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Article ]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Vol. 35, No. 2, pp.97-111
ISSN: 1229-7836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Apr 2018
Received 28 Feb 2018 Revised 03 Apr 2018 Accepted 17 Apr 2018
DOI: https://doi.org/10.21539/Ksds.2018.35.2.97

영상미디어와 컨템포러리 발레의 융·복합 공연에서 나타난 환영성 : ‘초월(Transcendence)’ 사례연구

조가영*
다원예술프로젝트팀 써클
The Aspects of Illusion Found in a Convergent Performance between Image Media and Contemporary Ballet : A case study on ‘Transcendence’
Cho, Ka-Young*
Interdisciplinary Arts Project Team ‘Circle’ representation

Correspondence to: * choballet@hanmail.net

CopyrightⒸ 2018 by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초록

연구자는 영상미디어와 융·복합 작품인 ‘초월’에서 환영성의 미학이 드러나는 장면들을 신체 즉 움직임, 시공간, 영상 미디어와의 상호작용과 연계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는 영상미디어와의 융·복합 공연이 춤의 축소가 아닌 확장이라는 긍정적 견해를 수용하며, 춤의 미학적 특징을 규명해 봄으로써 융·복합 공연에서 춤이 갖는 예술적 가치를 높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춤의 환영성은 역사 이전 시대, 제의의 형식에서 보여준 마술적 환영에서 낭만주의 시대 무대 기술과 결합된 낭만주의 발레의 초현실적인 환영성을 보여주었으며, 포스트모더니즘 이후 시각적 환영을 만들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이뤄졌다. 이후 춤은 무대라는 공간에서 영상미디어로 시공간이 확대되면서 디지털 환영성으로 치환되는 과정을 엿볼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사례연구작품인 ‘초월’에서 보여지는 환영성은 서사적인 스토리와 리어스크린, 홀로그램, 샤, 구조물 등 기술적 장치와 움직임의 고유한 특징인 역동성, 무한복제와 변형이 가능한 영상미디어와의 복합적인 융합을 통해 ‘디지털 환영’이 드러남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움직임과 영상과의 상호작용은 움직임 고유의 역동성을 새로운 방식으로 확장시키며 미적 가치를 지닌다는 알 수 있다.

본 연구가 앞으로 테크놀로지와 결합된 무용공연에 예술적 당위성을 부여하며 미력하나마 무용의 융·복합공연의 활성화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cenes of ‘Transcendence’, a convergent work combined with image media, revealing the aesthetics of illusion in connection with the body, particularly the movement, time and space, and interaction with image media. Accepting the opinion of those positive about convergent performance combined with image media saying it is not the reduction of dance but the extension of it, this author aims to look into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dance and elevate the artistic value of dance in the area of convergent performance.

The illusion of dance began as magical illusion in the prehistoric ages in the forms of rituals. In the age of romanticism, surreal illusion was shown in romantic ballet combined with stage technology. After the postmodernism, various attempts have been made to create visual illusion. After that, dance has been broadening its area from the space of a stage to image media in terms of time and space, and it is being substituted with digital illusion.

According to the results, illusion found in the object of this case study, ‘Transcendence’, is shown as ‘digital illusion’ through the narrative, technological devices like the rear screen, hologram, sheer nylon, or structures,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movement such as dynamism, and complex convergence with image media allowing limitless reproduction as well as transformation. Based on that, we can see that interaction between movements and images is equipped with aesthetic value as it extends the unique dynamism of movement in new ways.

This author is hoping that this study will provide artistic appropriateness to dance performances to be combined with technology afterwards and contribute to vitalizing convergent performances for dance in any desirable way.

Keywords:

Contemporary Ballet, Illusion, Image Media

키워드:

컨템포러리 발레, 환영성, 영상미디어

참고문헌

  • 김말복(2003). 무용예술의 이해. 서울:이화여자대학교.
  • 박경숙(2015). 인터랙티브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무용공연 ‘New Forms'사례 연구. 대한무용교육학회, 26(4).
  • 배영달(2005). 보드리야르와 시뮬라시옹. 서울:살림.
  • 수잔 오. 김채현 역(1992). 서양춤예술의 역사. 서울: 이론과 실천.
  • 정진수, 김동욱(2000). 연극의 이해. 서울:집문당.
  • 진시영(2018). 미디어 퍼포먼스 아트의 신체성 확장에 관한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조선대학교 대학원.
  • 안용백(2007). 넥서스 영한 사전. 서울:오분샤 출판사.
  • 이유선, 윤민희(2009). 현대무용과 과학의 퓨전화에 바탕을 둔 ‘무용테크놀로지’ 사례연구. 경희대학교부설 예술디자인연구원논문집, Vol 12, 12월.
  • 이지선(2010). 디지털 매체시대 춤의 환영성에 관한 고찰.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이지희(2009). 무용작품의 영상 미디어 활용 효과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임서희(2016). 공연예술의 환영성과 감각 경험의 변화.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 한유빈(2009). 영상을 활용한 무용작품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