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Article ]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Vol. 34, No. 4, pp.55-67
ISSN: 1229-7836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Sep 2017
Received 30 Aug 2017 Revised 02 Oct 2017 Accepted 17 Oct 2017
DOI: https://doi.org/10.21539/Ksds.2017.34.4.55

무용교육 참여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이 자아존중감 및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조선영*
인천대학교
The Influence of Self-Efficacy on Self-Esteem and Peer Relationship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ticipating in Dance Program
Cho, Sun-Young*
Lecturer, Incheon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 trinity2004@naver.com

초록

이 연구는 무용 교육에 참여한 초등학생들의 자기효능감이 자아존중감 및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및 인과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유의표집 방법으로 서울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8개교 초등학교 학생 320명을 선정하였다. 설문지를 조사도구로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t-검정, 일원분산분석,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 및 경로분석을 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초등학생의 개인적 특성(성별, 학년, 무용교육 경험 유무)에 따른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및 또래관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 중 자기조절효능감과 자신감효능감이 자아존중감 중 가정적존중감과 총체적자아존중감에, 자기조절효능감이 사회적자존감에, 자신감효능감이 학교자존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 중 자기조절효능감과 자신감효능감이 또래관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중 가정적존중감, 사회적존중감, 학교존중감 및 총체적자존감이 또래관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자아존중감 및 또래관계 간에는 인과적 관계가 있었다.

이상을 종합해보면 무용교육을 받은 초등학생이 무용교육을 받은 경험이 없는 초등학생보다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및 또래관계가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또한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은 또래관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자아존중감을 통해 또래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초등학교현장과 교육관련 관리자들은 무용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초등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자아존중감 및 또래관계의 학습과 향상을 위하여 무용교육을 확대 실시하여야 할 것이다. 특히 현장 지도자는 무용교육의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하여 이상적인 교육프로그램을 개발, 무용교과 특성에 대한 이해 및 적합한 교수방법 등으로 초등학생들이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구현하도록 이바지 할 노력이 필요하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self-efficacy on self-esteem and peer relationship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dance programs. Using a purposive sampling method and the questionnaire based on previous study, 320 students were selected from elementary schools in Seoul. The method of the statistical analysis used in this study were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gender, school grade and participation of dance program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efficacy, self-esteem and peer relationship. Second, the self-effica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fluenced on self-esteem significantly. Third, the self-efficacy influenced on peer relationship significantly. Forth, the self-esteem influenced on peer relationship significantly. Fifth, there were causal relationship among self-efficacy, self-esteem and peer relationship. To sum up the above results, self-effica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ticipating in dance influenced on peer relationship directly and positively influenced through self-esteem.

Keywords:

elementary school student self-efficacy, self-esteem, peer relationship

키워드:

초등학생,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또래관계

References

  • 강주영(2013). 아동이 지각한 부모애착과 대인관계적 학교적응과의 관계. 자기효능감, 자아탄력성,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미간행석사학위논문.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 권아영(2015) 아동이 지각한 부모애착과 또래관계능력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학교적응과의 관계. 미간행석사학위논문.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 김소정, 송하나(2011). 재한 중국유학생의 인지적 종결욕구, 자아존중감과 학교적응,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8(2), 219-234.
  • 김아영, 차정은, 강한아, 임경민, 전현아, 조혜령, 임지영, 석혜은(2012). 학업능력 집단별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적 자기조절효능감 간의 관계. 교육심리연구, 26(2), 543-562.
  • 김영미, 한혜원(2010). 대학생의 교내 동아리 여가활동이 교우관계와 조직동일시 및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4(2), 35-46.
  • 김정숙(2008). 봉사-학습이 고등학생의 자아존중감,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박사학위논문.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 김주남(2014). 뇌교육 인성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박사학위논문.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 김형남(2006). 아동의 무용 활동 참여에 따른 정서발달이 또래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학회지, 6(1), 83-92.
  • 김화숙(2010). 무용과 정서지능의 관계. 한국무용교육학회지, 21(2), 1-22.
  • 남경희(2016). 청소년 ‘타임 푸어’ 심각성과 대책. 문화일보 , 2016년 4월 19일자.
  • 남정훈(2010). 운동영역에서의 심리욕구, 정서 및 긍정적 태도의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49(5), 109-123.
  • 노정식(2017). 무용활동참가 아동의 욕구충족과 사회성 및 또래관계와의 관계검증. 한국무용과학회지, 34(1), 13-24.
  • 도금혜, 최보가(2007). 청소년의 또래집단이 지각한 인기도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학적 변인. 한국청소년연구, 18(1), 107-134.
  • 박경숙(2012). 강강술래놀이가 초등학생의 자아개념 및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석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 박선희(1999). 초등학교 무용특별활동 운영 실태에 관한 조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 박지연(2008). 자아존중감이 청소년의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 방화미(2013). 초등학생의 무용교육이 자기효능감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 서승덕(2002). 인성교육을 위한 적응활동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효과.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 서울대학교 대학생활문화연구원(2005). 서울대학교 2005년 졸업예정자 대학생활 의견조사 연구. 학생연구, 39(1), 21-42.
  • 성은현(2005), 자아존중감, 일반적 자기효능감과 창의적 인성의 관계. 아동학회지, 26(1), 217-228.
  • 송경애, 조옥희, 문정순, 장승교(2000). 한국노인과 미국이민 한국노인의 건강증진 생활양식, 자아존중감 및 자기효능감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간호학회지, 14(2), 355-371.
  • 신은용.(2009). 집단음악활동이 초등학생의 사회성과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미간행석사학위논문.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 오진숙, 강은주(2014). 무용수업 참여에 따른 여중생의 무용태도와 또래관계 및 학교생활적응의 관계. 한국무용과학회지, 31(2), 35-50.
  • 유영혁(2012). ‘시한폭탄’중학생, 왜 학교폭력이 제일 심할까? 광주CBS-노컷뉴스. 2012sus 1월 8일자.
  • 장성순(2006). 초등학생의 또래관계와 학교적응과의 관계. 미간행석사학위논문.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 장하나, 신혜숙(2012). 무용수업에 참여산 초등학생들의 감성지능과 자기효능감 및 또래 유능성과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50, 655-665.
  • 전태준(2005). 생활체육참가자의 자기효능감과 운동중독의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44(6), 267-277.
  • 채미경(2010). 중학생의 낙관성과 자기효능감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석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 최보가, 전귀연(1993). 자아존중감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1(2), 41-54.
  • 홍명수(1997). 사회적인식 프로그램이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사회적 기능에 미치는 효과. 미간행박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 대학원.
  • 황성우(2007). 창의적 무용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발달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 Bandura, A.(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i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 191-215. [https://doi.org/10.1037/0033-295X.84.2.191]
  • Bandura, A.(1986). Social Foundation of Though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N. J). Prince Hall. 335-453.
  • Bandura, A.(1995). Self-Efficacy in Changing Society. Cambridge University.
  • Coopersmith, S.(1967). The antecedent of self-esteem. San Francisco: W. H. Freeman.
  • Cozzarelli, C.(1993). Personality and self-efficacy as predictors of coping with abor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5, 1224-1236.
  • Feltz, D(1988). Selfconfidence and sport performance. In K. B. Pandolf(Ed), Exercise and Sport Science Reviews, 16, 423-457.
  • Garmezy, N. (1993). Children in poverty: Resilience despite risk. Psychiatry. 56(1), 127-136. [https://doi.org/10.1080/00332747.1993.11024627]
  • Mathiesen, K. S. & Sanson, A.(2000). Dimensions of early childhood behavior problems: stability and predictors of change from 18 to 30 months.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28(1), 15-31. [https://doi.org/10.1023/A:1005165916906]
  • Vealey, R.(1986). Sport-confidence and cognitive orientation: An addendum on scoring procedures and gender differences. Journal of Sport Psychology, 8, 471-4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