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rrent Issue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Vol. 41 , No. 4

[ Article ]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Vol. 41, No. 4, pp. 89-103
ISSN: 1229-7836 (Print) 2713-6949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0 Oct 2024
Received 21 Sep 2024 Revised 10 Oct 2024 Accepted 20 Oct 2024
DOI: https://doi.org/10.21539/Ksds.2024.41.4.89

전통무용공연의 디지털 서비스의 수용 요인이 지각된 가치와 관람 만족에 미치는 영향
제갈숙영* ; 조남규**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공연예술경영학과 박사 (tnrldyd@naver.com)
**상명대학교 문화기술대학원 공연예술경영학과 교수 (cng1222@smu.ac.kr)

The Impact of Acceptance Factors of Digital Services in Korean Traditional Dance Performances on Perceived Value and Audience Satisfaction
Sookyoung Jegal* ; Nam-gyu Cho**
*Sangmyung University (tnrldyd@naver.com)
**Sangmyung University (cng1222@smu.ac.kr)

CopyrightⒸ 2024 by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전통무용 공연의 디지털 서비스 수용이 지각된 가치와 관람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전통 예술이 디지털화되는 과정에서 관객들이 느끼는 가치를 재평가하고, 이로 인해 관람 만족도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한국 전통무용 공연 관람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 가설은 디지털 서비스 수용이 지각된 가치에 미치는 영향, 지각된 가치가 관람 만족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디지털 서비스 수용이 관람 만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내용으로 설정되었다. 이에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디지털 서비스 수용이 지각된 가치와 관람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이 모두 채택되었으며, 특히 지각된 가치가 관람 만족에 강력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디지털 기술이 전통 예술의 가치를 재평가하고 관객 경험을 향상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결론적으로, 전통 예술과 디지털 기술의 융합은 관객 만족을 높이고, 전통 공연의 현대화와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전통 예술의 디지털화를 더욱 촉진할 필요성이 있으며, 다른 예술 분야에서도 디지털 기술의 효과를 탐구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 of the acceptance of digital services for Korean traditional dance performances on perceived value and audience satisfaction. The study aims to explore how the digitalization of traditional arts influences the re-evaluation of perceived value by audiences and how this affects their satisfaction. The research was conducted through a survey of audiences who attended Korean traditional dance performance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o test the hypotheses. The hypotheses were that the acceptance of digital services would positively affect perceived value, that perceived value would significantly impact audience satisfaction, and that the acceptance of digital services would directly influence audience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all hypotheses were accepted, demonstrating that the acceptance of digital services positively influences both perceived value and audience satisfaction. In particular, perceived value was found to have a strong effect on audience satisfaction. This suggests that digital technology plays a crucial role in re-evaluating the value of traditional performing arts and enhancing audience experience. In conclusion, the integration of digital technology with traditional arts increases audience satisfaction and contributes to the modernization and development of traditional performances. Based on this, it is necessary to further promote the digitalization of traditional arts, and the effects of digital technology should be explored in other areas of the arts as well.


Keywords: Korean Traditional dance, performance, digital technology, service acceptance, perceived value, audience satisfaction
키워드: 전통무용, 공연, 디지털 기술, 서비스 수용, 지각된 가치, 관람 만족

References
1. 김경선(2008). 공연 관람객의 가치 인식과 관람 만족도. 한국예술경영학회, 9(4), 88-101.
2. 김상유(2006). 서비스 품질이 관람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9(1), 33-48.
3. 김지수, 이대현, 전종우. (2023). 뮤지컬 브랜드 자산이 관람객의 지각된 가치, 플로우(Flow) 및 지속적 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23(5), 158-170.
4. 박경혜(2017). 모바일 콘텐츠의 접근성과 사용자 경험이 지각된 가치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7(2), 112-127.
5. 박서영(2015). 현대춤에 나타나는 포스트모던댄스의 미적 특질 고찰. 한국연구재단(NRF).
6. 박성우(2019). 전통 공연의 디지털화가 소비자 가치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학회지, 12(3), 45-62.
7. 박태승(2022). 국악관현악 공연의 서비스품질이 서비스가치, 관람만족 및 재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6(1), 43-56.
8. 서문식, 신미숙, 하승범, 이샛별(2015). 문화예술공연 관람 시 평가되는 서비스 품질의 상대적 영향력에 대한 다각적 연구. 소비문화연구, 18(1), 31-58.
9. 신지혜(2018). 전통 예술과 현대 기술의 융합이 관람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문화예술학회지, 14(2), 70-85.
10. 안동근(2017). 공연예술 관심과 지식과 지각된 작품가치가 예술 관람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경영교육연구, 32(6), 507-530.
11. 윤수미(2009). 한국창작품에 미장센 기법 도입 가능성 연구. 동덕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2. 이유재, 라선아(2002). 구매 후 만족도 평가, 기대의 조정, 재구매 의도의 흐름에 관한 연구; 고객 충성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소비자학회 13(3), 51-78
13. 이은미, 정영기. (2017). 공연예술 관람 활성화를 위한 연구- 공연예술관람 장애요인과 보완점을 중심으로. 한국예술경영학회지, 42, 211-247.
14. 이은주(2020). 지각된 가치와 재관람 의도 간의 관계 연구. 한국체육학회지, 45(1), 213-228.
15. 정옥조(2004). 한국 전통무용 공연의 서비스 품질과 관람 만족도. 한국체육학회지, 43(3), 549-557.
16. 조선하(2005). 무용 공연 공연만족, 재관람 의사결정 요인분석. 한국 스포츠 리서치, 16(5), 549-558.
17. 주종현(2017). 관객의 소비가치를 통한 공연예술 관람 행동의도 연구 : 연극과 뮤지컬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8. 최윤실(2014). 미장센 기법을 도입한 무용작품 <우리는 왜 루이비통을 버려야 하는가?>의 창작과정 연구. 동덕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57p.
19. Jia, W., & ㆍKim, S. B. (2010), "The Mediating Effect of Experiential Value on Customers' Perceived Value of Digital Content: China’s Anti-virus Program Market", Journal of Global Scholars of Marketing Science, 20(2), 219-230.
20. Park., S. I. & Kim, M. J. (2018). Customer Perceived Value in B2C Service Industries: A Higher-order, Formative Factor Structure. Journal of Product Research, 36(2), 65-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