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Article ]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Vol. 35, No. 2, pp.1-12
ISSN: 1229-7836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Apr 2018
Received 24 Feb 2018 Revised 02 Apr 2018 Accepted 17 Apr 2018
DOI: https://doi.org/10.21539/Ksds.2018.35.2.1

무용전공 대학생이 지각하는 지도교수와의 의사소통이 자아존중감과 학과적응에 미치는 영향

김혜정**
단국대학교
The Influence of the Communication Between University Student Majored in Dance and Professor on Their Self-esteem and Department Adaptation
Kim, Hea-Jung**
Dankook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 oudry325@hanmail.net

CopyrightⒸ 2018 by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초록

이 연구는 무용전공 대학생이 지각하는 지도교수와의 의사소통이 자아존중감과 학과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유의표집 방법을 이용하여 서울 및 경기에 위치한 4년제 대학 중 5개 대학 무용학과에 재학 중인 무용전공 대학생 365명을 표집하였다. 조사도구는 강재원(1994)의 의사소통, 강종구(1986)의 자아존중감, 박성미(2001)의 학과적응 설문지를 연구대상에 맞도록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연구문제를 해결하였다. 그 결과, 첫째, 무용전공 대학생이 지각하는 지도교수와의 의사소통은 자아존중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무용전공 대학생이 지각하는 지도교수와의 의사소통은 학과적응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무용전공 대학생의 자아존중감은 학과적응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무용전공 대학생의 성공적인 대학생활과 취업을 돕기 위함이며, 올바른 대학무용교육의 발전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This study used purposive sampling method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the communication with major professor on self-esteem and adaptation to school study by sampling 365 university students with major in dance departments in 5 4-year universities in Seoul and Gyeonggi-do. For survey tool, Communication of Gang Jae Won (1994), Self-esteem of Gang Jong Gu (1986), and Survey on Adaptation to School Studies of Park Seong Mi (2001) are modified, supplemented and used according to the study subject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on the collected data using SPSS 21.0 program to solve the study subject. As a result, first, it was found out that the communication with the major professor perceived by the university students with major in dance had positive influence on the self-esteem. Second, the communication with major professor perceived by university student with major in dance was found out to have positive influence on the adaptation to school studies. Third, the self-esteem of the university students with major in dance was found to have positive influence on the adaptation to school studies. This is to help successful university school life and employment of the university students with major in dance, and it is expe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proper development of the university dance education.

Keywords:

university student majored in dance, communication, self-esteem, department adaptation

키워드:

무용전공 대학생, 의사소통, 자아존중감, 학과적응

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2015년 단국대학교 교내연구비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참고문헌

  • 강순화, 이은경, 양난미(2000). 학업우수 및 학업부진 학생의 학업실태 분석을 통한 대학에서의 학업지원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12(2), 221-242.
  • 강재원(1994). 중학교 학급담임교사의 의사소통 유형과 집단응집성 관계.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 김경식(2005). 스포츠과학 연구방법론. 서울: 무지개사.
  • 김경연(2003). 초등학교 아동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MMTIC 활용 자기성장 프로그램의 개발과 그 효과에. 관한 연구. 초등상담연구, 2, 53-69.
  • 김봉희, 신정하(2016). 간호학과 성인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 전공만족도가 학과적응에 미치는 효과. 인문사회21, 7(5), 141-166.
  • 김영미, 조진영(2012). 중학생의 방과후 무용수업 재미요인이 무용활동만족과 무용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과학회지, 28, 31-45.
  • 김인식, 김성렬, 김학준(1988). 학교교육과 컴뮤니케이션. 서울: 교육과학사.
  • 김정수, 김영미, 이민아(2004). 무용전공 대학생의 고원과 슬럼프 현상이 무용성적과 학과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43(3), 571-580.
  • 김현정(2013). 대학 ‘말하기’ 교과 운영 현황과 개선 방안. 교양교육연구, 7(3), 597-625.
  • 류춘호, 이정호(2003). 강의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교수관련 요인에 관한 연구. 경영교육연구, 19(1), 249-279.
  • 박성미(2001). 구조적 및 적응적 일치이론에 근거한 학과적응분석.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 성경희, 박인실(2014). 무용지도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사용이 학생들의 무용몰입 및 무용성취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성체육학회지, 28(1), 55-68.
  • 성소영, 이주미(2015). 대학 무용전공자의 의사소통과 팀워크, 공연성과의 구조적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24(5), 1139-1151.
  • 손영화(2016). 대학생의 의사소통 역량 측정도구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스피치와 커뮤니케이션, 15(1), 83-107.
  • 송충진(2014). 대학에서의 교수·학습활동과 의사소통, 수업만족도에 관한 연구-교수자와 학습자간 인식차이와 영향요인을 중심으로. 아시아교육연구, 15(2), 171-200.
  • 신윤성(2012). 부모 자녀 간 의사소통과 남녀 청소년의 목표지향성이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신지영(2000). 대학생들이 지각한 가족응집성, 가족적응성과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인제대학교 대학원.
  • 안경숙(2006). 청소년의 긍정적 사고와 학교적응과의 관계.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 양재희(2003). 초·중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와 교사의 의사소통 수준 비교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연세교원대학교 대학원.
  • 양종훈(2000). 무용전공 대학생의 신체상과 자아존중감 및 대인관계성향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37(2), 1415-1423.
  • 오윤선(2008). 대학생이 지각한 가족체계 유형 및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15(5), 23-49.
  • 오택섭, 강현두, 최정호, 안재현(2009). 뉴미디어와 정보사회. 서울: 나남출판사.
  • 옥복녀(2010). 담임교사의 의사소통과 태도에 대한 학생의 지각이 학교부적응에 미치는 영향-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인제대학교 대학원.
  • 이동명(1999). 강의평가 상황이 교수의 강의활동과 학생의 강의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생산성논집, 13(2), 105-130.
  • 이승효(2011). 고등학생의 의사소통유형이 자아존중감과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Satir의 의사소통유형을 중심으로. 미간행석사학위논문. 아주대학교 대학원.
  • 이미경(2009). 대학생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상지대학교 대학원.
  • 이창덕, 민병곤, 박창균(2010). 수업을 살리는 교사화법. 서울: 즐거운 학교.
  • 전숙경(2009). 교육적 의사소통의 의미와 성격. 교육철학, 45, 199-220.
  • 정의선, 조민아(2014).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1(12), 153-182.
  • 정은이(2010). 대학에서의 좋은 수업에 대한 교수자와 학습자의 인식. 교육방법연구, 22(3), 25-44.
  • 조영달(2004). 교사의 교실수업활동과 수업 방안에 관한 연구: 호주의 사례. 시민교육연구, 36(2), 271-310.
  • 조진희(2007). 무용연습 환경과 스트레스, 무용성취 및 학과적응의 관계. 한국무용과학회지, 15, 1-11.
  • 차경애(2007). 청소년의 긍정적 사고와 학교적응과의 관계.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 차명호, 이정애(2012). 주관적 흥미-학과 일치도, 학업적자기효능감과 학과적응도 간의 관계. 직업교육연구, 31(4), 227-243.
  • 한애경(1994). 간호학생의 간호 전문직에 대한 태도와 자아존중감에 관한 연구. Annual Bulletin of Seoul Health Junior College, 14, 149-158.
  • 홍미성, 조진희(2013). 무용전공남학생의 자아존중감이 학과적응 및 진로장애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과학회지, 30(2), 71-89.
  • Astin, A. W. (1993). What mattersmin college?: Four critical years revisited(Vol. 1). San Francisco: Jossey-Bass.
  • Baumeister, R. F., Campbell, J. D., Krueger, J. I., & Vohs, K. D. (2005). Exploding the self-esteem myth. Scientific American Mind, 16(4), 50-57. [https://doi.org/10.1038/scientificamericanmind1205-50]
  • Ben-Davide, A. & Leichtentritt, R. (1999). Ethiopain and Israeli student’s adjustment to college: The effect of the family, social support and individual coping styles. Journal of Comparative Family Studies, 30, 279-313.
  • Berry, J. W. (2003). Conceptual approaches to acculturation.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https://doi.org/10.1037/10472-004]
  • Coopersmith, S. (1967). The antecedents of self-esteem. Princeton.
  • Demo, D. H., Small, S. A., & Savin-Williams, R. C. (1987). Family relations and the self-esteem of adolescents and their parent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705-715. [https://doi.org/10.2307/351965]
  • El-Anzi, F. O. (2005). Academic achievement and its relationship with anxiety, self-esteem, optimism, and pessimism in Kuwaiti students. Social Behavior and personality: an International Journal, 33(1), 95-104. [https://doi.org/10.2224/sbp.2005.33.1.95]
  • Hagenauer, G., & Volet, S. E. (2014). Teacher-student relationship at university: an important yet under-researched field. Oxford Review of Education, 40(3), 370-388. [https://doi.org/10.1080/03054985.2014.921613]
  • Her, E. S., Kang, H. J., & Lee, K. H. (1987). The factors associated with weight control experience among adolescents: based on self-esteem, body-cathexis, attitudes toward the body, anthropometric characteristics and perceptions of body shape.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8(5), 658-666.
  • Herr, E. & Niles, S. (1997). Perspectives on career assessment of work-bound youth.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5(2), 137-150. [https://doi.org/10.1177/106907279700500202]
  • Lewis, D. M., Savickas, M. L., & Jones, B. J. (1996). Career Development Predicts Medical School Succes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49, 86-98. [https://doi.org/10.1006/jvbe.1996.0035]
  • London, M. (1997). London’s career motivation theory: An update on measurement and research.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5, 61-80. [https://doi.org/10.1177/106907279700500105]
  • Parpala, A., Lindblom-Ylänne, S., & Rytkönen, H. (2011). Students’ conceptions of good teaching in three different disciplines. Assessment & Evaluation in Higher Education, 36(5), 549-563. [https://doi.org/10.1080/02602930903541023]
  • Perez, M., Vohs, K. D., & Joiner, T. E. (2005). Discrepancies between self-and other-esteem as correlates of aggression.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24(5), 607-620. [https://doi.org/10.1521/jscp.2005.24.5.607]
  • Winters, N. C., Myers, K., & Proud, L. (2002). Ten-year review of rating scales. Ⅲ: Scales assessing suicidality, cognitive style, and self-esteem.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 Adolescent Psychiatry, 41(10), 1150-1181. [https://doi.org/10.1097/00004583-200210000-00006]
  • Yeun, E. J., & Kwon, Y. M. (2007). A correlation study on nursing professional values, department satisfaction, sociality, self-esteem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3(3), 285-2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