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Archive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Vol. 39 , No. 3

[ Article ]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Vol. 39, No. 3, pp. 43-57
ISSN: 1229-7836 (Print) 2713-6949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0 Jun 2022
Received 30 May 2022 Revised 30 Jun 2022 Accepted 19 Jul 2022
DOI: https://doi.org/10.21539/Ksds.2022.39.3.43

무용과 기술융합 현황 분석을 통한 발전 방향성 탐색
김연재*
*서울대학교 스포츠과학연구소 객원연구원 (hyun3045@naver.com)

Analysis of the development status of dance and technology convergence and exploration of implications
Yeonjae KIM*
*Visiting Researcher, College of Education,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CopyrightⒸ 2022 by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초록

본 연구는 지금까지 무용과 기술융합 분야에서 수행된 이론적 고찰과 경험적 연구 분석을 통해 무용과 기술융합의 특성과 발전 방향성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 방법은 무용과 기술 관련 연구를 통한 문헌 분석을 시행하였다. 먼저 무용과 기술융합예술의 개념을 고찰하고 현황을 문헌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무용과 기술융합 분야의 문헌 분석을 통해 시공간의 확장성과 역동성, 시공간의 입체성과 환영성, 시공간의 가상성의 공연 특성이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현재 무용과 기술융합예술 분야의 발전 방향성을 세 가지 특성에 따라 나누어 제시하였다. 요약해보자면, 먼저 시공간의 확장성과 역동성의 특성을 발전시켜 무용수와 상호작용이 가능한 새로운 기술 개발을 시도해 볼 수 있다. 두 번째로 시공간의 입체성과 환영성의 특성을 발전시켜 현재 활발히 시도되고 있는 이머시브(Immersive) 공연에서 활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시공간의 가상성의 특성도 AR, VR 기술을 통해 관객 참여형 공연에서 활용해 볼 수 있다. 무용과 기술융합은 무용공연의 확장 가능성을 열어준다. 현재 안무가나 무용수들은 기술에 대한 이해를 통해 무용의 표현 가능성을 확장하는 고민이 함께 된다면 무한한 창의적인 시도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purpose of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dance and technology convergence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s and empirical research analysis conducted so far in the field of dance and technology convergenc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literature analysis through dance and technology-related studies. First, the concept of dance and technology convergence art was considered, and the current situation was analyzed in the literature. Next, th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space-time expandability and dynamism, space-time three-dimensionality and illusion, and space-time virtuality were revealed through dance and technology convergence literature analysis. Lastly,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the current dance and technology convergence arts field is presented according to three characteristics. To summarize, first, by developing the characteristics of space-time expandability and dynamism, it is possible to try to develop new technologies that can interact with the dancers. Second, it can be used in immersive performances, which are currently being actively tried, by developing the characteristics of space-time three-dimensionality and illusion. Lastly, the characteristics of space-time virtuality can also be used in audience-participating performances through AR and VR technologies. The convergence of dance and technology opens up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dance performances. If current choreographers and dancers are concerned about expanding the expressive potential of dance through an understanding of technology, infinite creative attempts can be made.


Keywords: dance technology, fusion art, dance creation, technology fusion, literature analysis
키워드: 무용 기술, 융합예술, 무용창작, 기술융합, 문헌 분석

References
1. 고경희(2021). AI와 인간, 무용 패러다임의 변화가능성. 한국무용연구, 39(1), 1-25.
2. 고은빈(2012). 프로젝션 맵핑을 활용한 공연콘텐츠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3. 김미진, 김동규(2014). 마샬 맥루한의 매체미학에 기반한 디지털댄스의 확장적 기능. 한국체육철학회지, 22(1), 187-204.
4. 김상일, 이재현, (2021). 전시·공연 VR 콘텐츠에서 360도 VR 카메라의 위치와 높이 차이에 따른 사용자 프레즌스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방송공학회논문지, 26(5), 508-518.
5. 김현정(2006). <Ghostcatching>에 나타난 무용수 몸의 사회적, 미학적 함의. 대한무용학회, 47(47), 27-44.
6. 김휘택(2021). 의미작용을 통해 본 시뮬라시옹과 저지 전략. 한국프랑스학논집, 114, 89-113.
7. 남상훈, 강동현, 권정흠(2020). 음악 공연 영상의 360 VR 카메라 배치에 관한 연구. 방송공학회논문지, 25(4), 518-527.
8. 마셜 맥루한, 박정규 역(1999). 미디어의 이해 인간의 확장.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9. 문동규(2009). 새로운 문화적 질서 : ‘시뮬라시옹의 질서’에 대한 일 고찰. 범한철학, 55(4), 451-472.
10. 민경화(2013). 공연예술에서의 홀로그래피 -활용가능성과 파급효과-. 대한무용학회, 71(4), 47-72.
11. 바이사, 양지현, 김규정(2013). 미디어아트에서 3D 맵핑 콘텐츠에 대한 연구. 예술과 미디어, 12(2), 49-63.
12. 박소연(2020). 가상현실(VR)과 공연예술 융합 연출과 제의.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영화콘텐츠 대학원.
13. 박은아, 김이경(2012). 무용공연에서 3차원 입체 홀로그래피의 적용과 확장 가능성. 대한무용학회, 70(2), 137-156.
14. 박정화, 김주연(2019).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극 공간디자인의 환영적 연출사례 연구 -Chunky Move Dance Company의 <Glow>를 중심으로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14(6), 105-114.
15. 박지혜(2021). VR 이머시브 시어터의 몰입적 경험에 대한 게임학적 접근: <더 언더 프레즌츠: 템페스트>의 다원적 상호작용과 단계적 몰입감. 한국영어영문학회, 67(4), 673-699.
16. 박진영, 김운미(2014). 무용공연 콘텐츠에서의 프로젝션 맵핑 효용가치 연구 -작품 ‘Our Karma’를 중심으로-. 우리춤과 과학기술, 15(3), 9-28.
17. 박진원, 김가은(2019). 미디어기술융합공연 사례분석을 통한 무대미술 전공 교과목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9(5), 562-571.
18. 배강원, 박혜경(2010). 인간의 마음을 닮은 홀로그램 인공지능 공간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학회, 23(4), 53-64.
19. 신경아(2019). 해외 VR 무용콘텐츠 사례에 나타난 협업적 특성. 우리춤과 과학기술, 15(2), 9-32.
20. 신민혜(2017). 360° VR(Virtual Reality) 기반의 무용공연 콘텐츠 탐색과 도입. 한국무용교육학회, 28(3), 183-197.
21. 양문가, 이용희, 임정희(2022). 포스트휴먼시대의 ICT 융합기술을 활용한 무용교육 탐색: 초연결, 초지능, 초실감을 중심으로. 한국무용교육학회지, 33(1), 139-162.
22. 윤제호, 최서영, 류고운, 윤재영(2019). 공연예술에서 사용되는 프로젝션 맵핑 유형. 한국영상학회, 17(5), 57-72.
23. 이강석(2020). 영화 속 시뮬라시옹을 통한 영화 트렌드의 탐색적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20(9), 424-429.
24. 이나현(2015). 윌리엄 포사이드의 즉흥 테크놀로지에 나타나는 비재현성에 대한 연구. 무용예술학연구, 55(4), 81-95.
25. 이원미, 백현순(2017). 3D홀로그램을 이용한 무용공연콘텐츠. 한국무용연구, 35(1), 47-68.
26. 이원철, 김형기(2013). 프로젝션 맵핑을 이용한 빔버타이징 기법의 공간 확장성 연구. 예술과 미디어, 12(4), 151-170.
27. 이용수(2020). 마셜 맥루언의 관점에서 본 정면적 카메라 쇼트의 의미.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64, 45-55.
28. 이호철, 강효순(2018). 공연예술을 위한 무대 홀로그램 연출에 관한 연구. 한국게임학회, 18(3), 79-86.
29. 임석원(2013). 발터 벤야민의 매체이론과 비판적 휴머니즘-인간과 기계의 구성적 융합과 집단적 연대의식-. 괴테연구, 26, 257-281.
30. 임정희, 정진헌(2017). 홀로그램을 활용한 콘텐츠의 표현특성 및 요소에 관한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15(4), 405-411.
31. 장정, 엄명용(2019). 예술과 기술의 융합: E.A.T.의 시대적 배경과 작품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9(4), 477-489.
32. 전병원(2021). 뉴미디어로서 VR영화(VR cinema) 연구를 위한 질문. 디지털영상학술지. vol.18, no.1, pp. 57-80.
33. 조가영(2018). 영상미디어와 컨템포러리 발레의 융·복합 공연에서 나타난 환영성 - ‘초월(Transcendence)’ 사례연구. 한국무용과학회지, 35(2), 97-111.
34. 최경화, 변혁(2022). 이머시브 공연 프로듀싱의 특징 연구 -<위대한 개츠비> 국내공연사례분석을 중심으로-. 트랜스미디어연구소, 12, 107-140.
35. 최성만(2007). 기술복제시대의 예술작품 사진의 작은 역사. 서울: 길.
36. 최원선(2020). 기술융합의 활용을 통한 한국 컨템포러리 댄스의 표현성 확장 -「기억의 파편」을 중심으로-. 우리춤과 과학기술, 19(4), 31-60.
37. 최효찬(2013). 보드리야르 읽기. 서울: 세창미디어.
38. 표만석, 권순철, 이승현(2016). 플로팅 홀로그램의 스튜디오 프로그램 적용 연구.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6, 21-30.
39. 한지영(2016). 돈 아이디(Don Ihde)의 기술철학적 관점으로 살펴본 디지털 댄스의 특성 논의 - 빌티 존스의 「고스트캐칭(Ghostcatching)」(1999)을 중심으로 -. 대한무용학회지, 74(2), 181-204
40. 허가영(2017). 프로젝션 맵핑, 새로운 무용의 가능성을 펼치다: 무용공연 및 융복합공연 사례를 중심으로. 대한무용학회, 75(3), 163-184.
41. Spradley, J.(1980). Participant Observation. New York: Holt, Rinehart and Winston. 이희봉 역(1988). 문화탐구를 위한 참여관찰 방법. 서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42. Strauss, A. (1987). Qualitative analysis for social scientists. New York,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43. John W. Creswell, Cheryl N. Poth (2021).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질적 연구방법론 다섯 가지 접근. 서울: 학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