액티브 시니어의 성공적 노화 지원을 위한 K.W.D 프로그램 사례연구
CopyrightⒸ 2024 by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초록
이 연구는 액티브 시니어의 성공적 노화 지원을 위해 진행된 K.W.D 프로그램에 대한 사례연구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액티브 시니어의 한국춤의 고유한 정서와 움직임을 통합한 ‘K.W.D 프로그램’ 참여 경험의 본질과 의미를 심층적으로 탐색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2022년 09월부터 2023년 08월까지 선행연구분석과 프로그램 내용구성, IRB 심사 및 승인, 참여자 모집 과정을 거쳐 2023년 9월부터 12월까지 D지역 경로당을 이용하고 있는 액티브 시니어 10명을 대상으로 총 12회기의 ‘K.W.D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K.W.D 프로그램’의 ‘세부 내용구성’,‘프로그램 참여 경험의 의미’,‘프로그램 평가’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 첫째, K.W.D 프로그램은 성공적 노화와 연결되는 Ryff(1989)의 PWBS 이론과 한국춤의 고유한 정서와 움직임, 치유적 원리를 통합하여 구성되었다. 둘째, 액티브 시니어의 K.W.D 프로그램 참여 경험의 의미는 44개의 의미 단위를 기초로 6개의 주제와 3개의 본질적 주제가 도출되었으며, ‘무용교육을 통한 삶의 즐거움과 새로움 발견’,‘무용교육을 통한 삶의 질 향상’과 ‘무용교육을 통한 심미적 체험’으로 요약되었다. 셋째, K.W.D 프로그램 평가 분석은 프로그램 종료 시점 참여자에게 개방형 설문을 통해 진행되었으며, 그 결과 프로그램에 참여한 액티브 시니어들은 움직임을 통한 신체 인식, 몸과 마음의 돌봄, 소통의 즐거움과 삶의 활력 경험, 삶의 부정감 해소를 통한 힐링의 시간을 경험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 결과는 향후 초고령사회의 노년 세대에게 신체적, 정서적, 인지적으로 건강한 노후생활을 지원할 수 있는 노인 무용교육 프로그램 적용 가능성과 적용방안을 모색하는데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것이라 기대한다.
Abstract
This study is a case analysis of the K.W.D program, designed to support successful aging among active seniors.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explore, in depth, the essence and meaning of the experiences of active seniors who participated in the K.W.D program, which integrates the unique emotions and movements of Korean dance. From September 2022 to August 2023, the study involved analyzing previous research, structuring the program content, undergoing IRB review and approval, and recruiting participants. The K.W.D program was conducted over 12 sessions from September to December 2023, with 10 active seniors attending a senior community center in ‘D’ area. The study focused on three areas: detailed content of the K.W.D program, the meaning of the participation experience, and evaluation of the program.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K.W.D program was structured by integrating Ryff's (1989) PWBS theory, which relates to successful aging, with the unique emotions, movements, and healing principles of Korean dance. Second, based on 44 meaning units, six themes and three essential themes were derived from the participants' experiences. These themes were summarized as "discovering joy and novelty in life through dance education," "enhancing quality of life through dance education," and "experiencing aesthetic immersion through dance education." Third, program evaluation through open-ended surveys at the end of the program revealed that the K.W.D program provided the participants with body awareness, care for body and mind, joy of communication, vitality in life, and healing the alleviation emotions. The findings are expected to be valuable data for exploring the application and implementation of elderly dance education programs that support the physical, emotional, and cognitive well-being of the elderly in future super-aged societies.
Keywords:
active senior, successful aging, Korean dance, senior dance education, K.W.D program키워드:
액티브 시니어, 성공적 노화, 한국춤, 노인무용교육, K.W.D 프로그램Acknowledgments
이 논문 또는 저서는 2022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NRF-과제번호)(NRF-2022S1A5B5A17049657)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과제번호)(NRF-2022S1A5B5A17049657)
References
- 고경희(2024). 시설 노인의 신체활동을 위한 춤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스포츠학회지, 22(2), 351-359.
- 고민정, 이건웅(2020). (액티브 시니어 시대의) 노인 놀이터. 서울:스토리하우스.
- 구우영, 강순광(2003). 살풀이 춤사위가 중년기 여성들의 신체조성 및 근관절기능, 심폐기능에 미치는 효과. 스포츠과학연구논문집, 2, 37-46.
- 김선정, 최형준, 현준원(2017). 한국전통춤의 개량화 동작과 결합한 스텝박스(step box) 운동의 하지관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회전역학적 고찰. 한국무용연구, 35(3), 123-138.
- 김수영, 신진호, 장수지, 문경주(2017). 고령친화도시 행복한 노년-스페인, 포르투갈. 서울:미세움
- 김승혁(2019). 문화예술활동과 참여 동기가 개인의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학습동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예술경영연 구, 51, 35-73.
- 박선우(2019). 노인복지를 위한 무용교육의 필요성 및 활성화 방안. 한국무용교육학회지, 30(4), 79-97.
- 배해영, 천지언, 김정모(2021). 초고령 독거노인의 실버 놀이춤이 고독감과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3(2), 923-937.
- 백현순(2023). 어르신 건강무용프로그램 개발. 한국무용연구, 41(4), 67-84.
- 서연수(2021). 소도구를 활용한 한국춤이 노인의 뇌 기능에 미치는 영향: Two-channel system 뇌파측정 방법을 중심으로.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 연분홍(2023). 액티브시니어의 여가활동 참여에 따른 여가촉진, 자아실현 및 웰에이징의 구조적 관계.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 47(2), 55-66.
- 오현주(2021). 액티브시니어를 위한 인문예술교육 프로그램. 지역복지정책, 32, 71-99.
- 유지영(2015). 노인무용 교육효과의 치유작용 메커니즘.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4), 114-121.
- 유현순, 이현정, 김민아(2024). 액티브 시니어의 골프 참여특성이 여가만족 및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33(1), 339-351.
- 윤지은(2020). 노인무용 지도자 양성을 위한 방향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7), 691-706.
- 윤혜선, 이연정(2018). 노인 대상 한국춤 프로그램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 한국무용과학회지, 35(2), 35-49.
- 윤혜선, 이연정(2023). 노인무용지도자의 교육목적과 역할에 대한 인식연구. 한국무용과학회지, 40(3), 31-50.
- 이기표, 유미경(2018). 신체활동 참여 노인의 활력과 사회지원, 삶의 질의 구조적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73), 377-387.
- 이보람(2017.01.11.). 100세 인생 시대 '액티브 시니어'로 살아가는 법 PART1. 헬스조선.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1/11/2017011100818.html, .
- 이상인(2019). 체험 마케팅 요인이 액티브 시니어 패현 소비자의 태도형성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상명대학교 대학원.
- 이선주, 현영섭(2021). 성공적 노화에 대한 중장년층의 요구분석. 휴먼웨어연구, 4(1), 47-84.
- 이연정(2021). 초고령 사회 액티브 시니어 대상 미래 무용교육의 방향성. 국제문화예술, 2(2), 79-89.
- 이연정(2022). 노인의 건강한 제3기 인생을 위한 한국춤 프로그램 모형연구. 국제문화예술, 3(2), 89-103.
- 이연정(2023). 무용지도자가 인식하는 노인무용교육 지도자의 유형과 특성연구. 국제문화예술, 4(2), 87-104.
- 이정숙(2018). 한국무용치료의 이해와 적용. 파주;이담북스.
- 이채원 박명선(2020). 액티브 시니어(Active Seniors)의 문화예술교육 학습 동기가 사회참여 욕구 및 성공적 노화(Successful Aging)에 미치는 영향. 조형미디어학, 23(1), 72-80.
- 이태문(2023.08.15.). 액티브 시니어 세대에게 필요한 것들. 서울시50플러스포털. https://50plus.or.kr/detail.do?id=155038, .
- 이해주(2021). 노년기 학습참여와 성공적 노화와의 관련성 탐색. 통합인문학연구, 13(2), 7-45.
- 이혜민, 신현군, 김윤희(2013). 노인 무용참여를 통한 성공적인 노화경험. 한국스포츠학회, 11(3), 121-133.
- 정미선, 정진옥(2020). 노인 여성의 한국무용몰입이 자아존중감과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영남춤학회誌 , 8(1), 175-199.
- 정승혜(2013). 신(新) 노년층을 위한 한국무용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대학원.
- 조성민(2022). 경락혈을 이용한 한국무용 기본무. 한국융합과학회 국제학술대회자료집, 2022, 124-124.
- 차은주(2024). 액티브 시니어(Active Senior)의 시니어모델 활동 경험과 성공적 노화. 문화예술융합연구, 5(2), 83-96.
- 최희진, 안명현, 한유진(2020). 상호작용 중심의 집단표현예술치료가 여성 독거노인의 우울감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한국예술심리치료연구, 16(1), 241-269.
- 한국문화정책연구소, 안태호, 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2018). 경기도 노년층 문화예술교육 조사 및 발전 방향 연구 ; 2018 경기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지원사업 기획공모. 경기문화재단.
- 한길자(2020). 액티브 에이징 사회를 위한 노인 정책 연구: 인천시 사례를 중심으로.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인하대학교 대학원.
- Creswell, J. W.(2013). 질적 연구방법론: 다섯 가지 접근(조흥식, 정선욱,김진숙, 권지성 역). 서울: 학지사.
- Hamill, M., Smith, L. & Rohricht, F.(2012). Dancing down memory lane: circle dancing as a psychotherapeutic intervention in dementia—a pilot study. Dementia, 11(6), 709-724. [https://doi.org/10.1177/1471301211420509]
- Moustakas, C.(1994).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s. Thousandoaks, CA:Sage. [https://doi.org/10.4135/9781412995658]
- John W. Rowe, Robert L. Kahn.(1987). Human aging: usual and successful. Science, 237(4811), 143-149. [https://doi.org/10.1126/science.3299702]
- Ryff,C.D.(1989). Happinessiseverything, orisit, explorationson themeaning of psychologica l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7(6), 1069-1081. [https://doi.org/10.1037//0022-3514.57.6.1069]
- WHO(2022). United nations agencies launch first report on the decade of healthy ageing, 2021-2030. https://www.worldpatientsalliance.org/news/united-nations-agencies-launch-first-report-on-the-decade-of-healthy-ageing-2021-20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