 2007년부터 2011년에 노인 대상 연구가 가장 많이 진행되었고, 발표형태는 학위논문과 학술지에서 균등하게 발표되었으며, 학문분야별 동향은 무용학 관련분야와 체육학 관련분야의 학과 및 학회에서 연구 참여률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연구방법의 분석 결과, 학위논문과 학술지 모두 양적연구방법을 가장 많이 적용하고 있었다. 또한 노인 대상 프로그램에 적용된 한국춤의 종류에 대한 분석 결과, 크게 세 가지 종류로 분류되어 한국전통기본춤, 민속춤, 창작춤으로 분석되었고, 세 가지 종류 중에서는 한국전통기본춤을 기반으로 구성된 활동들이 가장 많이 적용되었다. 또한 프로그램 내용은 춤활동 위주의 구성이 가장 많았고, 한국춤과 더불어 음악활동 또는 체육이 융합된 활동으로 구성되는 경향이 있었다. 셋째, 프로그램 시행 구조에 대한 분석 결과, 연구대상은 여성노인을 위주로 한 연구가 압도적으로 높은 비중을 보였고, 연령대는 70세 이상-75세 미만이 높은 비중을 나타냈으며, 진행차시는 30회-40회, 주당 진행 횟수는 3회 이상, 진행시간은 60분 이상으로 진행되는 구조가 가장 많은 비중으로 나타났다. 넷째, 노인 대상 한국춤 프로그램 연구의 효과에 대한 분석결과, 생리적 효과 검증에 관한 연구가 가장 높은 비중으로 진행되었고, 심리적 효과 검증에 관한 연구가 두 번째로 많이 진행되었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노인 대상 한국춤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tasks for quality improvement of Korean dance program research needed for the elderly in the future by analyzing the research trends of Korean dance programs for the elderly in Korea for 15 years from 2002 to 2016. The data analyzed in this study were in the scope of theses and journals. The main key words of the Korean dance program for the elderly of leisure dance, dancing gymnastics, local dance, traditional music, Korean geisha dance, Korean leisure dance, absolute dance, silver dance, Korean folk dance, social dance, and folk song were selected and analyzed The research was searched through the main words such as folk dance, social dance, and folk song. The main results analyzed a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results of the publication year, publication type, academic field, and academic trends showed that most research were conducted for the elderly from 2007 to 2011, and they were published equally in theses and journals. The trends in academic fields were found to be high in the area of education and associations related to dance and physical education. Second, as a result of analysis of research method, both thesis and academic journals applied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most frequently. In addition, the results of analysis on the types of Korean dance applied to the elderly program were broadly classified into 3 types, Korean traditional dance, folk dance, and creative dance. Among them, activities based on basic Korean traditional dance were applied most. The contents of the program were composed mainly of dance activities and tended to be composed of activities in which music activities or sports were combined with Korean dance.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rogram implementation structure, the study subjects were mostly elderly women, and the ages ranged from 70 to 75 years the highest. The program unit was 30-40 times, more than 3 times a week, and a time of more than 60 minutes was the most common. Fourth,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effect of the research on the Korean dance program for the elderly, studies on the validity of the physiological effect of the human body were conducted the most, the effect on psychological was conducted as wel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Korean dance programs for the elderly in the future.
Keywords:
The elderly, elderly dance, Korean traditional dance, culture arts education, trend of research키워드:
노인, 노인무용, 한국전통춤, 문화예술교육, 연구동향참고문헌
- 강승민(2017.08.03). “발레 찾는 남성 늘었어요”. YTN http://www.ytn.co.kr/_ln/0123_201708031119432909.
- 공감신문(2018.01.11.). 초고령화 사회, 어디까지 왔니?. 공감신문 시사공감 http://www.gokorea.kr/news/articleView.html?idxno=35909.
- 김남중, 김연균(2017. 10. 10.) 서울·경기 자살자 수 감소… 남성·노인은 증가. 국민일보.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3827754&code=11131100&cp=nv.
- 김미란, 이숙자, 신아영, 김성렬(2013). 치매관련간호연구의 동향분석: 국내간호학회지 및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33(4), 895-910.
- 김석일, 오현옥(2017). 필라테스 신체활동 참여노인들의 사회지원과 심리적 안녕감이 운동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56(1), 167-180.
- 김승일, 민애경(2017). 전통무용에 참여하는 남성노인 단일사례연구. 한국체육학회지, 56(4), 551-562.
- 김영욱, 김경민, 오수학, 이나영(2016). 여성의 신체조성에 대한 댄스 프로그램 효과의 메타분석. 한국무용과학회지, 33(4), 93-107.
- 김영욱, 오수학(2017). 노인의 규칙적인 운동참여가 신체조성과 체력에 미치는 효과의 메타 분석적 접근. 한국체육학회지, 56(1), 753-769.
- 김영희, 한진숙(2011). 우리춤 체조가 노인여성의 정신건강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2(7), 3082-3087.
- 김정하, 이경호, 윤정수, 백승현(2013). 한국무용 수행이 노인 여성의 타액 코티졸과 면역글로불린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과학회지, 30(3), 197-207.
- 문지현(2016). 노인을 대상으로 한 국외음악치료연구 메타분석.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 박미정, 이재형(2008), 노인의 생활무용 참여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33(1), 705-714.
- 박영란, 박경순(2013). 한국노인의 사회적 관계망과 복지: 연구의 동향과 향후과제. 노인복지연구, 60, 323-352.
- 배성한(2013). 노인복지관 프로그램 운영의 문제점 및 무용프로그램 개선방안에 관한연구. 한국무용기록학회지, 28, 101-120.
- 변재종(2008). 노인 건강증진을 위한 최신 트레이닝 프로그램. 코칭능력개발지, 10(3), 55-64.
- 서수진(2012). 국내 생활무용의 연구 동향. 한국무용과학회지, 28, 83-95.
- 손영숙(2015). 우리춤 체조가 노인여성의 체력, 호르몬 및 신체정렬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 송한이(2009), 노인종합복지관 생활 체육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노인의 참여특성과 참여만족도의 관계.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 신장철(2012). 노인복지관 여가프로그램 참여노인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미간행석사학위논문. 한일장신대학교 대학원.
- 심미숙(2009). 농촌 노인과 도시 노인의 활동 및 우울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 안병주, 배수을, 김수진(2008). 노인대상 무용강좌 현황과 시사점. 무용예술학연구, 25, 143-160.
- 양민후(2017. 10. 17.). “치매 예방하려면 춤을 춰라”... 독임연구팀 댄스효과 입증. 뉴스윅스. http://m.newswork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43685#_enliple.
- 유지영(2015). 노인무용 교육효과의 치유작용 메커니즘.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4), 114-121.
- 유태균, 정은영(2003). 무용철학: 한국창작춤 표현에 나타난 오브제의 성향. 움직임의철학:한국체육철학회지, 11(2), 337-353.
- 윤혜선, 김예진(2016). 국내 유아 대상 통합적 예술교육 프로그램에서 무용의 적용에 관한 연구동향. 한국무용과학회지, 33(4), 17-32.
- 이대우(2017. 11. 15.). 황혼의 삶에서 찾은 인생 2막의 품격...강남구, 11개 노인특화사업 큰 호응. 시민일보. http://m.siminilbo.co.kr/news/articleView.html?idxno=539293&daum_check=&_adtbrdg=e#_adtReady.
- 이병영(2011). 노인의 건강증진을 위한 음악활동 프로그램 활성화방안: 경남 김해시 노인생활시설을 중심으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가야대학교 대학원.
- 이지현. 김상국(2016). 한국민속춤이 여성노인 신체, 인지 및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55(2), 535-547.
- 이형주 (2017). 노인교육 프로그램이 노인의 인지적·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메타분석. 노년교육연구, 3(1), 1-30.
- 장문정(2010). Bartenieff Fundamentals를 기본으로 한 한국무용프로그램에 나타난 에포트 요소의 특징에 관한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대학원.
- 정병호(2004. 04. 30.). 한국무용의 미학. 서울: 집문당.
- 정승혜, 안병주(2011). 노인종합복지관 한국무용 프로그램 참여자의 참여특성 및 참여만족도 관계연구. 한국체육과학회, 20(6), 995-1006.
- 정윤하(2015). 무용활동과 노인 심리건강의 관계분석, 한국과학예술포럼, 19, 613-621.
- 정희자(2012). 사회적 소통을 위한 무용예술교육 현황 및 사례 분석 연구. 예술교육연구, 10(2), 81-98.
- 최경희(2010). 한국무용프로그램이 시설노인의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의 효과성 검증연구. 한국무용교육학회지, 21(1), 129-143.
- 최병국 (2017. 04. 02.). 뇌 건강에 춤이 가장 좋다…뇌구조·기능 개선 뚜렷. 연합뉴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1&aid=0009155155.
- 최은영, 김정석(2012) 최근 사회노년학의 연구동향 – 한국노년학회지 게재논문의 ‘노인’개념과 주제 분석. 사회과학연구, 19(1), 165-185.
- 통계청(2016). 2016 고령자 통계. 대전: 통계청.
- 한지영, 오율자(2017). 무용이 노인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효과 – 메타분석. 대한무용학회논문집, 75(4), 139-162.
- 함정은(2005). 노인체육의 연구동향 분석. 한국스포츠리서치, 16(5), 315-322.
- 홍예주(2015). 한국무용이 비만여성노인의 비만관련 변인과 심폐기능에 미치는 효과. 한국무용과학회지, 32(2), 103-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