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Article ]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Vol. 34, No. 2, pp.37-51
ISSN: 1229-7836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Apr 2017
Received 10 Mar 2017 Revised 21 Mar 2017 Accepted 25 Apr 2017
DOI: https://doi.org/10.21539/Ksds.2017.34.2.37

생활무용 지도자의 전문성 척도개발

이진희**
충남대학교
The Development of Measuring Professionalism of Life Dance Instructors
Lee, Jin He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 evvne@daum.net

CopyrightⒸ 2017 by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초록

이 연구는 생활무용 지도자의 전문성에 대한 구성요인을 밝히고, 이를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여 그 타당성을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크게 두 가지의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는데 첫째, 생활무용 지도자가 갖추어야 할 전문성의 구성요인은 무엇인가? 둘째, 생활무용 지도자의 전문성 구성요인은 통계적으로 신뢰롭고 타당한 개념구조를 도출하는가? 이다. 이러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고자 서울과 대전, 충청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20대에서 60대의 생활무용 참가자를 연구대상으로 개방형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귀납적 범주분석 절차를 통해 예비문항이 제작되었다. 2차 조사에서는 기술통계 분석과 신뢰도 분석 및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 결과를 토대로 최종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첫째, 생활무용 지도자의 전문성 구성요인의 범주분석을 통한 예비문항은 『지도자 역량』 요인 19개 문항, 『지도신념』 요인 21개 문항, 『인성』 요인 22개 문항으로, 총 3개의 요인과 62개 문항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생활무용 지도자의 전문성을 측정할 수 있도록 개발된 측정모형의 타당성을 검증한 결과, 『인성』 요인 6개 문항, 『지도신념』 요인 5개 문항, 『지도자 역량』 요인 4개 문항의 총 3개의 요인과 15개 문항의 측정 모형이 통계적으로 수용될 수 있는 구조적 타당도를 지니고 있었다. 또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인성』 요인 6개 문항, 『지도신념』 요인 5개 문항, 『지도자 역량』 요인 4개 문항의 총 3개의 요인과 15개 문항의 모형이 최종적으로 채택되었으며, 이 척도는 적합한 구조(χ2=468.947, df=105, p=.000, GFI= .811, TLI= .988, CFI= .990, RMR= .046, RMSEA= .029)를 갖는 것으로 나타나 모델의 적합도가 성립되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key factors that constitute the professionalism of the life dance instructors, to develop the scales to measure them and to verify their appropriateness. Two research questionnaires were established to implement the study as follows: first, what factors of professionalism do life dance instructors should acquire to lead the participants in the life dance activities? Second, do the factors that constitute life dance instructor’s professionalism statistically create reliable and valid conceptual structure? In order to obtain the results, we collected answers from the participants of the survey, aged from 20s to 60s, in the life dance lessons/activities in Seoul and Daejeon and produced preliminary questions through an inductive category analysis procedure. In the second survey, technical statistical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finally process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forementioned analyses, which explains the followings:

Firstly, the preliminary questions produc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factors of the life dance instructors’ professionalism revealed with total 3 factors and 62 items: 19 items with the factor of “Leadership capability”, 22 items with “Belief of leadership”, and 21 items with “Personality”,

Secondly, the actions to verify the appropriateness to measure the life dance instructors’ professionalism were conducted. As a result, 4 items of the factor “Leadership Capability”, 5 items of “Belief of Leadership”, and 6 items of “Personality” were adopted, which means that total of three factors and a 15 item measurement models were statistically acceptable for structural validity.

Finally, the results of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howed that the three factors including “Leadership Capability”, “Belief of Leadership” and “Personality” and 15 items were adopted: the scale had the appropriate structure (χ2 = 468.947, df = 105, p = .000, GFI = .811, TLI = .988, CFI = .99, RMR = .046, RMSEA = .029), respectively.

Keywords:

Life Dance, Life Dance Instructors, Professionalism, Development of Measuring

키워드:

생활무용, 생활무용지도자, 전문성, 척도개발

Acknowledgments

* 이 논문은 2014년도 정부(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14S1A5B5A07040064)

참고문헌

  • 곽한병, 구경자, (2010), 생활무용 참가가 여성의 신체이미지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지, 10(8), p407-416.
  • 권성호, (2008), 운동몰입의 구성개념과 척도개발,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 권인선, 윤대현, 박세윤, (2010), 생활무용프로그램이 여성 독거노인의 정신건강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21(2), p15-32.
  • 김경래, 신현군, 김문석, 이소영, (2003), 댄스스포츠의 가치와 활성화 방안, 한국체육철학회지, 11(2), p355-373.
  • 김도연, (1997), 사회체육지도자의 직전교육과 직업사회화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김명주, (2004), 무용교사의 전문성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체육학회지, 43(5), p747-755.
  • 김상우, (2005), 수영 생활체육지도자의 전문성 저해 요인 분석,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 김아람, (2011), 생활체육지도자의 지도신념과 수업지식 및 전문성의 관계,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 김영미, (2010), 무용참여 확대를 위한 무용 사회화 연구의 방법과 방향, 한국무용과학회지, 21, p1-19.
  • 김혜정, 박혜은, (2014), 무용전공대학생이 인식하는‘좋은 지도자’의 유형과 특성, 한국무용과학회지, 31(2), p157-172.
  • 김희은, (2006), 생활무용 참여자의 여가 참여만족과 제약에 관한 질적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경남대학교 대학원.
  • 문영, (2014), 무용교사 전문성의 구성 요인에 관한 이론적, 경험적 탐색, 한국무용교육학회지, 25(1), p1-21.
  • 문영, (2016), 무용교사 전문성 평가도구 개발, 대한무용학회지, 74(6), p95-112.
  • 문행자, (2011), 여성 생활무용 지도자의 역할 스트레스가 직무탈진과 직업의식에 미치는 영향, 대한무용학회지, 66, p57-70.
  • 박선우, 한혜원, (2016), 생활무용 교육유형이 재미요인과 지속적 참여의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과학회지, 33(1), p11-22.
  • 박현정, (2008), 무용수의 정서 표현성 본질에 관한 경험적 탐색, 대한무용학회지, 57, p102-118.
  • 방지민, (2010), 중년여성의 생활무용 참여가 생활만족도 및 여가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 서수진, (2010), 댄스스포츠지도자의 전문성 척도 개발,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대학원.
  • 서수진, 엄태석, (2013), 댄스스포츠 지도자에 대한 신뢰와 지도 효율성이 고객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과학회지, 29, p125-138.
  • 서수진, 이창섭, (2010), 댄스스포츠지도자의 전문성 척도 개발, 한국체육학회지, 49(4), p119-130.
  • 송대진, (2016), 선수들이 선호하는 댄스스포츠 지도자의 유형 연구: Q방법론적 접근, 한국무용과학회지, 33(4), p63-78.
  • 신지혜, 정지혜, (2010), 우수 한국무용 지도자들의 자질에 대한 질적연구, 한국여성체육학회지, 24(1), p45-58.
  • 안선희, (2005), 성인여성의 무용활동 참여동기 및 참여만족도,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창원대학교 대학원.
  • 양소영, (2011), 무용교사 전문성의 구성요인 탐색,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대학원.
  • 오해룡, (2010), 생활무용 참가에 따른 성인여성의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 윤주련, (2000), 노년기 건강증진을 위한 생활무용 프로그램: 한국 춤과 명상요법 활용을 중심으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 이건미, (2016), 생활무용 참가자가 인식한 지도자의 매력성이 무용열정 및 참가지속에 미치는 영향, 대한무용학회지, 74(4), p105-119.
  • 이영희, 박권일, (2016), 한국인의 생활무용 활성화방안 연구, 한국동양예술학회지, 32(9), p215-245.
  • 이화석, (2013), 무용전공대학생이 지각하는 변혁적 리더십과 지도자 신뢰 및 무용몰입의 관계, 대한무용학회지, 71(4), p162-180.
  • 정경선, (2006), 한국무용활동에 참여한 여성노인의 건강상태와 생활만족도에 관한 조사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정희원, (2015, Mar, 27), 발레기반 피트니스 인기…승모근, 쇄골라인까지 여성스럽게, 조세일보.
  • 조건상, 이방섭, 김범수, (2008), 생활체육 수영지도자의 전문성과 신뢰 및 지도효율성의 관계모형, 한국체육과학회지, 17(4), p241-251.
  • 최승희, 박명숙, (2007), 중년남성의 생활무용 참여가 신체지각과 정서체험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학회지, 7(1), p85-92.
  • 최혜림, (2011), 전통무용이 중년여성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 탁진국, (2007), 심리검사: 개발과 평가방법의 이해, 서울, 학지사.
  • 한혜원, (2006), 생활무용 참여의 재미가 몰입경험과 참여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과학회지, 22, p1-16.
  • 홍애령, (2013), 뛰어난 발레교육자는 어떻게 성장하는가?: 발레교수전문성의 재개념화를 위한 발달과정 분석,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 황경숙, 백순기, (2003), 재즈댄스의 가치와 대중화 방안, 한국체육철학회지, 11(1), p289-3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