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춤 뛰어날기 동작에 대한 운동학적 분석
CopyrightⒸ 2024 by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초록
본 연구는 학춤「뛰어날기」동작 시 신체 분절에 대한 운동학적인 변인을 구명하고자 3차원 영상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13년 이상의 무용경력을 가진 3명의 남자무용수를 대상으로 구간별 소요시간, 국면별 신체 중심 변위와 속도, 하지분절 각, 그리고 몸통기울기 각의 변인을 Windows용 SPSS 26 Version을 이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도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학춤「뛰어날기」동작 시 총 소요시간은 1.9±0.56 s 으로 P4, P1, P2, P3 순으로 보였다. 둘째, 신체 중심의 수평 변위는 상체를 숙여서 동작이 수행됨으로 모든 구간에서 수평 전방향으로 이동이 나타났으며, E4에서 가장 큰 신체 중심의 이동이 보였다. 신체 중심의 수직 변위는 E3에서 수직 상방향으로 이동이 크게 나타났으며, 신체 중심 수평 속도는 P3에서 수평 전방향과 수직 상방향으로 이동속도가 빠르게 나타났다. 셋째, 엉덩관절 각과 무릎관절 각은 도약하는 E3에서 오른쪽은 굴곡, 왼쪽은 신전 운동이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발목관절 각은 신체 중심이동과 함께 지면을 누르면서 배측 굴곡이 저측 굴곡으로 전환되어 나타났다. 넷째, 몸통기울기 각은 P3에서 P4로 이동되는 동안, 몸통과 대퇴의 굴곡 운동이 이루어져 착지 시 신체에 안정감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학춤의「뛰어날기」동작은 신체 중심을 수평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도약 시 왼발이 지면을 빠르게 누르며 수직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최대의 높이로 뛰어 멀리 날아가는 동작을 수행한다. 착지 시 하지관절 각도는 신체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굴곡을 이루어 발의 교차 착지로 안정감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kinematic variables of body segments during the <Jumping and flying> motion in the Crane Dance by conducting a 3D image analysis. To achieve that, it analyzed three male dancers with over 13 years of dance experience. The analyzed variables included the time required for each phase, displacement and velocity of the body's center of mass during each segment, angles of the lower limb joints, and the torso tilt angle. These variables were analyzed with the Windows version of SPSS 26, which calculated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he analysis drew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the total time required for the <Jumping and flying> motion in the Crane Dance was 1.9±0.56 seconds, and the time required decreased in the order of P4, P1, P2, and P3. Second, the horizontal displacement of the body's center showed forward movement in all segments as the motion was performed with the upper body bent, with the greatest displacement observed in E4. The vertical displacement of the body's center showed significant upward movement in E3. The horizontal velocity of the body's center was observed to be rapid in both the forward horizontal and upward vertical directions in P3. Third, regarding the hip and knee joint angles, during the leap in E3, the right side underwent flexion, while the left side underwent extension. The ankle joint angle moved from dorsiflexion to plantarflexion as the body’s center moved and pressed against the ground. Fourth, the torso tilt angle provided stability to the body upon landing, as flexion of the torso and thigh occurred during the movement from P3 to P4. As a result, the <Jumping and flying> motion in the Crane Dance allows for the forward horizontal movement of the body’s center, with the left foot quickly pressing against the ground during the leap, propelling the body upward to its maximum height for a far-reaching flight. Upon landing, the lower limb joint angles flexed to prevent strain on the body and offered stability through a cross-foot landing.
Keywords:
crane dance, Jumping and flying(뛰어날기), kinematics키워드:
학춤, 뛰어날기, 운동학References
- 강은숙(2020). 동양의 자연관과 관물론을 기반으로 한 모방과 창조로서의 학춤의 예술적 함의. 박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대학원
- 국립국악원(2014). 조갑녀. 국립국악원 구술총서, 14.
- 김동원(2019). 사물놀이의 원리와 장고의 기초. 원광디지털대학교 공개강의, 2019.11.28.
- 김영미(2009). 역사적 관점으로 본 궁중학무의 변형적 효율성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세종대학교대학원.
- 김유(2018). 우리 근대 학춤의 이론정립과 춤전문어의 개념정리, 현대미학사, 공연과 리뷰, 24(2), 208-212.
- 김정은, 신현군(2007). 무용현상과 들뢰즈의 재현방식. 움직임의 철학:한국체육철학회지, 15(4), 249-259.
- 노란(2022). 한영숙류 학춤과 김천흥루 학춤의 비교를 통한 <정은혜학춤>의 가치 및 계승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대 학원.
- 문희철(2000). 한국무용 춤사위에 나타난 동양사상적 특성분석. 석사학위논문, 용인대학교대학원.
- 민진아(2002). 양발과 한발 착지시 하지관절의 운동학적 분석 및 지면반력 분석.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대학원.
- 박민지(2014). 학연화대합설무의 역사성과 중요무형문화재 지정 의의에 관한 연구. 전문사학위논문, 한국예술종합학교무용원
- 박순영(2018). 한성준 학춤의 창작과 전승 양상 연구. 전문사학위논문, 한국예술종합학교무용원.
- 성기숙(2021). 서울문화투데이 _이슈인물, 2021.11.18.
- 성예진(2007). 학춤의 구조적 분석을 통한 특이성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세종대학교대학원.
- 신상미(2013). 인간은 왜 춤을 추는가. 서울 : 한영문화사
- 아산병원_인체정보. www.amc.seoul.kr/asan/healthinfo.
- 안병헌(1990). 학무의 문화사적 고찰과 현대적 위상.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대학원
- 이금용(2021). 무용 숙련도에 따른 발바닥 딛기 동작의 운동학적 비교분석. 한국무용과학회지, 38(4), 47-57
- 이명미(1989). 전승학춤의 비교 무용학적 접근 : 궁중학춤·한성준 학춤·동래학춤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 학원.
- 이정흔, 오정환(1995). 투스텝 수직점프와 제자리 수직 점프 시 각 신체 분절의 기여도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자연 과학논문집, 13(1), 124-134.
- 이주연(2014). 궁중 학무에 내재 된 사상적 함의 : 예악사상과 음양오행사상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 이진원(2021). 한성준 학춤 및 그 음악에 대한 검토. 한국고음반연구회, 31, 36-64.
- 임수진(2004). 무용 융합 교육의 방향성 탐색-자연과학을 중심으로. 한국무용학회, 17(2), 33-42.
- 임은희(2002). 학춤 동작에 나타나는 미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 궁중 학춤, 한성준 학춤, 동래 학춤 중심으로. 전문사학위논문, 한국예술종합학교무용원
- 전주현(2014). 웹진 댄스코리아. 한국춤문화자료원, 10월호.
- 정은혜(2017). 한국학춤의 역사성 생성과 미. 서울 : 보고사.
- 최광진(2015). 한국의 미학. 미술문화
- 최현용(2018). Daily Tomorrow 칼럼, 2018. 3. 15.
- 한윤창(1998). 학춤에 관한 연구 : 학연화대합설무와 한성준 학춤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대학원.
- Abdel-Aziz,Y. I.,& Karaha,H. M. (1971). DirectLinear Transformation from comparator coordinates into object space coordinates in close photogrammetry, In Proceedings of the Symposium on Close-Range photogrammetry(pp.1-18). Falls Church, VA: American Society of photogrammet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