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Article ]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Vol. 39, No. 1, pp.29-41
ISSN: 1229-7836 (Print) 2713-6949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1 Jan 2022
Received 12 Dec 2021 Revised 06 Jan 2022 Accepted 21 Jan 2022
DOI: https://doi.org/10.21539/Ksds.2022.39.1.29

코로나 19로 인한 노인들의 댄스스포츠 참가제약과 우울감 및 자아통합감과의 구조적 관계

이문숙*
*충남대학교 스포츠과학과 시간강사 fesaikho@hanmail.net
The relationship among dancesports participants' restriction on exercise, depression and ego integrity of the elderly in COVID-19
Moonsook Lee*
*Instructor, Department of Sport Scienc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CopyrightⒸ 2022 by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초록

이 연구는 Covid-19로 인한 노인들의 댄스스포츠 참가제약과 우울감 및 자아통합감과의 구조관계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2021년 D시에 거주하고 있는 65세 이상 노인들을 표본집단으로 코로나 19 상황 이전에 댄스스포츠 프로그램에 2년 이상 규칙적으로 참여한 경험이 있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온라인과 오프라인(우편발송) 방식으로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총 112부를 최종적인 자료 분석에 활용하였다. 측정도구는 운동참가제약, 우울, 자아통합감으로 수집된 자료는 분석 목적에 따라 분리하여 입력하였으며, SPSS WIN VER 24.0과 Amos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과 확인적 요인분석 및 구조방정식모델(structural equation model)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코로나 19로 인한 노인들의 댄스스포츠 참가제약은 우울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코로나 19로 인한 노인들의 댄스스포츠 참가제약은 자아통합감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코로나 19로 인한 노인들의 우울은 자아통합감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코로나 19로 인한 노인들의 댄스스포츠 참가제약과 우울감 및 자아통합감 간에는 유의미한 인과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를 종합하면, 코로나 19로 인한 노인들의 댄스스포츠 참가제약은 우울과 자아통합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우울을 통해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restriction on exercise, depression and ego integrity the elderly’s participation in dancesports during covid-19. To achieve the goal of this study,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160 dancesports partipants(before covid-19) aged over 65 years in D-city and 112( over 2 years, 2 times a week) of them were analyzed. The measurement tools used were restriction on exercise scale, depression scale and ego integrity scale. SPSS WIN VER 24.0 and Amos 26.0 program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with reliabilit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it was found that restriction on exercise of the elders’s participation in dancesport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depression. Second, it was found that restriction on exerciseof the elders’s participation in dancesport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ego integrity. Third, it was found that depression of the elders’s participation in dancesport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ego integrity. Fourth, it was found that the restriction on exercise of the elders’s participation in dancesports had a partial mediation effect between depression and ego integrity.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the restriction on exercise of the elders’s participation in dancesports had a significantly influence on depression and ego integrity directly.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restriction on exercise of the elders’s participation in dancesports had a indirect influence on the ego integrity mediated by depression.

Keywords:

the elderly, covid-19, dancesports, restriction on exercise, depression, ego integrity

키워드:

노인, 코로나 19, 댄스스포츠, 참가제약, 우울, 자아통합감

References

  • 고영준(2008). 노인의 생활체육 참여동기와 라이프스타일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참여만족도, 서비스만족도,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 권순정(2010). 댄스스포츠 참여자의 참여제약, 극복요인 및 여가만족의 통합적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대학원.
  • 권오정(2020). 코로나19에 의한 노인 운동행동 변화 사례 연구.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31(2), 123-134.
  • 김계수(2010). (Amos 18.0)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서울: 한나래아카데미.
  • 김복주, 임은조, 선상규, 박준호, 하지철(2020). 세이타 물질이 함유된 마리엔스 제품이 유산소 특성 종목 운동선수의 신체적 회복탄력성 및 뇌파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학회지, 18(3), 1245-1253.
  • 김정은(2020). 노인에서 코로나바이러스감염병-19의 임상적 특성. 대한임상노인의학회지, 21(1), 1-8.
  • 김사엽, 양종훈, 2008)노인의 여가스포츠활동 참여와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생활만족도의 관계. 한국스포츠학회지, 6(1), 97-107.
  • 김상태, 홍석호(2018). 청소년 운동선수들의 자기초점주의와 정서조절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학회지, 16(2), 667-677.
  • 김성수(2010). 노인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건강상태의 관계.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고신대학교 보건대학원.
  • 김종남, 이순묵, 최승원, 채정민, 서동기, 이헌정, 원은수(2018). 한국형 역기능 우울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스트레스연구, 26(2), 103-114
  • 김정순(1988). 노인의 사회적 활동과 자아통합감에 관한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김효정(2010). 회상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노인성질환 입원환자들의 자아통합감과 우울에 미치는 효과.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영남대학교 대학원.
  • 김희경(2006). 노인의 자아통합감과 영향요인. 노인간호학회지, 6(1), 24-35
  • 노방환(2013). 노인복지관의 실내외 환경적 요인이 이용자 서비스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서비스품질의 매개효과 분석.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서남대학교 대학원.
  • 류재숙, 이혁진(2012). 대학생의 여가활동 참가동기와 여가제약이 여가활동 지속성에 미치는 영향. 관광레저연구, 24(8), 291-306.
  • 류정란(2002). 노인자원봉사활동이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 문정화, 김수진, 성기옥(2021). 코로나19 두려움과 영향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사회과학연구, 32(1), 285-307.
  • 박재영(2020). 노인 코로나바이러스감염병-19의 최신 치료 경향. 대한임상노인의학회지, 21(2), 54-64.
  • 박정호(2020). 코로나 펜데믹으로 인한 운동제약 환경에서 노인 테니스 참가자가 지각하는 운동자기효능감이 운동만족과 운동지속의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29(5), 293-304.
  • 배윤조(2018). 스포츠 활동 참여 노인의 죽음수용태도와 삶의 만족도. 한국스포츠학회지, 16(3), 399-407.
  • 변영채, 이동호, 류호상(2014). 12주간의 댄스스포츠 활동이 여성노인의 자아탄력성과 주관적 행복감 및 평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25(1), 39-50.
  • 서부덕, 권경희(2021).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국내지역사회 노인들의 우울감 영향 요인.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지, 46(1), 54-63.
  • 신혜리, 윤태영, 김수경, 김영선(2020). 코로나 팬더믹 사태의 고령자 일상생활 변화에 관한 탐색적 연구 : 기술사용과 노인복지관 참여 제한을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75(4), 207-232.
  • 심성희(2014). 운동제약 수준에 따른 자기효능감, 동기조절과 운동지속의도의 관계.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동국대학교 대학원.
  • 안정훈(2021). 지속적 생활체육 참여 노인들의 코로나-19로 인한 운동제약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우울의 매개효과. 한국스포츠학회지, 19(2), 411-421.
  • 오병진, 최상원(2018). 태권도 수련생들의 사회적 지지가 스포츠 자신감과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학회지, 16(3), 707-715.
  • 오상현(2001). 노인의 생활체육참여와 자아통합감의 관계.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 오지희, 김종남(2017). 노인의 상실감, 응집감 및 우울이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 = 매개된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22(3), 687-710.
  • 엄윤숙(2007). 집단 미술 치료가 노년기의 우울과 자아통합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조선대학교 대학원.
  • 윤학수(2007). 노인대학 프로그램영역별 참여특성이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대학원.
  • 윤현숙, 염소림(2017). 노인의 우울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노인복지연구, 72(1), 233-255.
  • 이나윤, 강진호(2020). 코로나-19 사회적 사태를 경험한 65세 이상 노인들의 정서적 변화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4(6),
  • 이윤표, 박수근, 길재호, 맹성호, 신정원, 정샘(2018). 노인의 운동참여 정도에 따른 주관적 건강상태와 우울 및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 한국발육발달학회지, 26(4), 495-500.
  • 장봉우, 장태영(2018). 노인의 계획된 운동이 자아효능감, 우울,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의 메타분석. 디지털융복합연구, 16(2), 293-298.
  • 전세현, 이서희, 배은지(2021).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의 사회적 거리두기 상황에서 한국 대학생의 신체활동, 사회활동 수준 및 우울 증상과의 관계에 대한 조사연구. 간호과학논집, 26(1), 10-17.
  • 전정아(2006). 노인의 자아통합감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적지지와 우울을 중심으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울여자대학교.
  • 정윤미(2017). 댄스스포츠 참가자 노인의 연령정체감과 실존적 정체감 및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대학원.
  • 정혜선, 오현수(2015). 노인의 자아통합감과 우울의 상호 순환적 관계에 대한 모형 검정. 성인간호학회지, 27(23), 262-272.
  • 조문기, 김대광, 남신성(2006). 한국 노인생활체육의 문제점과 활성화 방안. 한국스포츠학회지, 4(2), 143-161.
  • Armitage, R., & Nellums, L. B. (2020). COVID-19 and the consequences of isolating the elderly. The Lancet Public Health, 5(5), 238-256. [https://doi.org/10.1016/S2468-2667(20)30061-X]
  • Bandalos, D. L. (2002). The effects of item parceling on goodness-of-fit and parameter estimate bia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9(1), 78-102. [https://doi.org/10.1207/S15328007SEM0901_5]
  • Banerjee, D. (2020). The impact of COVID 19 pandemic on elderly mental health.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7(2), 23-37.
  • Erikson(1963)Erickson E. H.(1963). Childhood and Society. 2nd ed. New York : Norton.
  • Havighurst, R. J. (1977). A Social psychological perspective on aging. Let's learn about aging : a book of readings. J. R. Barry and C. R. Wingrove(eds.) New York, Shenkman pub., comp., Znc, 139-148
  • Hoglound, M. W., Sadovsky, R., & Classie, J. (2009). Engagement in life activities promotes healthy aging inn men. Journal of Men's Health, 6(4), 354-365. [https://doi.org/10.1016/j.jomh.2009.09.032]
  • Hubbard, J., & Mannell, R. C. (2001). Testing competing models of the leisure constraint negotiation process in a corporate employe recreation setting. Leisure Sciences, 23, 145-163. [https://doi.org/10.1080/014904001316896846]
  • Lemon, Bengtson, and Peterson 1972; Lemon, B. W., V.L. Bengtson and J. A. Peterson(1972). An exploration of the activity theory of aging: Activity theory of aging: Activity types and life satisfaction among in-movers to a retirement community. Journal Gerontology, 27(4), 511-523. [https://doi.org/10.1093/geronj/27.4.511]
  • Westerhof, G. J., Bohlmeijer, E. T., & McAdams, D. P. (2015), The Relation of Ego Integrity and Despair to Personality Traits and Mental Health. Journal of Gerontology: Series B, Psychological Sciences and Social Sciences, 72(3), 400-407. [https://doi.org/10.1093/geronb/gbv0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