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지 아카이브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Vol. 34 , No. 4

[ Article ]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Vol. 34, No. 4, pp. 83-93
ISSN: 1229-7836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Sep 2017
Received 10 Sep 2017 Revised 02 Oct 2017 Accepted 18 Oct 2017
DOI: https://doi.org/10.21539/Ksds.2017.34.4.83

로이 에스콧의 테크노에틱 아트(Technoethic Arts)와 세계예술양상
태혜신**
경희대학교

Roy Ascott’s Techno-ethic Arts and World Art Tendencies
Tae, Hyae Syn**
kyung Hee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 **thspjk@hanmail.net


초록

우리사회는 미래 4차 산업혁명시대 예고에서 나아가 현실화 및 상용화 시점에 있다. 이러한 미래사회의 변화를 로이 에스콧(Roy Ascott)은 이미 50여 년 전 예술의 영역에서 테크노에틱 아트(Technoethic Arts) 개념으로 설명하고 예측하였다. 그의 테크노에틱 아트(Technoethic Arts) 예술철학은 현재 도래한 4차 산업혁명시대의 새로운 예술에 대한 아이디어를 제공하고 그 방향성 및 방법론 탐색에 기반지식이 된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로이 에스콧의 예술개념을 바탕으로 현재 진행되고 있는 테크노에틱 아트(Technoethic Arts) 형태의 세계예술양상과 특성을 연구한 결과, 첫째, 모이스트 미디어(Moist Media)의 영역에서는 식물과 기계와의 연결에서 나아가 인간신체와 기계가 융합되어 다양한 예술세계를 창조하고 있었다. 둘째, 생물학, 물리학, 뇌생체역학, 유체역학, 양자 역학 등 최첨단 과학지식을 방법론으로 활용한 새로운 혁신적 예술들이 등장하였다. 셋째, 생물학적 텔레매틱 예술(Bio-Telematics Art)이 실험단계를 넘어서 다양한 예술형태로 현실화되고 있었다. 문제는 예술가들이 미래 4차 산업사회구조 속에서 혁신적으로 변모된 예술환경을 어떻게 소화할 것인가에 달려 있다. 이에 디지털 예술패러다임의 본격적인 전환이 필요한 시점이다.

Abstract

Our society is in the midst of actualization and commercialization of the future 4th industrial revolution. Roy Ascott already predicted and explained the change of future society with concepts of techno-ethic arts in the area of arts 50 years ago. This study examine the world art tendencies and characteristics of techno-ethic arts proceeding based on his artistic philosophy. Firstly, in the area of the Moist media, it advanced from the connection with the plant and machine and the various worlds of art were created with the fusion of human body and machine. Secondly, the new innovative arts were emerged which is utilized the most advanced scientific knowledge such as the biology, physic, fluid mechanics, quantum and mechanics. Thirdly, Bio-telematics Art is realized by various shape over the experimental stage. It is time to change in earnest the paradigm of digital art.


Keywords: Roy Ascott, Techno-ethic Arts, Moist media, Bio-telematics, butterfly philosophy, the world art tendencies
키워드: 로이 에스콧, 테크노에틱 아트, 모이스트 미디어, 생물학적 텔레매틱스, 나비철학, 세계예술양상

Acknowledgments

본 연구는 이대무용학연구소 2016년도 제1회 국내학술심포지엄 발제“모이스트 미디어(moist media)와 미래예술패러다임” 을 수정·보안한 것임.


References
1. 김연희(2011.10.18). “몸의 변화를 직접 보고 들을 수 있다? 남영호무용단 융합무용 「S.U.N」”, 대학로 예술극장에서 공연. ScienceTimes.,http://www.sciencetimes.co.kr/?p=98049&post_type=news&paged=22.
2. 로이 에스콧, 아트센터 나비.http://nabi.or.kr/archive/creator_db_read.nab?idx=17&pg_page=12&category=&keyword=. 2016. 2016. 12.01 방문.
3. 로이 에스콧, 이원권 역 (2002). 테크노에틱 아트. 서울: 연세대학교 출판부.
4. 로이 에스콧, 인간은 이제 나비처럼 살아야 한다. 지식노트, 2014.11.14. http://namwiya.blog.me/140202966532, 2016.12.01. 방문.
5. 로이 에스콧의 모이스트 미디어 그리고 의식. 안진석 ironyFunny, 2011.04.05.00:54, http://ironyfunny.tistory.com/161.
6. 류운(2016), VR 호접지몽: 인문학에서 본 VR(1), Ryuun JYP.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 jinguk2016&logNo=220873540198, 2017.01.10.일 방문.
7. 박명숙, 태혜신, 오하영(2014). 감성논리 관점에서 본 국내 최근 융복합 무용작품분석. 한국체육학회 53(5), 393~409.
8. 심광현(2001) 사이버 시대의 문화와 예술향방.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joyslee77&logNo= 140034007327, 2017.01.07. 방문.
9. 강인애(2000). 또 다시 McLuhan 인가 : 커뮤니케이션이론과 교육공학의 관계모색. 경희대학교 교육공학연구, 16(3), 59-65.
10. 심소미(2006). Works.music.columbia.edu/organism _web review, 앨리스온, http://aliceon.tistory.com/14 예술의 테크놀로지화 생명으로 진화, 한121008, http://cafe.daum.net/WehGukBang/JOw6/156?q=%B7%CE% C0% CC%20%BF%A1%BD%BA%C4%E0, 2017.1.10. 방문.
11. 오하영(2014). 감성논리관점에서 본 국내 융·복합 무용작품 분석.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대학원.
12. 허서정(2002). 예술과 과학기술 그리고 사람의 만남 ISEA 2002, 아트센터 나비, http://www.nabi.or.kr. 2013. 06.02 방문.
13. 최효민(2006). 디지털 매개 공연예술에서의 '몸'의 재해석과 감성적 소비코드 연구. 미간행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14. 토사나오코, 나카츠 료헤이, 팡 유난, 와타나베 케이스(2016), 제네시스: 유체역학의 시각화로 창조된 뉴미디어 아트, 2016 한양대학교 제10회 우리춤연구소 국제학술대회 <융복합 교육시리즈Ⅰ> Art & Technology 융복합 교육과 실천을 위한 미래담론. 63-75. 서울3ㅈㄷ.
15. KBS(2016). KBS 미래기획 2030: 4차 산업혁명, 경계를 무너뜨리다 : [2부] 인간의 뇌에 접속하라. 2016. 11.27 방영.
16. F. Sparacino,G. Davenport, and A, pentland. (2000). Media in performance: Interactive spaces for dance, theater, circus, and museum exhibits. MIT Media Laboratory, 39. 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