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Article ]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Vol. 41, No. 1, pp.65-77
ISSN: 1229-7836 (Print) 2713-6949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1 Jan 2024
Received 01 Dec 2023 Revised 31 Dec 2023 Accepted 16 Jan 2024
DOI: https://doi.org/10.21539/Ksds.2024.41.1.65

무용전공대학생의 성취목표성향과 그릿이 긍정심리자본에 미치는 영향 분석

신다감*
*상명대학교 문화기술대학원 공연예술경영학과 박사과정 shindagam70@naver.com
The Influence of Achievement-goal Orientation and Grit for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n Dancer
Dagam Shin*
*Ph.D, Student, Major in Performing arts management, Sangmyu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shindagam70@naver.com


CopyrightⒸ 2024 by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초록

본 연구는 무용전공 대학생의 성취목표성향과 그릿이 긍정심리자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채택된 203명의 자료를 바탕으로 IBM SPSS Statistics 25 Program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무용전공대학생의 성취목표성향이 긍정심리자본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긍정심리자본의 자기효능감과 낙관주의의 경우 과제목표성향과 자아목표성향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희망과 회복탄력성의 경우 과제목표성향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무용전공대학생의 그릿이 긍정심리자본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긍정심리자본의 낙관주의와 회복탄력성의 경우 흥미와 노력의 지속성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효능감과 희망의 경우 노력의 지속성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Achievement-goal Orientation, Grit,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n dancer. Based on thi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by performing correlation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simple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IBM SPSS Statistics 25 Program. First,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among Achievement-goal Orientation, Grit,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n dancer, there were significant effects on it. Second,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chievement-goal Orientation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n dancer, there were significant effects on it. Third,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n dancer, there were significant effects on it.

Keywords:

Dancer, Achievement-goal Orientation, Grit,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키워드:

무용전공대학생, 성취목표성향, 그릿, 긍정심리자본

References

  • 강효민, 오원석(2017). 수영선수의 성취목표성향이 운동몰입 및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70, 395-404.
  • 공인구(2015). 고등학교 태권도 겨루기 선수의 심리적 자본이 목표지향성, 운동몰입 및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 김규태(2019). 고등학생이 인식하는 학업적 그릿과 학업소진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 한국융합학회논문지, 10(6), 219-225.
  • 김규태(2021). 대학생의 그릿과 학업지속의도 관계에 대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적 역할. 인성교육연구, 6(2), 195-209.
  • 송시윤(2019). 직업무용수의 성취목표 성향과 자기관리가 무용몰입에 미치는 영향. 무용역사기록학. 55. 161-178.
  • 김기영, 김선정(2017). 직업무용수의 무용열정과 긍정심리자본 및 직무만족에 관계. 대한무용학회논문집, 75(1), 35-54.
  • 김덕진(2021). 청소년 배드민턴 선수의 경기력 수준과 성취목표성향의 관계.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JCCT), 7(1), 364-368
  • 김병준(2001). 목표성향으로 예측한 스포츠 재미와 스트레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47(2), 125-140.
  • 김수진(2011). 무용전공 대학생들의 성취목표지향성과 무용자신감과의 관계.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 김연희, 김형남, 김규진(2023). 현대무용 전공 대학생의 긍정심리자본이 무용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무용행복감의 매개효과. 대한무용학회논문집, 81(3), 19-37.
  • 김예림, 홍영근(2020). 긍정심리기반 집단미술치료가 행복감과 긍정심리자본에 미치는 효과: 아동청소년 자녀를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정서·행동장애연구, 36(4), 263-284.
  • 김우자, 문윤제.2001). 무용: 직업무용수의 성격유형과 사회적 지원 및 대처방안이 스트레스 요인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40(4), 563-575.
  • 김장수(2022). 성인 대상 심리운동 중재 연구동향 분석 및 긍정심리자본과 심리운동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심리운동연구, 8(3), 33-56.
  • 문필현(2020). 태권도 겨루기 선수의 심리적 자본이 성취목표성향 및 승부근성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조선대학교 대학원.
  • 박도헌(2008). 중학교 무용전공학생들이 지각하는 무용 유능성과 무용 스트레스 간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34(1), 579-592.
  • 박진아(2021). 온라인 학교스포츠클럽대회 참여가 중학생의 그릿(Grit) 및 체육수업참여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국체육대학교 교육대학원.
  • 백도환(2022). 체육 전공 대학생들의 성취목표성향과 긍정심리자본, 자결성 동기 및 학습몰입간의 관계.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우석대학교 대학원.
  • 백동환, 서연희(2022). 체육 전공 대학생들의 성취목표성향과 학습몰입 간의 관계: 긍정심리자본, 자결성 동기의 매개효과. 한국체육과학회지, 31(3), 257-272.
  • 송시윤(2019). 직업무용수의 성취목표 성향과 자기관리가 무용몰입에 미치는 영향. 무용역사기록학, 55, 161-178.
  • 신승환(2014). 생도들이 대외경기에서 체득한 체육의 가치탐구. 한국체육학회지, 53(4), 441-453.
  • 안지혜(2013). 무용전공 대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과 내적동기의 관계.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 오중근(2023). 체육수업에서 학생의 성취목표성향이 그릿과 긍정심리자본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교육학회지, 28(1), 43-55.
  • 유진, 김장우(2002). 고등학교 체육수업 분위기 질문지 개발. 중앙대학교 스포츠과학연구소, 16, 383-394.
  • 이경주, 조홍식(2020). 체육수업에서 학생들의 그릿 (Grit) 과 도전감 및 수업참여와의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2), 721-741.
  • 이수연(2020). 무용전공 대학생의 긍정심리자본이 스트레스 대처 및 무용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대한무용학회논문집, 78(6), 297-214.
  • 이슬기(2014). 한국문용전공자들의 성취목표성향이 자아탄력성과 대처능력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 이정림, 권대훈(2016). 통제소재, 마인드셋, 그릿, 학업성취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청소년학연구, 23(11), 245-264.
  • 임효진, 윤여경(2017). 그릿 (Grit) 과 과제도전감의 관계: 흥미유지와 노력지속에서 유능감의 조절효과. 교육방법연구, 29(4), 657-675.
  • 임후남, 김지하, 조옥경, 남신동, 유예림, 최정윤, 강민수(2018). 대학의 교수·학습 질 제고 전략 탐색 연구 (Ⅵ)(RR2018-21). [KEDI] 연구보고서, 1-627.
  • 장경원, 성현(2017). 대학 육상선수의 성취목표성향이 자아탄력성과 스포츠 대처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학회, 15(4), 661-673.
  • 장세용, 최원민, 강현우(2015). 청소년 운동선수들의 성취목표성향과 자신감의 관계에서 운동몰입의 매개효과. 한국사회체육학회지, 62, 639-650.
  • 정은영(2013). 여고생들의 긍정심리자본이 진로장벽과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일반대학원.
  • 정희석, 김유나, 정성현(2017). 테니스 선수의 성취목표성향이 자아탄력성과 스포츠 대처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학회지, 15(1), 533-543.
  • 조홍식(2022). 체육수업에서 학생을 대하는 교사의 태도가 과제수행에 대한 학생들의 그릿 (grit) 과 도전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31(2), 461-474.
  • 최민아, 한수정(2023). 평생교육기관 수강생의 그릿(Grit)이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평생교육학연구. 29(2), 145-170.
  • 최진수, 정혜원(2021). 청소년 체험활동이 학업열의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3), 1299-1318
  • 탁하연(2022). 대학생용 긍정심리자본 척도 개발.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동아대학교 일반대학원.
  • 한국교육개발원(2023). 대학 계열별 학과수 및 학년별 재적학생수. 2023.04.01. https://kess.kedi.re.kr/stats/school?menuCd=0102&cd=6906&survSeq=2023&itemCode=01&menuId=m_010209_02_01020902&uppCd1=01020902&uppCd2=01020902&flag=B, .
  • 함지선, 이인, 김경숙(2009). 무용전공자들의 무용포기 및 진로 고민에 관한 탐색. 한국체육학회지, 48(4), 485-494.
  • 황재욱, 조현기, 윤아영(2020). 대학 팀 운동선수들의 긍정심리자본과 응집력 및 팀 만족의 구조적 관계. 한국융합과학회지, 9(1), 105-121.
  • Duckworth, A. L., Peterson, C., Matthews, M. D., & Kelly, D. R.(2007). Grit: Perseverance and passion for long-term goal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92, 1087-1101. [https://doi.org/10.1037/0022-3514.92.6.1087]
  • Duda, J. L. (1993). A goal perspective theory of meaning and motivation in sport . Proceedings of the 8th World Congress of Sport Psychology, Lisbon,
  • Dweck, C. S. (2000). Self-theories; Their role in motivation, personality, and development. New York: Psychology Press.
  • Dweck, C. S., & Leggett, E. L. (1988). A Social-cognitive approach to motivation and personality. Psychological Review, 95(2), 256-273. [https://doi.org/10.1037//0033-295X.95.2.256]
  • Elliot, A. J. (1999). Approach and avoidance motivation and achievement goals. Educational psychologist, 34(3), 169-189. [https://doi.org/10.1207/s15326985ep3403_3]
  • Elliot, A. J., &Harackiewicz, J. M. (1996). Approach and avoidance achievement goals and intrinsic motivation: A mediational analysi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0(3), 461. [https://doi.org/10.1037//0022-3514.70.3.461]
  • Lee, J., & Stankov, L.(2013). Higher-order structures of noncogꠓnitive constructs and prediction of PISA 2003 mathematics achievement. Learning and Individual Difference, 26, 119-130. [https://doi.org/10.1016/j.lindif.2013.05.004]
  • Luthans, F. (2002). The need for and meaning of positive organizational behavior.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and Behavior, 23(6), 695-706. [https://doi.org/10.1002/job.165]
  • Luthans, F., Avolio, B. J., Avey, J. B., & Norman, S. M. (2007).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Measurement and relationship with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Personnel psychology, 60(3), 541-572. [https://doi.org/10.1111/j.1744-6570.2007.00083.x]
  • Luthans, F., & Jensen, S. M. (2002). Hope: A new positive strength for human resource development. Human Resource Development Review, 1(3), 304-322. [https://doi.org/10.1177/1534484302013003]
  • Masten, A. S., & Reed, M. G. J. (2002). Resilience in development.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 74, 88. [https://doi.org/10.1093/oso/9780195135336.003.0006]
  • Kimiecik, J. C., &Stein, G. L. (1992). Examining flow experiences in sport contexts: Conceptual issues and methodological concerns. Journal of Applied Sport Psychology, 4(2), 144-160. [https://doi.org/10.1080/10413209208406458]
  • Ni, F. T., Tseng, M. H., Chen, W. C., & Chang, C. M. (2015). The effects of psychology capital on sports achievement of badminton athletes in universities. J. Sport Recreat. Manag, 12, 30-46
  • Nicholls, J. G. (1984). Achievement motivation:Conceptions of ability, subjective experience, taskchoice, and performance. Psychological Review, 91, 328-346. [https://doi.org/10.1037/0033-295X.91.3.328]
  • Portugal.Duda, J. L., & Nicholls, J. G. (1992). Dimensions of achievement motivation in schoolwork and sport.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4(3), 290. [https://doi.org/10.1037//0022-0663.84.3.290]
  • Scheier, M. E., & Carver, C. S. (1987). Dispositional optimism and physical well being: The influence of generalized outcome expectancies on health. Journal of Personality, 55(2), 169-210. [https://doi.org/10.1111/j.1467-6494.1987.tb00434.x]
  • Snyder, C. R., Harris, C., Anderson, J. R., Holleran, S. A., Irving, L. M., Sigmon, S. T., & Harney, P. (1991). The will and the ways: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individual-differences measure of hop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0(4), 570. [https://doi.org/10.1037/0022-3514.60.4.570]
  • Snyder, C. R., Irving, L. M., & Anderson, J. R. (1991). Hope and health. Handbook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The health perspective, 162, 285-305.
  • Stavrou, N. A., Psychountaki, M., Georgiadis, E., Karteroliotis, K., &Zervas, Y. (2015). Flow theory–goal orientation theory: positive experience is related to athlete’s goal orientation. Frontiers in psychology, 6, 1499. [https://doi.org/10.3389/fpsyg.2015.01499]
  • Treasure, D. C., & Roberts, G. C. (1995). Applications of achievement goal theory to physical education: Implications for enhancing motivation. Quest, 47(4), 475-489. [https://doi.org/10.1080/00336297.1995.10484170]
  • Wagstaff, C., Fletcher, D., & Hanton, S. (2012). Positive organizational psychology in sport: An ethnography of organizational functioning in a national sport organization. Journal of Applied Sport Psychology, 24(1), 26-47. [https://doi.org/10.1080/10413200.2011.589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