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 Signature’광고에 나타난 무용수 공간의 움직임 해석
CopyrightⒸ 2024 by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초록
본 연구는 2021년 LG전자의 프리미엄 브랜드 'LG 시그니처'와 XR 미디어 아트 그룹 'SILVA SVETA'의 콜라보레이션으로 제작된 글로벌 광고에서 무용수의 공간적 움직임을 미셸 푸코의 헤테로토피아 개념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광고가 무용수의 동작과 공간적 특성을 브랜드의 아이덴티티와 제품 디자인을 시각적으로 구현하는 방식을 밝히고자 하였다. LG 시그니처 광고는 뉴미디어 아트를 활용한 예술적 개념에 대한 중요한 연구 대상으로서, 광고 속 뉴미디어 아트의 개념과 무용수의 움직임, 그리고 미디어 아트로 형성된 공간 이미지를 푸코의 헤테로토피아 6가지 요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LG 시그니처 광고는 무용수의 공간에서의 움직임을 통해 감정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인간, 자연, 기술의 조화를 통해 브랜드의 혁신성을 강조하였다. 이중적 화면구조와 뉴미디어 아트의 활용으로 현실과 비현실을 결합한 독창적인 예술적 표현을 만들었으며, 광고에서의 무용의 예술성의 위치를 높였다.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spatial movements of dancers in a global advertising video produced in collaboration between LG Electronics' premium brand 'LG Signature' and the XR media art group 'SILVA SVETA' in 2021 by applying Michel Foucault's concept of heterotopia. Through this analysis, we aimed to reveal how the advertisement visually implements the dancers' movements and spatial characteristics into the brand's identity and product design. As an important subject of research on the position of artistic concepts using new media art, the LG Signature advertisement was analyzed using Foucault's six elements of heterotopia, focusing on the concept of new media art in the advertisement, the movements of the dancers, and the spatial image formed by media art. The study found that the LG Signature advertisement effectively conveyed emotions through the dancers' movements in space and emphasized the brand's innovation through the harmony of humans, nature, and technology. By employing a dual-screen structure and new media art, the advertisement created a unique artistic expression that combined reality and unreality, thereby enhancing the artistic positioning of dance within the advertisement.
Keywords:
New media art, Advertisement, Spatiality, Heterotopia, Movement exploration키워드:
뉴미디어 아트, 광고, 공간성, 헤테로토피아, 움직임 탐구References
- 김태연(2013). 미디어광고를 통한 무용공연 홍보효과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셸 푸코(2014). 헤테로토피아 서울: 문학과지성사
- 윤현섭(1997). 추상미술과 자아 서울: 인간사랑
- 민지원(2018). 헤테로토피아적 공간 표현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허 경(2011). 미셸 푸코의 헤테로토피아.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 공현진(2017). 헤테로토피아적 전시공간에 배치된 조형작품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이혜민(2014). 길에 의해 생성되는 마을 커뮤니티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이예지(2021). 공간에 표현되는 뉴미디어아트 특성을 반영한 컨셉스토어(Concept Store) 디자인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부영(2008). 무용동작 이미지효과에 따른 소비자의 구매심리. 한양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최소빈(1998). 광고무용에 관한 연구 -무용을 활용한 TV광고를 중심으로 - 세종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 Frohnapfel, M. (2024). How useful is Foucault's concept of heterotopias as a method for historical research effecively? Retrieved from https://www.degruyter.com/document/doi/10.1515/9783839445358-012/pdf?license
- Gary P. Radford, Marie L. Radford, Jessica Lingel (2024). The library as heterotopia: Michel Foucault and thee xperspace. Retrieved from https://www.google.com/search?q=Michel+Foucault%E2%80%99s+Notion+of+Heterotopia&sourceid=chrome&ie=UTF-8
- Michiel Dehaene, Lieven De Cauter (2024). Heterotopia and the City. Retrieved from https://www.taylorfrancis.com/books/edit/10.4324/9780203089415/heterotopia-city-lieven-de-cauter-michiel-dehaene
- Robert J. Topinka (2024). Foucault, Borges, Heterotopia: Producing Knowledge in Other Spaces. Retrieved from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279690664_Foucault_Borges_Heterotopia_Producing_Knowledge_in_Other_Spaces
- https://youtu.be/KOX5Owo5hU8?feature=shared, (2021) LG 시그니처 아트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