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용전공대학생의 성격과 심리기술 및 무용성취 간의 관계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공연에 참여한 무용전공대학생의 성격과 심리기술 및 무용성취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고 무용전공대학생에게 긍정적 효과를 줄 수 있도록 하며, 무용 지도자나 교육자에게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에 위치하고 무용학과가 있는 4개의 대학에서 남·여 무용전공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총 350개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332부를 수집하였으며, 이중 답을 했거나 연구에 사용하기가 어렵다고 판단한 설문지를 제외한 총 310개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자료처리는 Windows용 SPSS 18.0을 통해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그리고 본 연구의 결과를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전공대학생의 성격 하위요인이 심리기술의 하위요인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무용전공대학생의 성격 하위요인이 무용성취의 하위요인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무용전공대학생의 심리기술 하위요인은 무용성취의 하위요인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is research intends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the dance major student's efficient and positive use of their practice time that is on increase. For this purpose, it examined the dance major student's performance personality, psychological skill and also studied their influence on the dance major student's dance achievement.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dance major students. Convenience sampling, which is a non-probability sampling, was used. Among a total of 350 questionnaires distributed, 332 copies were collected back. And the questionnaires that were insincerely replied, double-replied or judged useless for the study were excluded and a total of 310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examining the influence of the performance personality on the psychological skill were partly influenced. Second, the result of examining the influence of the performance personality on the dance achievement were partly influenced. Third, the result of examining the influence of the psychological skill on the dance achievement were partly influenced.
Keywords:
dance major students, personality, psychological skill, dance achievement, performance키워드:
무용전공대학생, 성격, 심리기술, 무용성취, 공연References
- 강신욱(2009). 운동선수용 교육성취 척도 개발과 타당화 연구.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22(3), 105-123.
- 고선옥(2005). 무용전공 대학생의 성격특성이 무용성취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 고현정(2002). 무용의 심리연습이 무대공연에 따른 불안, 스트레스 요인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 김경숙(1998). 무용상해가 무용수에게 미치는 심리적 요인 분석.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 김병현(2007). 심리기술의 중요성과 스포츠 현장 적용 실제. 스포츠과학, 100, 50-56.
- 김소연(2009). 대학골프선수의 성격특성이 심리기술 및 경기수행력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호서대학교 대학원.
- 김윤지(2014). 무용전공학생들의 심리기술과 무대불안의 관계에 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 김정수(2001). 직업발레 무용수들의 심리적 방해요인에 따른 공연수행 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대학원.
- 김진주(2011). 무용전공대학생의 완벽주의추구성향이 신체적 자기지각과 무용성취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 김효정(2006). 무용수의 성격유형에 따른 공연 전 긴장 및 대처방식에 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 문영(1999). 무용심리학. 서울: 보경문화사.
- 문영, 김미숙(2003). 무용수의 공연 불안 원인 분석 연구. 대한무용학회, 35, 181-202.
- 민병모(2001). 성격 5요인 모형에서 개인-조직 일치도와 수행의 관계.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 박아청(2006). 성격발달심리의 이해. 교육과학사: 서울.
- 박연하(2007). 무용수의 심리적 요인이 공연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 박현숙(2008). 놀이치료자의 5요인 성격특성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 박해리(2013). 신체만족도가 무용전공대학생의 무용능력성취 및 공연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 박혜림(2014). 무용전공대학생의 무용실기자신감이 공연활동성취감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용인대학교 대학원.
- 배귀영(2001). 무용유형과 대상별 무용수의 공연전 심리적 불안. 한국체육철학회, 9(2), 57-74.
- 손각중(2000). 심리기술훈련이 무용 수행력에 미치는 효과: 무용전공 고등학생들을 중심으로. 대한무용학회, 28, 161-180.
- 손재현, 이성노(2013). 무용전공 학생의 이원론적 열정과 무용탈진의 관계: 자기결정성이론 관점. 우리춤과 과학기술, 23, 67-93.
- 송수남(1982). 무용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 동아학연사.
- 송재순(2009). 무용심리기술의 구성요인에 관한 이론적, 경험적 탐색.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대학원.
- 우찬명(2003). 골프선수의 심리적 기술 검사지 개발.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 이계옥(1992). 지속적인 무용활동의 정신건강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학회지, 31(2), 135-140.
- 이다애(2015). 무용전공대학생의 성격유형이 스트레스요인과 무용몰입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 이은경(2005). 신경증과 외향성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 이주연(2005). 개인의 성격 5요인에 따른 임금선호에 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 이현주(2008). 직업발레무용수의 스트레스 요인조사와 심리상담 필요성에 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세종대학교 대학원.
- 이혜정(2007). 무용전공 여고생의 성격 5요인이 공연불안감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동국대학교 대학원.
- 장귀옥(2002). 무용수들의 신체적 자기지각과 정신건강프로파일.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 전현미(2014). 성격요인과 무용공연불안과의 관계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대학원.
- 조수빈(2014). 무용전공 대학생의 자기관리가 대학생활적응 및 무용성취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 조영주(2005). 무용수행의 심리적 요인 구조 분석.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창원대학교 대학원.
- 한임숙(2013). 무용전공 대학생의 성격특성과 자신감 및 무용성취의 관계. 한국무용과학회지, 30(3), 123-136.
- 한혜원, 오진숙(2011). 무용전공 여대생의 신체이미지가 무용자신감과 무용능력 성취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20(5), 859-870.
- 허재령(2003). 발레전공학생들의 무용상해가 공연불안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 황명자(2003). 심리기술훈련을 적용한 한국무용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한국스포츠리서치, 14, 579-588.
- 황성우(2011). 무용이 관객에게 주는 예술미 연구. 한국체육과학회지, 20(3), 1191-1201.
- Bloom, B. S. (1956).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The classification of educational goals: Handbook I, cognitive domain. New York: Longman.
- Cattell, R. B. (1972). The sixteen personality factors and basic Personality structure. New York : Mcgraw-hill.
- Costa, P. T., Jr., & McCrae, P. R. (1992). Revised NEO Personality Inventory(NEO-PI-P) and NEO Five Factor Inventory(NEO-FFI) Professional Manual. Odessa, FL: Psychological Assessment.
- Gould, D. & Krane, V. (1992). The arousal-athletic performance relationship. Horn, T. S. (Ed.), Advances in sport psychology, (pp. 119-141). Champaign, IL: Human Kinetics.
- Kline, R. B. (2005).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2nd Ed.). New York: Guilford Press.
- Maddi, S. R. (1969). Personality theories. Homewood: Dorsey Press.
- Martens, R. (1987). Coaches guide to sport psychology. Champaign, IL: Human Kinetics.
- Persell, C. H. (1975). Education and inequality: Theoretical and empirical sunthesis. New York: The Free Press.
- Vealey, R. S. (1986). Conceptualization of sport-confidence and competitive orientation: Preliminary investigation and instrument development. Journal of Sport Psychology, 8, 221-246. [https://doi.org/10.1123/jsp.8.3.221]
- Vealey, R. S. & Walter, S. M. (1993). Imagery training for performance enhancement and personal development. In J. M.(Ed.), Applied sport psychology: Personal growth to peak performance. 2nd, 200-220. Mountain View, CA: Mayfie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