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Article ]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Vol. 34, No. 2, pp.69-81
ISSN: 1229-7836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Apr 2017
Received 10 Mar 2017 Revised 21 Mar 2017 Accepted 25 Apr 2017
DOI: https://doi.org/10.21539/Ksds.2017.34.2.69

신체정렬수업이 현대무용전공 대학생의 자기조절에 미치는 영향

김영미 ; 홍경화*
경희대학교
The Effects of Body Alignment Class on the Self-Regulation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ontemporary Dance
Kim, Young-Mi ; Hong, Kyung Hwa*
KyungHee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 artmac007@naver.com

CopyrightⒸ 2017 by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초록

이 연구는 현대무용을 전공하는 대학생에게 신체 정렬수업을 실시하여 자기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서울에 소재하는 4년제 대학에서 현대무용을 전공하는 학생 243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243명중 신체정렬수업을 수행하는 실험집단은 148명이고 수업을 수행하지 않은 통제집단은 95명이다. 연구기간은 2016년 3월부터 14주간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은 주 2회 120분 동안 신체정렬수업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수업을 실시하지 않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소재 현대무용을 전공하는 대학생에게 신체정렬수업을 실시한 결과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자기조절요인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서울소재 현대무용을 전공하는 대학생에게 신체정렬수업을 실시한 결과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인지조절요인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서울소재 현대무용을 전공하는 대학생에게 신체정렬수업을 실시한 결과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동기조절요인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서울소재 현대무용을 전공하는 대학생에게 신체정렬 수업을 실시한 결과 행동조절 요인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신체정렬 수업이 현대무용을 전공하는 대학생들의 자기조절 능력을 높이는데 부분적으로 효과적인 수업임을 알 수 있으며 행동조절 면에서 신체 정렬수업의 수정과 보완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신체정렬수업 프로그램을 수정 보완하여 효율적인 신체정렬 교수 방법을 고안해 내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the effects of body alignment class on self - regula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contemporary dan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43 students who majored in modern dance at a four - year university in Seoul. Of the 243 students, 148 were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95 were in the control group. The study period was 14 weeks from March 2016. The experimental group took body alignment class for 120 minutes twice a week and the control group did not take the clas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as a result of the body alignment class for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contemporary dance in Seoul, it was observ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elf control factors than the control group.

Secondly, as a result of the body alignment class for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contemporary dance in Seoul,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ognitive control factors than the control group.

Thirdly, as a result of the body alignment class for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contemporary dance in Seoul,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motive adjustment factors than the control group.

Fourthly, as a result of the body alignment class for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contemporary in Seoul,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showed in behavior control factor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body alignment class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self - control ability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contemporary dance and it is necessary to revise and complement the behavior control, implying that it is necessary to revise the body alignment class program to devise effective body alignment teaching methods.

Keywords:

Body alignment, Self-regulation, Body alignment class

키워드:

신체정렬, 자기조절, 신체정렬수업

Notes

1) 장정윤(1999)에 의하면 머스커닝햄(Merce cunningham) 은 순수한 움직임만을 형식으로 다루고 그것을 표현적인 의미와 미적인 가치로 두고 있는 머스커닝햄의 이상이 담겨있다. 따라서 그의 테크닉 기법은 정신적인 강인함을 바탕으로 한 신체적인 연습을 통한 에너지의 훈련이며 그것은 정신적 신체적인 에너지를 모두 의미하는 것이다. 따라서 그에게 있어서 무용기법의 기능적인 목적은 신체의 강인함과 더불어 심신의 유연성, 균형력, 민감성과 조정능력을 기르며 리듬감각과 공간의식을 높이며 다양한 공간에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하는 바가 높다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 강설순, (2012), 명화와 음악감상을 통합한 유아동작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유아의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효과,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성균관 대학교 대학원.
  • 강승정, (2008), 무용수의 특성에 따른 신체적 자기지각,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상명대학교 대학원.
  • 강혜련, (2000), 창조적 사고 함량을 위한 신체지각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대학원.
  • 권기한, (2014), 무용전공자의 체력과 신체정렬분석,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 권성연, (2003), 자기조절학습의 단계와 구성요인 규명,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공학과.
  • 김선희, (2012), 자기조절 학습을 적용한 수학수업이 학업성취도,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자기 결정성동기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 김수진, (2009), 자기조절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효과,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 김영미, (2008), 무용수 신체정렬(Body Alignment)을 위한 수업모형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현대무용전공자를 중심으로-,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대학원.
  • 김영미, (2016), 움직임의 시작,Body Alignment, 경기, 이안에.
  • 김일영, (2009), 피아노연습과정에서 나타난 학습자의 자기조절에 관한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 김화숙, (2010), 무용과 정서지능 관계 탐색, 한국무용교육학회지, 21(2), p1-22.
  • 김희진, (2009), 직업 무용수의 자기관리 중재 프로그램 개발연구-한국무용수의 자기관리에 대하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 나경아, 강리나, 박현정, (2011), 무용전공 대학생의 신체정렬분석, 한국예술연구, (3), p143-163.
  • 도혜길, (2016), 배드민턴 선수의 신체정렬이 운동 상해 및 신체적 자기개념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 문영, (1996), 무용동작의 기술성에 관한 심리학적 분석, 학위명,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박중길, 한미경, (2008), 무용과 대학생의 목표성향과 학습동기 및 인지-행동적 조절 전략의 관계성 검증,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19(3), p135-149.
  • 박희진, (2011), 무용수업에서 교사의 피드백 지각, 동기조절 및 수업참여 의도간의 구조적 관계,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 백승희, (2002), 동기설계 수업 모형의 적용이 자기조절 학습 능력에 미치는 효과,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대학원.
  • 손복용, (2011), 자기주도 학습방법에 의한 사회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자기조절 능력에 미치는 효과,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 송형석, (2003), 왜 몸인가?, 한국체육학회지, 42(3), p63-70.
  • 신미진, (2010), 무용전공 대학생의 자기관리와 자아효능감,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 신주영, (2010), 고등학교 무용전공 학생들의 몸에 대한 인식,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 심현화, (2011), Loehr의 이론을 적용한 무용프록램이 무용전공 대학생의 자기조절과 무용몰입에 미치는 효과,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세종대학교 대학원.
  • 유경호, (2004), ARCS 모델기반 자기조정 학습 수업전략이 학습동기, 자기효능감,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 유진, 한시완, (2006), 우수무용수들의 자기조절 전략 탐색, 한국스포츠심리학회, 17(4), p167-180.
  • 윤영신, (2007), 청소년의 자기조절 능력 관련 변인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 윤혜선, (2015), 무용전공대학생이 인식한 교수의 지도행동유형이 자기조절과 무용능력 믿음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과학회지, 32(2), p1-16.
  • 장정윤, (1999), 머스커닝햄의 무용기법에 관한 연구(2), 무용예술학연구 제3집 봄호, p1-13.
  • 정미경, (1999), 자기조절 학습과 학업성취의 관계에 관한 구조모형 검증,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 조은정, (1997), 무용전공과 경력이 척추변형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 조진희, (2016), 무용교육프로그램이 보호관찰 청소년의 자기조절 능력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과학회지, 33(1), p1-10.
  • 최재희, (2013), 시간관점과 자아정체감 탐색 유형이 자기조절 행동과 과제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 한덕웅, (2004), 인간의 동기심리, 서울, 박영사.
  • 한시완, (2008), 무용 자기조절 검사지 개발과 타당성 검증,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 한시완, 김선진, (2011), 무용수들의 자기조절 변화 추정,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2(3), p125-139.
  • 홍정원, (2013), 자기관리 프로그램이 무용전공대학생의 심리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 예술전문사 학위논문, 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전문사 과정.
  • Babara Mettler, (1985), 육완순 역, 무용예술, 서울, 금광.
  • Bandura, A., (1986),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 T. Garcia, & Pintrich, P.R., (1994), “Regulating motivation and cognition on the classroom : the role of self-schemas and self-regulatory strategies”, In D. H. Schunk, & B. J. Zimmerman (Eds.), Self-regulation of learning and performance issues and educational applications,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 B.K. Britton, & A Tesser, (1991), Effects of time management Practices on college grades, Journal of Education psychology, 83, p405-410. [https://doi.org/10.1037//0022-0663.83.3.405]
  • B. J. Zimmerman, & h. Martinez-pons, (1986), Development of a stuctured interview for assessing student use of self-Regulated learch Journal, 23, p614-6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