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현예술상담 수업에 대한 무용전공자의 경험 연구
CopyrightⒸ 2019 by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초록
이 연구는 다양한 예술치료 장르와 심리상담의 원리를 통합적으로 적용한 표현예술상담 수업에 참여한 무용전공자의 경험과정의 의미를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2014년~2018년까지 서울시에 소재한 D 여자대학교에서 표현예술상담 수업을 수강하는 무용과 학생들 중에서 연구에 동의한 학생들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5년에 걸쳐 170명을 대상으로 연구 하였다. 조사방법은 매년 수업운영과정에서 조사 시기와 목적에 따라‘수업 기대감’, ‘수업 경험’과 ‘수업 평가’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구조화된 설문과 개방형 설문으로 조사하였고, 도출된 자료는 전문가 회의를 통해 분석하였다. 또한 무용전공자의 수업 경험과정의 의미탐색을 위해 분석된 대분류 및 중분류 주제별 결과의 타당성 검증을 위해 연구 참여자 검토를 실시하였다. 이에 따라 연구문제별로 분석된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연구 참여자의 수업 전 기대감에 대한 주요 내용은 ‘수업 방식’, ‘수업 내용’, ‘수업 후 활용’에 관한 내용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무용전공자의 표현예술상담 수업 경험과정의 의미에 대한 분석 결과, 무용전공자는 표현예술상담 수업을 통해 ‘자기치유 경험’과 ‘관계성장 경험’을 인식하였고, 무용전공자로서 ‘예술적 소양함양’과 ‘예술치료 활용 방안’을 모색함으로써 다각적인 관점에서 수업 경험과정의 의미를 탐색하였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셋째, 표현예술상담 수업 후에 수업 평가를 위해 실시한 구조화된 설문 조사의 분석 결과, 수업 평가 설문의 모든 항목에 대해 연구 참여자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수업 평가 개방형 설문의 응답내용은 ‘수업 구조’, ‘교수자’, ‘수업 환경’, ‘전공수업 적용에 대한 의견’으로 분석되었다. 이 연구는 대학의 무용전공자를 대상으로 예술치료 관련 수업을 전공수업으로 시행하여 그 경험과정의 의미에 대해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소개함으로써 대학의 무용전공 교과과정에 예술치료 관련 교육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는 점에서 시사점이 있다. 따라서 이 연구의 결과는 향후 대학 무용전공 교과과정에서 예술치료의 활용 방안을 탐색할 경우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process of students majoring in dance who participated in an expressive arts counseling class, which integrally applied various art therapy genres and psychological counseling principles. From 2014 to 2018, students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expressive arts counseling class at D Women's University in Seoul were selected as study participants and 170 students were studied over 5 years. The study method were structured and open questionnaires used to examine ‘expectation of class’, ‘experience of class’, and ‘class evaluation’depending on the time and purpose of the study in the curriculum of each year. The resulting data were analyzed through expert meeting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reviewed in order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results of the main and sub topics which were analyzed for the purpose of exploring the meaning of the class experience of students majoring in dance. For results analyzed by research problem, first, the main contents of the expectation of the study participants before the class were analyzed as ‘teaching method’, ‘teaching content’ and ‘application after the clas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process of expressive arts counseling class of students majoring in dance, those who are majoring in dance recognized ‘self-healing experience’ and ‘relationship growth experience’ through the expressive arts counseling class. This confirmed that they explored the meaning of the class experience process from a multifaceted point of view by seeking ways to‘build artistic knowledge’ and ‘use art therapy’ as dance majors. Third, the analysis of the structured questionnaire conducted for the class evaluation after the expressive arts counseling class showed that the satisfaction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was high for all items in the questionnaire. The responses of the class evaluation open-ended questionnaire were analyzed as ‘class structure’, ‘instructor’, ‘classroom environment’ and ‘opinion on application in required cour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process through concrete examples by conducting art therapy related classes as required courses for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dance. As a result, this study raised the necessity of art therapy related education in university dance major curricula, which reveals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ful information for examining the application methods of art therapy in university dance major curricula.
Keywords:
Expressive Arts Counseling, Dance Major, Art Therapy키워드:
표현예술상담, 무용전공자, 예술치료References
- 고경희, 백현순(2013). 대학 무용학과의 미래전망. 한국무용연구, 31(3). 23-40. [https://doi.org/10.15726/jkd.2013.31.3.002]
- 곽현주, 김영희(2013). 예술치료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음악치료, 미술치료, 무용동작치료, 통합예술치료를 중심으로. 예술심리치료연구. 9(3). 185-203.
- 길은영(2015). 미대생의 미술치료수업에 대한 내러티브탐구. 예술교육연구. 13(4). 39-61.
- 김선정, 최리나(2012). 무용전공 대학생들의 정서와 내적동기가 신체적 자기개념에 미치는 영향. 대한무용학회, 70(2). 223-245.
- 김은영, 이재성(2017). 여자대학 인문 사회 예술계열 대학생의 취업 의식 및 교양교육 연구. 교양교육연구, 11(6), 565-596.
- 김정희(2016). 동작중심 표현예술치료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우울, 불안 및 감정표현에 미치는 효과.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창원대학교 대학원.
- 문지영(2014). 음악치료 전공 학생이 지각하는 음악심리치료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음악치료학회, 16(2). 45-68. [https://doi.org/10.21330/kjmt.2014.16.2.45]
- 박기선(2003). 무용전공 대학생의 취업인식도 및 교과과정 조사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 박보람(2013). 방과 후 학교에 대한 예술치료사들의 경험 연구. 예술심리치료연구, 9(1), 97-119.
- 박영혜, 주은선(2013). 포커싱(Focusing) 상담수련자들의 경험에 대한 연구: 포커싱 상담수련자들의 자기보고를 중심으로. 인간이해, 34(2). 131-150.
- 박윤희(2012). 무용전공대학생의 취업환경변화에 따른 교과과정의 개선방안.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 박진희(2011). 대학 무용(학)과의 교과과정에 따른 만족도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 백경실(2012). 음악심리치료가 모-자 의사소통과 우울 및 심리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 신성철, 이동성, 장성화, 김정일, 임순선(2014). 청소년 문제와 보호. 파주: 정민사.
- 양정무, 김창환(2016). 문화예술치유 프로그램 지원사업 성과 및 발전 방안 연구. 한국예술종합학교 산학협력단. 문화체육관광부.
- 양주희(2018). 현대무용 전공자를 위한 HLAP 표현예술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세종대학교 대학원.
- 오승진(2009). 예술치료 프로그램을 통한 여대생의 몰입경험 효과에 대한 연구. 예술심리치료연구, 5(3), 1-16.
- 윤혜선(2015). 무용예술과 과학의 융복합 방향 모색 Ⅱ-교육 및 치료를 위한 통합예술교육 적용 사례. 한국무용과학회 31th 춘계학술세미나 발표 자료집, 41-54.
- 이모영(2014). 촉각을 통한 이해와 소통 그리고 미술교육의 역할. 미술교육논총, 28(4), 151-172.
- 이미영(2016). 무용 대학입시제도의 개선방안모색. 대한무용학회논문집, 74(5). 123-140.
- 이해준, 이윤경(2014). 무용전공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취업의식 조사. 한국무용과학회지, 31(2), 17-33. [https://doi.org/10.21539/ksds.2014.31.2.17]
- 전웅빈(2011. 4. 8.). 위기의 KAIST 다른 대학도 비상... 상담사 늘리고 정신건강 전수조사하고. 국민일보,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04835541
- 정성직(2018. 12. 12.). 신입생 중도탈락률 낮춰라...지역 대학들 학기 시작 전 적응학기 실시 등 ‘총력’. 대전일보, http://www.daejonilbo.com/news/newsitem.asp?pk_no=1347557
- 정은이(2012). 대학생의 수업참여에 미치는 면인 탐색. 교육방법연구, 24(2). 355-387.
- 최윤녕, 김갑숙(2017). 포커싱 집단 미술치료 경험에 관한 탐색적 연구. 예술심리치료연구, 13(3), 107-131.
- 최지엘, 소혜진(2017). 음악치료 인턴쉽에서 경험하는 팀워크에 대한 합의적 질적 연구. 예술심리치료연구, 13(2), 159-180.
- 한국문화예술위원회(2013). 예술치유 활성화 추진모델 개발 및 사업타당성 연구.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예술정책연구.
- Morse, J. M., & Field, P. A. (1996). Nursing research: The application of qualitative approaches. London: Chapman & Hall.
- Spradley, J. P.(1979). The ethnographic interview. New York: Holt, Rinehart & Winston.
- Wadeson, E.(2012). 임상미술치료학 (제2판) (장연집 등 역). 서울: 시그마프레스. (원저 2010 출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