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지 원문보기 | Browse Archives | JKSDS 소개 | About the JKSDS | 논문 투고 | For Contributors |
Sorry.
You are not permitted to access the full text of articles.
If you have any questions about permissions,
please contact the Society.
죄송합니다.
회원님은 논문 이용 권한이 없습니다.
권한 관련 문의는 학회로 부탁 드립니다.
[ Article ] | |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Vol. 39, No. 1, pp. 1-27 | |
ISSN: 1229-7836 (Print) 2713-6949 (Online) | |
Print publication date 31 Jan 2022 | |
Received 27 Nov 2021 Revised 06 Jan 2022 Accepted 19 Jul 2022 | |
DOI: https://doi.org/10.21539/Ksds.2022.39.1.1 | |
소방공무원의 정신건강 문제 예방을 위한 해피아트테라피 프로그램 적용 사례연구 | |
윤혜선* ; 윤현서**
| |
*동덕여자대학교 공연예술대학 무용과 부교수 (dasoma40@naver.com) | |
**다솜예술치유연구소 연구원 (janny0103@naver.com) | |
A Case Study on the Application of the Happy Arts Therapy Program to Prevent Mental Health Problems of Fire-fighting Officers | |
Hye-Sun Yoon* ; Hyunseo Yoon**
| |
*Associate Professor, College of Performing Arts, Department of Dance, Dongduk Women's Univ. | |
**Researcher, Dasom Arts Therapy Institute | |
CopyrightⒸ 2022 by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
이 연구의 목적은 소방공무원 대상 해피아트테라피(Happy Arts Therapy: 이하 H.A.T.)프로그램의 적용 사례를 통해 소방공무원의 정신건강 문제 예방을 위한 통합예술치유 프로그램의 효과적인 적용 방안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에 이 연구는 2018년 8월부터 2020년 2월까지 서울소방재난본부 소속 소방학교와 소방서·119안전센터에서 787명의 소방공무원을 대상으로 총 88회 시행된 H.A.T.프로그램을 연구하기 위해 다양한 정보원들을 활용하여 상세하고 심층적으로 보고하는 사례연구 방법을 통해 ‘H.A.T. 프로그램의 구성과정’과 ‘프로그램 참여경험의 의미’ 및 ‘평가내용’을 분석하였다. 첫째, 소방공무원 대상 H.A.T. 프로그램의 내용 구성은 윤혜선(2009)이 개발한 H.A.T. 프로그램의 기본 구조를 기반으로 소방공무원의 특성을 반영하여 ‘긍정적 대인관계’, ‘스트레스 해소’, ‘자기이해’, ‘심리적 회복탄력성 증진’을 프로그램 내용 구성의 주안점으로 도출하였다. 또한 소방공무원 대상 H.A.T. 프로그램의 체계적인 운영 시스템 구축을 위하여 운영과정에 참여한 구성원들은 상호 협력 관계를 통해 역할분담과 환경구축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협의하여 운영 체계를 구성하였다. 둘째, 소방공무원의 H.A.T. 프로그램 참여 경험의 의미를 범주화하여 분석한 결과, ‘동료 간의 소통 및 유대감 경험’, ‘심리적·신체적 회복의 경험’, ‘자기 이해의 경험’으로 분류 할 수 있었다. 셋째, 이 연구에서 H.A.T. 프로그램의 평가는 참여 기관 자체 평가 자료와 언론보도, 참여자 평가와 운영 구성원의 평가 자료를 중심으로 평가사항을 분석하였는데, 이를 통해 프로그램에 대한 소방기관의 긍정적인 평가를 확인하였고, 차후 프로그램 운영과정의 개선방안을 탐색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향후 소방공무원의 정신건강을 위한 예술치유 프로그램 및 심리지원 프로그램의 효과적인 적용방안을 모색하는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effective application plans for integrated art healing program to prevent mental health problems in fire-fighting officers through the application cases of the Happy Arts Therapy(Hereinafter referred to as H.A.T.) program for fire-fighting officers in this study. Accordingly, in this study ‘the composition process of the H.A.T. program’, ‘meaning of program participation experience’, and ‘evaluation contents’ were conducted in order to study the H.A.T. program implemented a total of 88 times through a case study method that uses various sources of informat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787 fire-fighting officers at a fire school, fire station, and 119 Safety Center belonging to the Seoul Fire and Disaster Headquarter from Aug. 2018 to Feb. 2020.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ontent composition of the H.A.T. program for fire-fighting officers was mainly drawn as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 ‘relieve stress’, ‘self-understanding’, and ‘promote psychological resilience’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fire-fighting officers based on the basic structure of the H.A.T. program developed by Hye-Sun Yoon(2009). In addition, members who participated in the operating process continuously consulted in the process of division of roles and environmental construction through mutual cooperation in order to establish a systematic operation system for the H.A.T. program for fire-fighting officers. Second, it could be classified into ‘communication and bonding experience between colleagues’, ‘psychological and physical recovery experience’, and ‘self-understanding experience’ as a result of categorizing and analyzing the meaning of participation experience in the H.A.T. program of fire-fighting officers. Third, the evaluation of the H.A.T. program was analyzed focusing on proprietary evaluation data of participating agencies, media reports, participant evaluations, and evaluation data from the operation members in this study. A positive evaluation of the program was confirmed by the fire institution and a plan to improve the program operation process in the future was explored.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research seeking effective application of art healing programs and psychological support programs for the mental health of fire-fighting officers in the future.
Keywords: fire-fighting officer, happy arts therapy, art healing, mental health, prevention, case study 키워드: 소방공무원, 해피아트테라피, 예술치유, 정신건강, 예방, 사례연구 |
1. | 강인애, 설연경(2009). 전시연계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학습이론으로서 ‘전시물기반 학습’에 대한 사례연구. 한국조형교육, 33, 1-38. |
2. | 김선영(2017). 맥락적 학습모형에 의한 어린이 관람객의 박물관 학습경험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
3. | 강민아, 하영미, 채여주(2021).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웰니스에 미치는 영향: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 디지털융합복구연구, 19(5), 333-342. |
4. | 강화(2019). 소방공무원의 신체화 증상과 요가심신테라피 경험에 관한 통합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
5. | 김영애(2018). 미술심리치료 프로그램을 통한 소방공무원 PTSD치료의 효과분석에 관한 연구-청소년기의 경험과 직무충격을 중심으로.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대학원. |
6. | 김윤주, 채윤태, 이우연(2021.08.19.). 소방관 70% “코로나 번아웃”⋯절반은 몸 아파도 일해. 한겨례.https://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1008225.html. |
7. | 김재준, 최태영, 김소연, 박주현(2017). 소방공무원에서 정신 건강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대한불안의학회지, 13(1). 17-24. |
8. | 김재환, 이인수, 유양경(2019). 마음빼기명상 기반 힐링프로그램이 소방공무원의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 증상과 반추에 미치는 효과.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33(5), 118-129. |
9. | 김종선(2019). 소방공무원의 직무수행 스트레스 치유에 관한 경험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9(5), 520-531. |
10. | 김종임, 윤혜선, 한선옥(2008). 군생활 적응 향상 프로그램이 전·의경의 스트레스, 우울, 자살생각, 자아존중감, 군생활 적응에 미치는 효과. 기본간호학회지, 15(3), 387-394. |
11. | 김춘주(2019). 소방공무원의 외상후 스트레스가 우울과 자살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원광대학교 대학원. |
12. | 김현주(2019). 티베트 싱잉볼테라피의 자연칭적 의미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선문대학교 글로컬통합대학원. |
13. | 김혜진(2021.11.09.). 11.9 소방의 날 특집, 소방공무원 PTSD 현주소⋯ 발병률 일반인 10배. 일요서울. http://www.ilyoseoul.co.kr/news/articleView.html?idxno=458679. |
14. | 소방청(2019.08.29.). 2019년도 소방공무원 마음건강 전수조사 결과 발표. 대한민국정책브리핑. https://www.korea.kr/news/pressReleaseView.do?newsId=156347920. |
15. | 문정순, 박형규(2019). 명상효과에 대한 싱잉볼 소리의 의미구조 분석. 한국소음진동공학회논문집. 29(1), 5-12. |
16. | 박승균(2020.04.14). 소방관 자살...줄일 수 없을까?. FPN 소방방재신문 119 PLUS MAGAZINE. https://www.fpn119.co.kr/134883. |
17. | 박은진, 김경의, 백현숙, 유제춘, 최경숙(2010). 소방공무원들에서 긍정심리적 특성이 외상사건 경험 이후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 발생에 미치는 영향. 신경정신의학, 49(6), 645-652. |
18. | 백미례, 김유리(2016). 소방공무원의 융합적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음악감상 효과. 한국융합학회논문지, 7(6), 99-104. |
19. | 백연우, 최명선(2017). 집단예술치료가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미치지는 효과. 한국예술치료학회지, 17(1), 157-173. |
20. | 소방방재신문(2019.04.10.). 강북소방서, 심리회복탄력성 증가 위한 해피아트테라피. https://fpn119.co.kr/114252. |
21. | 소방방재신문(2019.08.14.). 강북소방서, 심리회복탄력성 증가 위한 해피아트테라피. https://www.fpn119.co.kr/120669. |
22. | 소방방재신문(2019.12.05.). 강북소방서, 치유 프로그램 ‘해피아트테라피’ 통해 위로 받아. http://m.fpn119.co.kr/127189. |
23. | 성슬기(2019.12.15.). 서울대교구 직장사목팀 소방사목, 해피아트테라피 운영. 가톨릭신문. https://www.catholictimes.org/article/article_view.php?aid=323649. |
24. | 신정하, 심민영, 이정현, 이다영, 전경선, 오승아, 김지애, 김옥주, 양정일, 이희봉(2018). 소방공무원 대상 캠프 프로그램의 스트레스 완화 효과 추적 및관련 요인 탐색. 스트레스연구, 26(2), 88-94. |
25. | 심규식, 김남송, 방성환(2015). 외상 후 스트레스 위기 소방관에 대한 단기간 음악치료의 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16(6), 4040-4047. |
26. | 송호균(2014.09.15.). ‘정신질환’ 상담·치료받는 소방관 1년새 5배 증가. 한겨례. https://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655186.html. |
27. | 안원현, 홍은실(2017).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이론과 실제. 서울: ㈜ 동문사. |
28. | 오지현(2019). 액션러닝을 적용한 놀이치료 실습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실행연구:'예비 놀이치료자의 발달장애아동 놀이치료 실습교육'. 정서행동장애연구, 35(1), 251-282. |
29. | 육영숙(2018). 마음 챙김 기반 신체-심리 운동 프로그램이 소방공무원의 외상 후 스트레스(PTSD)증상 감소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29(4), 57-73. |
30. | 윤옥한(2014).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 서울:양서원. |
31. | 윤혜선(2009). 중년여성을 위한 H.A.T.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동덕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
32. | 윤혜선(2010). 행복감 증진을 위한 예술치료 해피아트테라피. 서울:한국학술정보.. |
33. | 윤혜선(2012). 해피아트테라피 프로그램 참여경험이 전,의경의 심리적 안녕감, 군 생활 스트레스, 군 생활 적응,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과학회지, 28, 47-68. |
34. | 윤혜선(2013). 해피아트테라피 프로그램이 임상간호사들의 심리적 안녕감과 정서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과학회지, 29, 53-74. |
35. | 윤혜선, 김예진(2015). 초등학생의 인성교육을 위한 해피아트테라피 프로그램의 적용 사례, 한국무용과학회지, 32(4). 13-31. |
36. | 이경자, 정민선(2018). 소방공무원의 직업정체성과 동료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를 매개로. 인문사회 21, 9(3), 383-398. |
37. | 이경희, 이소우(2005). Resilience (회복력) 개념분석. 스트레스연구, 13(1), 9-18. |
38. | 이근출, 박경진(2020). 의미요법을 활용한 통합예술치료가 신임소방공무원의 삶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업응용학회지, 23(1), 1-8. |
39. | 이정훈(2019.06.02.). 한국 교회 ‘소방공무원 사목’의 첫 장을 열다. 가톨릭평화신문. |
40. | 이정훈(2019.10.13.). 예비 소방관들, 치유 프로그램 통해 위로 받아. 가톨릭 평화신문. http://m.cpbc.co.kr/paper/view.php?cid=763992&path=201910. |
41. | 이해영, 김엽래(2017).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에서 소진의 영향.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31(2), 106-112. |
42. | 정형택(2014.08.07.) 폐쇄적인 병영문화, 외부기관이 감시해야. SBS 8시 뉴스..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2526297&plink=THUMB&cooper=SBSNEWSPROGRAM |
43. | 조선덕(2014). 심신이완 프로그램이 소방공무원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아주대학교 대학원. |
44. | 조홍식, 정선옥, 김진숙, 권지성 역(2015). John W. Creswell 저. 질적 연구방법론-다섯 가지 접근. 서울:학지사. |
45. | 최희철(2013).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우울과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효과. 한국사회복지교육, 23, 69-91. |
46. | 허미라, 박성옥, 김하나(2020). 신임소방공무원 정신건강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34(6), 142-153. |
47. | Amendt-Lyon, N. (2001). Art and creativity in gestalt therapy. Gestalt Review. 5(4). 225-248. |
48. | McCann,K., & McKenna,H.P.(1993). An examination of touch between nurses and elderly patients in continuing care setting in Northern Ireland. Journal of Advanced Nursing, 18, 838-846. |
49. | Rogers, N. (1993). The Creative Connection: Expressive Arts as Healing, Science & Behavior Books, Inc. |
50. | Solomon P (2004) Peer support/peer provided services underlying processes, benefits, and critical ingredients. Psychiatr Rehabil J. 27: 392-401. |
51. | Santa Ratna Shakya, Shree Krishna Shahi(2016). Singing Bowl. Nepal: Salil Subed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