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Article ]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Vol. 35, No. 1, pp.95-109
ISSN: 1229-7836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1 Jan 2018
Received 30 Nov 2017 Revised 19 Dec 2017 Accepted 12 Jan 2018
DOI: https://doi.org/10.21539/Ksds.2018.35.1.95

안무가는 무엇으로 무용수를 움직이는가

임선영**
임댄스프로젝트10
How will the choreographer lead the dancer?
Lim, sun-young**
Imdanceproject10

Correspondence to: ** sunyounglim@hotmail.com Contributed by footnote: 이 연구는 2016년도 동덕여자대학교 무용학과 박사학위논문을 수정 보완한 것임


CopyrightⒸ 2018 by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초록

이 연구는 안무가가 예술활동을 하는데 있어 안무가와 무용수와의 능동적인 협력을 위한 안무가의 역할에 필요한 안무가리더십의 구체적인 요소를 규명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안무경력 25년 이상의 전문안무가 6인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 그들의 예술적 철학과 무용수와의 작업방식을 중심으로 심층 인터뷰를 문화 기술적 연구방법을 통해 진행하였다. 그 결과, 안무가리더십은 인간애, 창조활동 자극, 영감적 동기부여, 소명의식,이타적 책임감, 멘토링 기술, 감각적 직관력, 심신통합인지력의 8요소로 규명되었다. 즉, 무용수를 이끄는 안무가 리더십을 지닌 안무가는 무용수를 성장시키며 자신의 창조활동의 전문성을 발휘할 때 창작예술 활동의 가치를 높이고 동시에 사회적 기대에 부응하는 우수한 작품을 만들어 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 연구를 시작으로 안무가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안무가의 사회적 위치를 확립하고 그 활동범위를 확장할 수 있는 안무가의 활동역량 방법개발과 구체적인 연관이 있는 활동과정의 사례 분석 개발이 이어지길 기대하며, 무용수를 이끄는 안무가의 리더십활동에 관한 구체적인 방법과 그 가치를 인식하는데 필요한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pecific elements of choreographed leadership needed for the choreographer to actively collaborate with choreographers and dancers in performing arts activities. For this purpose, six professional choreographers with more than 25 years of experience in choreography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and their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hrough cultural and technological research methods, focusing on their artistic philosophy and how they work with dancers. As a result, choreographer leadership was identified as eight elements of humanity, stimulation of creative activity, inspirational motivation, consciousness of calling, altruistic responsibility, mentoring skill, sensory intuition, and mind - body integrative cognitive ability. In other words, choreographed choreographers who lead the eople will be able to create excellent works that increase the value of creative art activities while meeting the social expectation while showing the dynamism of their creative activities.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the choreographer 's social position and the expansion of the activity range will be followed by the development of the activity competency method, We expect to provide concrete data on the leadership activities of choreographers who lead the dancers, and important data for recognizing their values.

Keywords:

choreographer leadership, humanity, creative activity stimulation, inspirational motivation, vocation, altruistic responsibility, mentring skill, sensual intuition, a holitic approach to body and mind

키워드:

안무가리더십, 인간애, 창조활동 자극, 영감적 동기부여, 소명의식, 이타적 책임감, 멘토링 기술, 감각적 직관력, 심신통합인지력

참고문헌

  • 김하나(2014). 안무가와 변혁적 리더십이 무용수의 리더 신뢰와 무용단 만족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고려대학교.
  • 김현주, 조혜영(2015). 중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진로태도성숙도가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15), 201-221.
  • 강여주(2007). 안무가와 무용수 및 관객간의 커뮤니케이션과 의미생성과정에 관한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 고자인(2015). 보호직공무원의 소명의식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일의 의미와 경력몰입의 매개효과. 미간행 석사학위논문.삼육대학교.
  • 고현정(2014). 체화가 무용수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무용교육학회지, 25(2), 85-104.
  • 김문애(2003). 무용예술과 안무기법. 서울. 한글. 89-102.
  • 박선희(2012). 무용지도자의 변혁적 리더십이 팔로워십 및 지도자 신뢰에 따라 무용만족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전남대학교.
  • 박상록(2009). 리더의 지성, 경험, 감성이 리더십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업무 스트레스 상황을 중심으로. 미간행 박사학위논문.청주대학교.
  • 송진호(2016). 직장인의 소명의식, 일몰입, 일가치감, 직무만족 및 삶의 질 간의 구조적 관계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 신지혜, 정지혜(2013). 무용-교사 학생 상호작용과 정서의 관계: 학습태도의 매개효과. 한국여성체육학회지, 27(4), 15-29.
  • 양소영(2011). 무용교사 전문성의 구성요인 탐색.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 이지연(2003). 모범적 이타주의자들의 특성.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 유 진, 차은주(2008). 한국 춤 무용수의 멘토링 경험: 생애사적 접근. 대한무용학회지, 56, 153-172.
  • 유 진, 차은주(2009). 무용수의 멘토 관계 구조 분석. 대한무용학회지, 60, 235-246.
  • 유필화(2010). 역사에서 리더를 만나다. 서울: 흐름출판사.
  • 이화석(2013). 무용전공대학생이 지각한 변혁적 리더십과 지도자 신뢰 및 무용몰입의 관계. 대한무용학회논문집, 71(4), 162-180.
  • 임선영, 이연수(2013). 전문무용수의 자기결정성동기가 심리적 중재요인 및 공연참여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과학회지, 30(1), 69-89.
  • 임선영(2016). 델파이를 통한 안무가 리더십 요인도출 및 리더십이 자기효능감과 참여몰입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동덕여자대학교.
  • 이정명(2014). 움직임 수업을 통한 트라우마 생존자들의 신체 심리 경험 연구. 무용역사기록학회지, 34(1), 169-196.
  • 안정훈(2015). 안무가의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무용수의 동기부여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대한무용학회논문집, 73(1), 134-148.
  • 양정원(2011). 팀장의 동기부여적 언어가 팀원의 직무수행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 용석현(2011).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구성원들의 직무만족, 직무몰입과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 유지원(2011). 학습자의 몰입에 영향을 주는 동기요인, 심리적 중재요인, 사회적 요인간의 구조적 관계규명.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 박현일, 강호영, 이원기(2013). 조직문화, 통제시스템, 동기부여의 관련성. 한국국제회계학회, 2013(11), 345-392.
  • 신동엽, 김은미, 이중식(2013). 창조성의 원천: 예술가는 어떻게 사고하는가. 서울: 김영사.
  • 조보경, 이상돈, 이범진(2005). 무용지도자의 리더십과 창의성에 관한 연구. 한국스포츠리서치, 16(4), 273-282.
  • 최의창(2010). 스포츠맨쉽은 가르칠 수 있는가?: 체육수업에서의 정의적 영역 지도의 어려움과 가능성.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17(1), 1-24.
  • 최상철(2007). 리더로서 안무가의 역할 연구: 경합가치 모형을 중심으로. 한국무용교육학회지, 18(2), 1-21.
  • 황국현(2015). CEO의 소명의식과 진정성 리더십이 구성원의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숭실대학교.
  • 홍혜전, 전미라(2013). 40대 안무가의 직업적 삶과 바람, 한국체육학회지, 52(4), 401-414.
  • Hoffman, M. L. (1981). Is altruism part of human natur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0, 121-137. [https://doi.org/10.1037/0022-3514.40.1.121]
  • Batson, C. D. (1991). The altruism qustion: Toward a social-psychological answer, Hillsdale, NJ: Erlbaum.
  • Creswell, W. J. (2010)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2nd ed). Sage: Publication Inc. 조흥식, 정선욱, 김진숙, 권지성역(2010), 질적 연구방법론: 다섯 가지 접근. 서울: 학지사.
  • Dick, B. J., & Duffy, R. D. (2009). Calling and vocation at work: definitions and prospects for research and practice. The Counseling Psychologist, 37(3), 424-458. [https://doi.org/10.1177/0011000008316430]
  • Lincoln, Y. S., & Guba, E. G. (1985). Naturalistic inquiry. Newbury Park, CA: Sage Pulications.
  • Jhon, C. Maxwell(2007). 21Indispensable Qualities of a Leader. 전형철 역(2017). 서울: 비즈니스북스.
  • Rogers, C. R. (1961). On becomimg a person. Boston: Houghton Miffilin.
  • Spradley, J. (1980). Participant observation. New York: Holt, Rinehart and Winson. 이희봉 역(1988). 문화탐구를 위한 참여관찰방법. 서울: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 Kram. K. E (1985). Improving the mentoring process. Training and Development Journal. April, 40-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