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Article ]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Vol. 34, No. 3, pp.45-58
ISSN: 1229-7836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1 Jul 2017
Received 31 May 2017 Revised 30 Jun 2017 Accepted 25 Jul 2017
DOI: https://doi.org/10.21539/Ksds.2017.34.3.45

발레동아리활동이 군인의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박선우 ; 박인자**
숙명여자대학교
The Effect of Ballet Group Activity On Army’s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Park, Sun-Woo ; Park, In-Ja**
Sookmyung Women’s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 ijpark@sookmyung.ac.kr

초록

본 연구는 발레동아리활동이 군인이 조직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로 경기도 소재 육군부대 군 사병 6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군 사병 60명 중 30명은 실험집단, 나머지 30명은 통제집단으로 배치하였으며 각 집단별 10명은 관심병사, 나머지 20명은 일반병사로 구성하였다. 통제집단은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았으며, 실험집단은 12주동안 120분씩 발레동아리활동을 진행하였다. 발레동아리활동은 긴장풀기(15분), 들어가기(20분), 기본동작(30분), 휴식(10분), 주제활동(35분), 마무리(10분)의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측정도구는 군 생활적응, 군 생활만족, 조직몰입 척도 중 정서적 몰입부분만을 사용한 조직효과성 척도이다. 사용한 척도는 본 연구에 맞게 수정 및 보완하였으며 연구결과 도출을 위해 통계프로그램 SPSS21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대응표본 t-tese, 독립표본 t-test,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발레동아리활동 전보다 발레동아활동 후에 관심병사와 일반병사의 조직효과성 모든 하위요인이 유의하게 상승하였다. 둘째, 발레동아리활동 유, 무에 따라 관심병사의 조직효과성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일반사병의 경우 조직효과성의 모든 하위요인이 발레동아리활동 무경험 집단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발레동아리활동이 관심병사의 조직효과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일반병사 조직효과성의 모든 하위요인에 영향을 미쳤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ballet group activity on army’s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pplied samples were limited to 60 active-duty soldiers, who serve in Gyeong Gi-do province. The sample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f test group 30 persons and control group 30 persons. And each group was divided into two groups of 10 attention soldiers and 20 normal soldiers, respectively. In case of test group, ballet group activity was enforced for 12 weeks, and the education program of each day was organized as 5 stages (total 12min.) such as follows; tension relaxation (15 min.), introduction for entering (20 min.), basic motion (30 min.), sudject activities (35 min.), and finish of the activities (10 min.).

Measurement tool used in this research consisted of scales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 organizational commitment scale among three measurements such as a military life adaptation scale, a military life satisfaction, and an emotional commitment. All of scales were modified and revised and optimized to be suitable for this study. A statistical program, SPSS 21, was used in order to produce research results, and diverse analysis was executed such as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paired sample t-test,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nalysis after ballet group activity as follows. First, the entire sub-factors’ estimation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attention soldiers and normal soldiers were meaningfully increased comparing to the previous status of the ballet group activity.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attention soldiers according to whether military soldiers had to the ballet group activity or not. But, in case of normal soldier, the entire sub-factors’ estimation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re increased than the group, which does not experienced the ballet group activity. Third, ballet group activity had no effe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attention soldiers, but, in case of normal soldier, the ballet group had influenced to self-awareness, the entire sub-factors’ estimation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Keywords:

ballet, ballet education, army, organization effectiveness, adjustment to military life, military life satisfaction, affective commitment

키워드:

발레, 발레교육, 동아리활동, 군인, 조직효과성, 군 생활적응, 군 생활만족, 정서적 몰입

Acknowledgments

본 연구는 2016학년도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의 요약본임

References

  • 고정아(2014). 군인들의 스트레스대처, 양육태도, 대인관계가 군대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 구희곤, 임수원(2011). 군 병사의 스포츠참여와 집단응집성, 군생활적응성, 조지효과성 간의 인과모형. 한국체육학회지, 50(5), 295-307..
  • 권현욱(2012). 직업군인의 스포츠 활동 만족이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 김성식(2003). 군 병사들의 불안 및 그 관련 요인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 김세훈(2013). 군 문화예술 활동 효과 분석. 예술경영연구, 28, 233-255..
  • 김영호(2011). 댄스스포츠 참여에 따른 교원직무연수자들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 석사학위논문. 영남대학교 스포츠과학대학원..
  • 김형빈(2011). 장병들의 체육활동 참여가 복무 만족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 김홍설(2002). 직장인의 생활체육 참가와 조직유효성의 관계.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15(1), 61-70..
  • 김효영(2008). 군복무 스트레스에 따른 군 생활 적응: 자기효능감, 사회적지지, 스트레스 대처 방식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 나남경(2008). 무용 특기적성 교육이 초등학생의 사회성 및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 문장옥(2011). 긍정기도문쓰리가 군생활 만족도 및 자아존중감, 군생활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 박선우, 박인자(2016). 무용동아리활동이 군 생활 스트레스와 군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교육학회지, 17(3), 195-214..
  • 박선우, 한혜원(2016). 생활무용 교육유형이 재미요인과 지속적 참여의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과학회지, 33(1), 11-22..
  • 박지원(2011). 조직구성원의 감성지능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코칭리더십의 조절효과연구.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 변지용, 김제영, 김지영(2012). 생활무용에 참여하는 기혼여성근로자의 여가관여가 직무만족과 결혼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학회지, 12(1), 25-35..
  • 서영순(2005). 스트레스가 장별들의 자살사고에 미치는 조사연구. 육군3사관학교. 685..
  • 송미숙(2009). 무용 화동이 초등학생의 학교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우리춤과 과학기술, 10, 311-331..
  • 송봉근(2008). 군 간부들의 스포츠 활동과 직무만족도 분석. 석사학위논문. 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 신성욱, 정재한, 김석주(2016). 대대장의 리더십이 장병들의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신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인사행정학회보, 15(1), 235-256..
  • 신용선(2002). 부적응 학생 대상 무용교육과 학교생활 만족도에 대한 상관관계 연구. 석사학위논문. 목원대학교 대학원..
  • 신태수(1981). 군대조직 구성원의 자아정체감과 군 생활어서의 적응과의 관계연구.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 윤주리(2012). 집단음악치료가 관심병사의 군 생활 스트레스와 적응에 미치는 효과.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9(1), 55-71..
  • 이명신(1988). 근로자 주관적 삶의 질과 그 영향요인.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 이명현, 이형룡(2012). 호텔 직원의 사내 동오회 활동을 통한 여가만족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소속감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대한경영학회지(3), 1283-1302..
  • 이윤희(1963). 군대생활의 적응.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 정우진, 염두승, 김난현, 최희남(2002). 직장인의 레저 스포츠 참가형태와 조직유효성과의 관계.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22, 271-280..
  • 황재학(2011). 군인자살의 실태분석과 예방대책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 Allen, N. J., Mayer, J. P.(1990). The measurement and Antecedents of Affective. Continuance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49(3), 252-276.. [https://doi.org/10.1006/jvbe.1996.0043]
  • Campbell, A.(1981). The sens of well-bing in America. New york: McGran-Hill.
  • Stauffer, R. C.(1949). Science and Civilization. Madison: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