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Article ]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Vol. 39, No. 3, pp.15-30
ISSN: 1229-7836 (Print) 2713-6949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0 Jun 2022
Received 16 May 2022 Revised 30 Jun 2022 Accepted 19 Jul 2022
DOI: https://doi.org/10.21539/Ksds.2022.39.3.15

무용전공대학생의 전문체력요인 특성분석 : 한국무용과 현대무용 중심으로

김나영* ; 이해준**
*한양대학교 일반대학원 공연예술학과 박사과정 중 skdudrla100@hanyang.ac.kr
**한양대학교 무용예술학과 교수 pombi@hanyang.ac.kr
An Analysis of the Physical Fitness Factors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Dance : Focusing on Korean dance and modern dance
Nayoung Kim* ; Haejun Lee**
*Ph.D. Student, Department of Performing Arts at Hanya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skdudrla100@hanyang.ac.kr
**professor, Department of Dance, Hanyang University pombi@hanyang.ac.kr


CopyrightⒸ 2022 by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초록

본 연구는 한국무용과 현대무용 전공 간 전문체력을 비교, 분석하여 차이를 규명하고, 전문 체력요인을 추출하여 한국무용과 현대무용의 개별화 된 전문 체력 훈련프로그램을 구성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20년경기도 지역에 소재하는 대학교 무용과에 재학 중인 여성 한국무용, 현대무용전공자 대상으로 선정하여 8개의 체력요인 근력, 근지구력, 순발력, 민첩성, 평형성, 유연성, 전신반응, 등속성 근기능의 하위요인 10개에 대한 체력측정을 진행하였다. 자료처리는 한국무용과 현대무용 전공 간 독립 t-test를 적용하여 변인의 평균과 표준편차(M±SD)를 산출하였고, 가설검정 시 a=.05로 설정하였다. 또한 각 전공에서 요구되는 전문체력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9개의 변인에 대한 상관행렬을 우선 구한 뒤 내재된 개념의 요인들을 추출하기 위해 주성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축회전은 직각회전 방법인 Varimax rotation을 사용하였다.

첫째, 주성분분석결과 한국무용, 현대무용전공 대학생의 요구되는 전문체력요인들은 전공마다 각각 다르게 나타났다. 둘째, 집단 간 체력항목의 평균차이를 분석한 결과 근력항목인 악력과 평형성요인, 유연성요인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체간의 등속성 근기능은 순발력(180°/s), 근지구력(200°/s)에서 매우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보았을 때, 두 집단의 전문체력요인은 각각 차이가 있기 때문에 각 집단의 체력을 고려한 전문훈련이 실시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at the differences between Korean dance and modern dance majors are compared and analyzed, and professional physical factors are extra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formation of individualized professional physical training programs of Korean dance and modern dance.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t was selected by women majoring in Korean dance and modern dance at a university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in 2020, and the measurement of the physical strength of 10 subfactors of eight physical factors such as muscle strength, muscle endurance, muscle power, agility, equilibrium, flexibility, full-body response, and continuous muscle function was conducted. The processing of the data was based on an independent t-test between Korean dance and modern dance majors, calculating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of variables (M±SD), and setting a=.05 when testing the hypothesis. In addition, in order to identify the professional physical factors required for each major, after the correlation matrix of the 9 variables, the factors of the underlying concepts were to be extracted, and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was carried out. In the case of axis rotation, Varimax rotation, a method of right-angle rotation, was used.

First, as a result of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the required professional fitness factors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Korean dance and modern dance differed from major to major. Third, the analysis of the difference in the average of physical fitness items between group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grip strength, equilibrium factor, and flexibility factors, and the ascending muscular function of the body showed very significant difference in muscle power (180°/s) and muscle endurance (200°/s). When these results are combined,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professional physical factors of the two groups, so it is believed that specialized training considering the physical strength of each group should be conducted.

Keywords:

Dance major student, Physical Fitness Factors, Korean dance, Modern dance, Professional training

키워드:

무용전공대학생, 전문체력요인, 한국무용, 현대무용, 전문훈련

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2021 김나영의 한양대학교 석사학위 논문을 수정 · 보완한 연구임

This thesis is a revision of Kim Na-young′s master′s thesis

References

  • 고기준, 고성경, 김기진, 박상갑, 신원태, 양정옥, 이영익, 이종삼, 임강일, 장인현, 정연수, 하성(2008). 웰빙시대의 맟춤운동과 건강. 도서출판 한미의학.
  • 고의석, 박승하, 전혜선(2016) 운동학습과 수행 원리와 적용. 도서출판 한미의학
  • 국민체력인증(2016). 국민체력100 사업 설명. 주최, 주관 문화체육관광부, 국민체육진흥공단.
  • 권윤방, 김미자, 최청자, 김을교, 황규자(1994). 무용학. 도서출판 금광
  • 권태원, 조혜수(2017). 태권도 시범과 겨루기 선수의 전문체력 훈련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과학회지, 26(4), 1217-1225.
  • 김명미(1996). 무용전공여대생의 체격, 신체조성 및 체력특성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 김원예(2004). 현대 무용의 창조적 움직임에 대한 미학적 분석.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청주대학교 교육대학원.
  • 김지은(2021). 생체역학 기반 발레 부상예방을 위한 턴아웃 교수지침 개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 김진수, 박은숙(1995). 무용전학생의 체격 및 체력에 관한 연구(23). 경희대학교 체육과학연구소.
  • 김차용(1987). 종목별 운동선수의 체력특성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 김해리(2009). 한국무용 전공자의 숙련도별 굴신동작의 운동학적 분석.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 남덕현(2009). 체육측정평가 에센스. 도서출판 대경북스.
  • 문선희(1981). 한국무용 기본동작의 근전도적 분석-하지근을 중심으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문영(1997). 과제속박 유형에 따른 무용수의 기술수준별 협응구조 변화. 한국무용교육학회지, 7, 153-162.
  • 민현주(1997). 무용전공학생의 체격·체력 및 심폐기능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체육과학대학원.
  • 박양선, 김지혜(2009). 상지이용유무에 따른 현대무용 아라베스크 턴 동작의 운동역학적 분석. 한국운동역학회 19(3), 457-466.
  • 박인영, 오덕자(2011). 무용전공별 경력에 따른 여고생의 신체체력 특성 분석. 한국여성체육학회지, 25(3), 85-96.
  • 배승기(2008). 밴드 트레이닝이 뇌졸중 환자의 신체조성 및 체력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스포츠산업대학원.
  • 백순기(2019). 대학 무용전공자의 부상과 재활에 대한 인식 탐색. 한국스포츠학회, 17(4), 1551-1557.
  • 손유남(2017). 태권도 뒤차기 동작 시 근 활성도 분석. 한국스포츠학회지, 15(2), 957-967.
  • 신진이, 이기혁, 송홍선, 전병오(2019). 눈-손 협응력과 반응시간의 관련성: 평가 기준 일치도 검증.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21(3), 47-58.
  • 양선희(1998). 기초체력 훈련이 한국 창작 무용수의 기교 발현 및 생리적 변인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 이경옥, 이미영(1996). 한국무용 굴신동작의 숙련도별, 장단길이별 역학적 분석. 대한무용학회논문집, 19(0), 295-320.
  • 이정아(2003). 무용전공별 여대생의 체조성과 심폐기능 및 기초체력의 비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경성대학교 대학원.
  • 정미송, 최성이, 심재희, 탁지현(2006). 여자대학생 한국무용 전공자와 비전공자의 신체조성, 기초체력 및 유산소성 운동능력의 비교 연구. 한국무용예술학회지, 17(17), 251-271
  • 정현정(2001). 한국무용 외발 뛰기 착지 동작의 운동 역학적 분석.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전북대학교대학원.
  • 조문식, 권태원(2015). 평형성(balance) 능력이 사이드스텝 테스트(side-step test) 결과에 미치는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25(4), 1603-1611.
  • 조용인(2014). 스포츠비전 검사 도구 개발과 좌우 뇌 선호도의 평가.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인하대학교 대학원.
  • 조준희(2020). 발레 동작 Grand Battement Devant의 최상수행을 위한 발끝 선속도, 고관절 각속도, 지면반력, 신체중심의 관계 분석. 한국무용과학회지, 37(1), 19-27.
  • 최여림, 김주섭(2019). TransMotion: 신체적 자기효능감 향상을 도와주는 머신러닝 기반의 발레체험 시스템에 관한 연구.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지, 20(9), 1701-1708.
  • 탁지현(2012). 유산소성 트레이닝이 발레무용수의 심폐기능, 혈중피로요인 및 신체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교육학회지, 23(1), 227-249.
  • 편집포럼(2005). 스포츠의학/운동과학대사전. 서울: 대경북스.
  • 한국스포츠개발원(2015). 한국스포츠 개발원 체력 측정 및 평가 매뉴얼Ⅱ. 서울: 국민체육
  • 허정, 김혜경(1997). 무용전공별 신체조성과 체력에 관한 연구. 한국발육발달학회지 5(0), 69-81.
  • 허종선(2008). 한국무용 전공자의 경력에 따른 체력과 심폐기능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 Fleishman, E. A(1964). The structure and measurement of physical fitness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