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레 전공 대학생의 Plié의 개념, 수행 방법, 자기화에 대한 인식
CopyrightⒸ 2024 by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초록
본 연구는 발레 전공 대학생의 플리에의 개념, 수행 방법, 자기화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두고 서울 소재 대학교에 재학 중인 발레전공생 열 명을 편의표집하여 반구조화 질문지를 통한 심층 면담과 영상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참여자의 답변을 토대로 도출된 플리에의 개념과 수행 방법, 그리고 자기화의 인식은 이와 같다. 첫째, 플리에의 사전적 정의는 대부분 인식하고 있으나, 용어 자체에 관심이 없는 일부 참여자도 있었다. 관심이 없는 참여자도 기능에 대한 답변은 하였으며 대체로 바른 자세로 수행하는 모습을 보였다. 둘째, 플리에의 일반적 수행 방법에 대한 이해는 높은 반면, 중족의 안정성, 상체의 풀업, 불완전 플리에의 개념과 문제의 해결 방법에 대한 인식은 부족하였다. 셋째, 연구참여자 각 개인 신체의 구조적 특성 및 근력에 따라 자기화의 방안에 대한 인식이 다르므로 개별학습자의 신체 구조 및 근육의 특질에 대한 개인화된 이해가 개선 방안의 고안에 선행적으로 이해되어야 할 조건임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플리에의 일반적 개념과 수행에 대해 이해하고 있으나 플리에의 개념에 대한 총체적 이해와 개인의 근골격적 형태 및 특징에 따라 개별화의 고도화를 위한 종합적 이해가 심화 학습에서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발레 학습자의 근골격적 형태와 특징에 관한 대표적 사례를 채집하고 축적하는 후행 연구가 필요하며, 이를 통해 개별학습자의 근골격적 구조와 특성에 따라 주요 동작을 효율적,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사례연구가 필요하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recognition related to plié among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ballet. Th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using semi-structured questionnaires and video analysis with 10 ballet majors conveniently sampled from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In conclusion, while the ballet majors from universities in Seoul participating in this study understand the general concept and execution of plié,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and a deeper, individualized approach considering each person's musculoskeletal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are required for advanced learning of plié, which is fundamental and crucial in ballet. Therefore, subsequent studies need to collect and accumulate representative cases of ballet learners' musculoskeletal forms and characteristics. Through this, it is necessary to accumulate case studies on how to apply key movements efficiently and effectively based on the musculoskeletal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learners.
Keywords: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ballet, plié, definition, execution methods키워드:
발레 전공 대학생, plié 개념, plié 수행 방법, plié 수행의 자기화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한성대학교 교내연구비 지원을 받았음
References
- 김가형(2002). 고등학교 무용전공 학생들의 발레동작의 운동학적 기억인지에 관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서울.
- 김민희 역(1993), 클라식 발레. 서울: 금광
- 김은지(2014). 드미 플리에 지도법 및 그 효과에 관한 연구 -골반의 바른자세를 중심으로-. 한국무용교육학회, 25(1), 149-167.
- 박재홍(2021). 발레‘Plié’수행의 재개념화. 한국무용과학회지, 38(1), 69-77.
- 이소영(2007). 여성 발레 무용수의 하지기능에 미치는 요인 분석,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 이주하, 김영미(2021). 무용전공대학생의 신체정렬교육에 관한 인식도 조사. 한국무용학회지, 20(4), 27-36.
- 이지원, 전민수(2021). 치매 전문 무용교육에 관한 대학 무용전공생의 인식도 조사. 무용예술학연구, 81(1), 57-69.
- 이지희(2007). 발레전공 대학생들의 무용창작 인식. 한국무용학회지, 7(2), 35-42.
- 최성이(1997). 발레 무용수의 2nd Position Grand - Plie 동작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무용학회논문집, 20(-), 289-304.
- Franklin, E.(1996b), Dance Imagery for Technique and Performance, Champaign, IL: Human Kinetics.
- Gontijo, K. et al. (2015). Kinematic Evaluation of the Classical Ballet Step“Plié”, Journal of Dance Medicine & Science 19(2), 70-76. [https://doi.org/10.12678/1089-313X.19.2.70]
- Paulette C. L. (2000). The Role of Rhythm in Ballet Training, Research in Dance Education, 1:2, 173-191 [https://doi.org/10.1080/713694263]
- Vaganova, A. (1969). Basic Principles of Classical Ballet. New York: Dover Publications.
- Warren, G. W. (1989). Classical Ballet Technique. Florida: University Press of Florida
- Wolcott, H. F. (1994). Transforming Qualitative Data: Description, Analysis, and Interpretation. Thousand Oaks, California: S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