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Article ]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Vol. 34, No. 3, pp.27-44
ISSN: 1229-7836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1 Jul 2017
Received 31 May 2017 Revised 30 Jun 2017 Accepted 25 Jul 2017
DOI: https://doi.org/10.21539/Ksds.2017.34.3.27

유아무용교육에서 무용전공자의 지도형태와 통합예술교육의 적용에 대한 인식 연구

윤혜선 ; 김예진
동덕여자대학교
동덕여자대학교
Study on the Instruction Types of Dance Majors and Perception of the Application of Integrated Arts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Dance Education
Yoon, Hye Sun ; Kim, Yeh Jin
Dongduk Women's University
Dongduk Women's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nana1729@hanmail.net

초록

이 연구는 서울, 경기 지역의 범위에서 유아무용지도자로 활동한 경험이 있고, 대학에서 무용을 전공한 173명을 대상으로 유아무용교육 시 지도형태와 통합예술교육의 적용에 대한 인식 조사를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의 달성을 위해 전문가 회의를 실시하여 설문지 제작과 자료 분석을 진행하였고, 이에 따라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무용을 지도하는 무용전공자의 활동형태를 분석한 결과, 무용 전공 중 한국무용 전공자가 유아무용지도자로 가장 많이 활동하며, 무용학원보다는 문화센터와 유치원 및 어린이집 위주로 유아무용교육이 이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무용 활동의 유형으로는 발레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무용교육을 위한 무용전공자의 지도방법 연구에 대한 노력을 분석한 결과, 유아무용지도를 위해 자격증을 취득하고 활동하는 무용전공자보다 자격증을 취득하지 않고 활동하는 무용전공자가 더 많은 것을 알 수 있었고, 무용전공자는 수업교구의 사용을 선호하며, 놀이도구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무용전공자의 수업계획서 준비와 교재활용에 대해 분석한 결과, 창의적으로 수업방법을 개발하여 지도하기보다는 해당 교육 기관에서 제시한 수업계획서 내용에 의존해서 지도하는 경향이 높았으며, 무용전공자들은 유아무용 지도과정에서 수업계획 및 활동내용과 수업 진행과정에서 필요한 지도자의 역할과 노력에 대해서는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으나 수업 진행에 대한 평가 기준의 설정이나 전체적인 수업 평가를 위한 지도자로서의 노력은 거의 고려하고 있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유아무용교육에서 통합예술교육의 적용에 대한 무용전공자의 인식 및 적용 형태를 분석한 결과, 통합예술교육의 적용이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경향이 더 많았으나, 통합예술교육의 적용에 대한 부담감도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는데, 부담감으로 느끼는 내용은 ‘지식 및 경험의 부재에 대한 부담감’, ‘창의적 시도에 대한 부담감’, ‘수업준비에 대한 부담감’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무용전공자들이 통합예술교육 활동으로 가장 많이 적용하는 것은 발레를 기반으로 하는 영어활동으로 분석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들은 향후 교육현장에서 유아무용지도자로서 지도형태에 대한 문제점 분석과 개선방안을 모색하는데 의미 있는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struction type and perception for the application of integrated arts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dance education. The subjects were 173 dance majors in various colleges who had experience as an early childhood dance instructor in Seoul and the Gyeonggi area. To this end, expert meetings were conducted to make a survey and analyze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ctivities of dance majors who instruct dance for early childhood, it was found that Korean dance majors are the most active dance instructors among dance majors as early childhood dance teachers. Also, it was found that the dance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was performed mainly in cultural centers,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rather than at dance academy. In addition, dance majors preferred ballet as a type of dance activity in early childhood dance education.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ance major’s efforts to study instruction methods for early childhood dance education, it showed that there are more dance majors who are not certified than those who are certified. It was found that dance majors preferred to use class teaching aids and tended to use play tools the mo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reparation of the lesson plan and the utilization of the teaching materials of dance majors, it was found that it tended to be highly dependent on the contents of the lesson plan provided by the educational institution rather than developing and teaching the lesson creatively. Dance major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lesson plans, activities, and the roles and efforts of the instructor in early childhood classroom instruction.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y barely make efforts as an instructor for the setting of the evaluation criteria for the class or for the overall assessment of the class.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dance majors for the application of integrated art education and possible application types in early childhood dance education, more respondents perceived that integrated art education was necessary.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y felt a lot of pressure on the application of integrated arts education. In terms of burdens, they were in the order of 'burden for lack of knowledge and experience', 'burden for creative attempts', and ‘burden for class preparation.’ It showed that ballet-based English activities are the most common integrated art educ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ful as basic data for the problem analysis and improvement plan for the instruction type as an early childhood dance instructor in the future education field.

Keywords:

early childhood dance education, dance major, early childhood dance instructor, instruction type, integrated arts education

키워드:

유아무용교육, 무용전공자, 유아무용지도자, 지도형태, 통합예술교육

References

  • 강은영(2013). 유아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박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대학원..
  • 권세시, 이원미(2014). 유아의 한국춤 교육에 대한 무용전공자의 인식조사. 한국무용연구, 32(2), 29-50..
  • 권선영(2017). 인간중심 실용을 위한 무용학 연구. 한국무용과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89-103..
  • 고은숙, 차은주(2016). 유아무용 지도자 프로그램 현황 및 개선 방안. 한국무용학회지, 16(2), 1-10..
  • 공진희(2014). 한국무용에 기초한 유아동작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대학원..
  • 교육과학기술부·보건복지부(2012).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2-16호 보건복지부고시 제 2012-82호..
  • 김경은, 이형국(2006). 무용수업의 지도방법과 평가에 관한 교사 인식. 코칭능력개발지, 8(4), 115-124..
  • 김태주, 신나리(2013). 통합적 신체표현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6), 289-307..
  • 김영주(2005). 유아기 통합교육을 위한 신체활동 프로그램의 실제와 개선.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김혜숙(2011). 클래식 음악을 활용한 통합적 음악활동 과정에서 나타난 유아들의 반응탐색. 예술교육연구, 9(1), 1-30..
  • 김화숙(2006). 유아 창작무용 프로그램 설계. 한국무용교육학회지, 17(1), 1-26..
  • 나경아(2011). 무용교육. 서울: 보고사.
  • 박현경(2006). 갈등해결 교재교구를 활용한 게임놀이 경험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3(4), 1-21..
  • 박형신(2013). 국악감상을 토대로 한 이야기 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창의·인성과 국악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7(2), 29-51..
  • 박형신, 김은정, 김금주(2014). 판소리를 활용한 통합적 음악극활동이 유아의 전통문화 인지 및 선호도와 국악흥미도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 21(3), 361-380..
  • 서영주(2016). 통합 유아발레 교육경험 탐색.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송혜순(2012). 유치원과 초등학교 연계를 위한 교육과정 비교분석과 대안적 예술융합 교육활동 탐색. 한국무용기록학회지, 24, 75-97..
  • 송혜순, 황경선(2014). 스토리를 활용한 소고놀이 지도방안. 한국무용연구회 국제학술발표논문집, 94-97..
  • 양승지, 오영희(2008). 그림책에 기초한 교구활용 프로그램이 유아의 정서 및 수학능력에 미치는 효과. 유아교육연구, 28(5), 27-56..
  • 양혜주, 여인성(2010). 유아발레의 지도실태와 개선방안. 대한무용학회논문집, 63, 115-132..
  • 오연주, 이경실(2011). 유아를 위한 동작활동 프로그램의 경향. 한국유아체육학회지, 12(2), 23-44..
  • 윤혜선, 김예진(2016). 국내 유아 대상 통합적 예술교육 프로그램에서 무용의 적용에 관한 연구동향. 한국무용과학회지, 33(4), 17-32..
  • 이미경(2007). 한국 유아무용 분야 연구 동향에 관한 분석. 한국무용교육학회지, 18(1), 1-25..
  • 이미하(2017). 인간중심 실용을 위한 무용학 연구. 한국무용과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55-65..
  • 장명림, 서문희, 송신영(2012). 미래사회와 공생을 위한 육아정책의 선진화 방안. 경제‧인문사회연구회 공생발전 협동 연구총서. 육아정책연구소..
  • 전세령(1997). 음악치료의 이론과 실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대학원..
  • 전호성(2017. 3. 23). 창의성‧인성이 미래인재 교육의 핵심, 내일신문 뉴스. http://www.naeil.com/news_view/?id_art=231822.
  • 정주희, 윤혜선, 김예진(2016). 유아 무용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한국무용과학회지, 33(1), 35-54..
  • 조형숙, 김현주(2005). 유아교사를 위한 집단 멘토링의 의미 탐색.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2(1), 227-263..
  • 차성현, 김순남, 김지경, 박선욱, 전경원, 민병철(2010). 유아 사교육 실태 및 영향 분석(RR2010-33) 연구보고서.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 최의창(2005). 통합적 스포츠지도: 하나로 수업모형의 체육교사교육에의 적용.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12(1), 1-30..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2). 예술중심 융합프로그램 개발연구. 서울: 한국문화예술교육 진흥원..
  • 홍혜전(2012). 유리드믹스 무용교육 프로그램 참여가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과학회지, 26, 35-49..
  • Gayle Kassing, Danielle M. Jay(2005). 양정수 역. 무용 교수법과 교육과정 설계. 서울: 대한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