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Article ]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Vol. 35, No. 3, pp.43-57
ISSN: 1229-7836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Jul 2018
Received 31 May 2018 Revised 03 Jun 2018 Accepted 20 Jul 2018
DOI: https://doi.org/10.21539/Ksds.2018.35.3.43

무용지도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능력, 무용성취능력, 공연자신감의 관계

최재희**
전북대학교
The Relationship between of Dance Instructors` Use of Nonverbal Communication, Dance Achievement Ability, Performance Confidance in University Dance Students
Choi, Jae-Hee**
Chonbuk Nationbuk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 yellow7001@hanmail.net

CopyrightⒸ 2018 by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초록

이 연구는 무용지도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능력의 중요성에 초점을 두고 학습자의 무용성취능력과 공연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여 이를 토대로 대학 무용교육 현장에서 무용지도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능력의 요인들을 효율적으로 활용 할 수 있는 교수유형과 교수행동의 구체적인 실천방법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특별시, 대전광역시, 경기도, 전라북도 등 4개 지역에 위치한 4년제 대학교에서 무용전공 재학생들을 모집단으로 설정하였으며, 총 400부 중 불성실한 응답 자료와 누락된 자료 56부가 제외되어 최종 분석에 344부가 사용되었다. 자료처리방법은 SPSS 18.0, AMO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상관관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유의수준은 α=.05로 설정하였다.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지도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능력의 하위요인인 신체언어, 신체적 외양, 의사언어는 무용전공 학생들의 무용성취능력의 하위요인인 정의적, 심동적, 인지적 성취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무용전공 대학생의 무용성취능력의 하위요인인 정의적, 심동적 성취능력은 공연자신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지적 성취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무용지도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능력의 하위요인인 신체언어, 신체적 외양, 의사언어는 공연자신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능력은 신체 움직임을 통하여 표현하는 무용교육현장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요인으로 검증되었다. 이에 대학 무용교육 현장에서 무용지도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능력의 요인들을 파악하고 적합하게 활용하여 적용한다면 무용지도자의 교수유형 및 교수행동의 구체적인 실천방법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The present study has the purpose of exploring the factors influencing dance achievement ability and confidence in dance performance of learners, with a focus placed on the importance of dance instructors' non-verbal communication ability. For this purpose, the students who majored in dance at the four-year universities in Seoul, Daejeon Metropolitan City, Gyeonggi-do and Jeollabuk-do were selected as the population, and the convenience sampling was used as a specific sampling method out of non-random sampling ones.

The data were collected by self-administration method immediately after briefing the respondents sufficiently on the content and purpose of the study as well as the points to notice when filling in and responding to the questionnaires. Of 400 replies collected, 344 were used in final analysis since 56 were excluded for reason of unfaithful or missing responses. The frequency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process the data by using SPSS 18.0 program, and AMOS 18.0 statistical package was used fo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analysis was also performed to verify the model and hypothesis that were set up in the present paper, with the significance level set to α=.05.

Following conclusions could be drawn from the investigation: First, such sub-factors of the dance instructors' non-verbal communication ability as body language, physical appearance and pseudo languag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ub-factors of the dance achievement ability like affective, psychomotor and cognitive achievements of dance major students. Second, the sub-factors of dance achievement ability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dance such as affective, psychomotor and cognitive achievement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ir confidence in dance performance, whereas cognitive achievement ability did no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it, though. Third, the sub-factors of the dance instructors' non-verbal communication ability like body language and physical appearance turned out to influence positively the performance confidence, but the pseudo language did not exercis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performance confidence.

Keywords:

Nonverbal Communication, Dance Achievement Ability, Performance Confidance, Dance Education

키워드: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능력, 무용성취능력, 공연자신감, 무용교육

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2015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NRF-2015S1A5B5A07038805)

References

  • 강미선(1999). 무용참가와 무용성취 과정에 관한 경로 분석적 연구. 한국체육학회지, 38(4), 985-1005..
  • 강여주, 윤여탁(2008). 무용수의 몰입 경험과 패턴 구조. 한국체육학회지, 45(6), 61-71..
  • 강신욱(2005). 운동선수용 교육성취 척도개발과 타당화 연구.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22(3), 105-123..
  • 강여주, 이광호(2007). 무용 송수신자(sender-receivers)간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특성. 한국체육철학회지, 15(2), 217-229..
  • 고선옥(2005). 무용전공 대학생의 성격특성이 무용성취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 고주혜, 김승재(2006). 무용전공 대학생들의 신체적 자기지각이 신체 및 자기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24(5), 199-210..
  • 김은영(2008). 지도자 리더십이 무용능력 성취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학회지, 8(2), 21-18..
  • 김경원, 김수연(2009). 성, 체력등급, 체육활동 수준에 따른 중학생의 신체적 자기지각.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20(1), 109-120..
  • 김정인(2015). 무용지도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이 무용몰입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조선대학교대학원..
  • 김지영, 주형철, 윤인애(2013). 무용교육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능력, 지도자신뢰 및 무용몰입의 구조적 관계. 대한무용학회논문집, 71(3), 1-24..
  • 김지영, 박현정, 한효림(2012). 무용전공자의 자기관리행동과 무용몰입의 관계에서 표현적 자신감의 매개효과 검증. 대한무용학회논문집, 70(2), 57-76..
  • 김언진(2008). 지도자의 지도행동 유형이 무용전공학생의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 김언진(2010). 무용전공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무용 성취동기 및 연습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과학회, 21, 1-16..
  • 김말복(2006). 춤을 통해본 한국적 움직임 커뮤니케이션의 특성. 무용예술학연구, 18, 1-18..
  • 김진완(2005). 무용전공 대학생들의 무용 자신감의 차이분석.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세종대학교 대학원..
  • 김연화(2002).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의미와 교육적 기능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청주대학교 대학원..
  • 박은영(2016). 초등학교 방과 후 학교 수업 시 체육교사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이 학생들의 수업태도 및 수업몰입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대학원..
  • 박정교(2014). 무용학과 지도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에 다른 만족도가 무용몰입, 무용성취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23(4), 663-674..
  • 박해리(2013). 신체만족도과 무용전공 대학생의 무용능력성취 및 공연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대학원..
  • 성경희, 박인실(2014). 무용지도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사용이 학생들의 무용몰입 및 무용성취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성체육학회지, 28(1), 55-68..
  • 성창훈, 유현경(2004). 청소년 무용 전공생의 신체적 자기지각 구성요인. 한국체육학회지, 43(6), 909-917..
  • 성경희, 박인실(2014). 무용지도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사용이 학생들의 무용몰입 및 무용성취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성체육학회지, 28(1), 56-68..
  • 소지혜(2011). 무용전공대학생의 신체적 자기지각이 무용자신감과 무용능력 성취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대학원..
  • 송지준(2011). 서비스산업 종사원의 감정부조화, 소진, 조직몰입간의 구조적관계: 콜센터 상담직원을 중심으로. 고객만족경영연구, 13(2), 103-123..
  • 신은경(2014).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으로서 무용 상상표현 학습의 힘. 한국무용교육학회지, 26(2), 1-16..
  • 오미영, 정인숙(2005). 커뮤니케이션 핵심이론. 서울: 커뮤니케이션 북스..
  • 오덕자(2008). 무용특기, 적성교육에 참여하는 초등학생들의 만족도. 한국여성체육학회지, 22(3), 1-12..
  • 유희주, 안병주(2008). 디지털시대의 무용관객 커뮤니케이션 양상에 관한 연구. 무용예술학연구, 24, 113-135..
  • 유정숙(2010). 중, 고등학교 무용전공 학생의 인지된 무용능력과 자기관리 및 무용성취의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19(1), 655-666..
  • 이경탁, 이희욱(2010). 교수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이 수업 및 교수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효과. 경영교육연구, 64, 91-117..
  • 이주연(2016). 무용전공 대학생들의 무용자신감, 무용몰입, 무용능력성취의 관계. 한국무용과학회지, 33(2), 29-40..
  • 이진주(2017). 무용지도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에 다른 무용전공생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무용연구학회, 17, 42-44..
  • 이경탁(2011). 대학 강의에서 비언어적 행위의 효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직업교육연구, 30(4), 69-87..
  • 이연수(1989). 무용의 사회적 의미소통: 작품의 생산과 수용을 중심으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이영일 (2017). 무용전공 대학생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무용수업과 무용몰입 및 무용정서표현성과의 관계. 한국무용연구35(3), 285-309..
  • 이태훈(2014). 남자무용지도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행동이 학생들의 무용몰입과 무용정서표현성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상명대학교 대학원..
  • 이태훈, 박인실(2015). 남자무요지도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행동이 학생들의 무용몰입과 무용정서표현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24(3), 1201-1216..
  • 안정훈(2016). 지도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이 무용전공생들의 감정반응 및 무용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대학무용학회논문집, 74(1), 122-138..
  • 임항아(1987). 예술사회학의 무용커뮤니케이션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윤인애, 김지영, 주형철(2013). 교양댄스수업에서의 학생들이 지각한 교수의 감성지능, 비언어적커뮤니케이션, 신뢰 및 참여지속 의사의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52(4), 293-305..
  • 정성진(2005). 무용전공 학생들의 신체만족도와 공연자신감의 관계.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 주형철, 조원호, 김원경, 김수현(2014). 에어로빅 지도자의 언어적,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과 갈등, 유대감 및 운동지속의사의 구조적 관계. 코칭능력개발지, 16(2), 26-36..
  • 최재희(2013). 무용수업 참여 중학생이 지각하는 지도자 신뢰감과 무용몰입의 관계. 한국무용과학회지, 30(1), 123-137..
  • 추나영(2012). 무용강사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과 고객참여, 고객만족, 고객충성도의 관계.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대학원..
  • 한선숙(2014). 무용전공 교수의 지도유형이 학생들의 무용자신감과 무용능력성취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23(1), 959-970..
  • 한혜원, 오진숙(2011). 무용전공 여대생의 신체이미지가 무용자신감과 무용능력성취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20(5), 859-870..
  • 허은숙(2009). 생활무용 프로그램에 따른 커뮤니케이션 유형이 지도자 서비스평가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대학원..
  • 허 훈(2014). 체육교사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이 수업태도 및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대학원..
  • 홍연지, 지준철, 김승철, 김지윤(2014). 무용전공 대학생의 신체적 자기지각과 무용몰입 및 공연자신감의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53(2), 457-467..
  • Birdwhistell, R. (1970). Kinesics and contest. Philadelphia: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 Claxton, D. B. & Lacy, A. C. (1991). Pedagogy: The missing link in aerobic dance.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Recreation and Dance, 62(6), 49-51.. [https://doi.org/10.1080/07303084.1991.10609893]
  • Dweck, C. S. (1986). Motivational Processes affectingly. American Psychologist, 41, 1040-1048..
  • Harrison, R. (1973). Nonverbal communication in Handbook Communication(Eds), Solapoo, D., & Schramm, W., Chicago: Rand Mcnally College Publishing Co..
  • Jung, H. S., & Yoon, H. H. (2011). The effect of nonverbal communication of employees in the family restaurant upon customer`s emotional responses and customer satisfac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Hospitality Managment, 30, 542-550.. [https://doi.org/10.1016/j.ijhm.2010.09.005]
  • Mehrabian, A. (1971). Silent messages. CA:Wadsworth Publishing Company..
  • Sundaram., D. S., & Webster, C. (2000). The role of nonverbal communication in service encounters. Journal of Service Marketing, 14(5), 378-391.. [https://doi.org/10.1108/08876040010341008]
  • Tubbs, S, L. & Moss, s. (2003). Nonverbal communication: Prinaples and Contexts. Boston: Mcgraw-Hill..
  • Vealey, R. S. (1986). Conceptualizaton of sport-confidence and competitive: Preliminary investigation and instrument development. Journal of Sport Psychlogy, 8, 221-246.. [https://doi.org/10.1123/jsp.8.3.221]
  • Wainwright, G. R. (1999). Body Language. Hodder & Stoughton Limited..
  • Leigh, T. W., & Summers, J. O. (2002). An Intial Evaluation of Industrial Buyers’ Impressions of Salespersons’ Nonverbal Cues. The Journal of Personal Selling & Sales Management, 22(1), 41-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