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Article ]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Vol. 41, No. 4, pp.43-56
ISSN: 1229-7836 (Print) 2713-6949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0 Oct 2024
Received 21 Sep 2024 Revised 10 Oct 2024 Accepted 10 Oct 2024
DOI: https://doi.org/10.21539/Ksds.2024.41.4.43

미래 인재를 위한 ‘사회성’ 개념 및 구성요소의 재정립 :사회성 함양을 위한 대학 교양무용수업

임수진*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스포츠과학연구소 학술연구교수 suzie@snu.ac.kr
Redefining the Concept and Components of ‘Sociality’ for Future Talents: University Literal Arts Dance Classes for Fostering Sociality
Sujin Lim*
*Research Professor, College of Education, Institute of Sport and Science, Seoul National University suzie@snu.ac.kr


CopyrightⒸ 2024 by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초록

본 연구는 사회성 개념의 명제적 지식을 바탕으로 학습자가 인지하고 있는 사회성의 개념 및 구성요소를 분석하여 대학 교양무용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사회성 함양을 위한 교수-학습방법 내용체계의 구축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은 Stringer(1999)의 참여적 실행연구로 2022년 2학기와 2023년 1학기에 진행하였고, 1년간 서울 소재 S대학교의 교양강좌 학습자 총 38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미래 인재가 지니고 있어야 하는 기본 자질로서 사회성 개념은 ‘타인과 원만하게 상호작용하는 능력’으로 정의하였다. 둘째, 사회성의 구성요소는 ‘사고에서의 사회성,’, ‘사교성에서의 사회성’, ‘사회적 규범에 준거한 사회성’으로 구분하였다. 사회성을 둘러싼 상황적 맥락에 따라 요구되는 사회성의 세부자질은 달라진다. 셋째, 사회성의 세 가지 구성요소에 내포된 공통적 세부자질은 ‘존중, 소통, 배려, 격려’로 도출되었고, 이 중 핵심 요소는 ‘존중’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사회성 함양을 위한 기본 자질은 ‘존중’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성 함양을 위한 교양무용수업에서 적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지도안을 제시하였고, 수업목표, 학습목표, 학습내용, 교수-학습활동, 평가방식 등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기에 현장의 교수자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것이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build a teaching-learning methods content system for fostering sociality that can be utilized in liberal arts dance classes at university by analyzing the concept and components of sociality recognized by learners based on the propositional knowledge of the concept of sociality. This research method was Stringer’s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1999), and was conducted in the second semester of 2022 and the first semester of 2023. A total of 38 liberal arts course learners at S university in Seoul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ncept of sociality as a basic quality that future talents must have was defined as the 'ability to interact smoothly with others'. Second, the components of sociality were classified into 'sociality in thinking', 'sociality in sociability', and 'sociality based on social norms'. The detailed qualities of sociality required vary depending on the context surrounding sociality.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he common detailed qualities included in the three components of sociality were derived as 'respect, communication, consideration, and encouragement', and the common core element was 'respect'. Based on these findings, a teaching-learning guidance plan that can be applied to liberal arts education to foster sociality was presented, and instructional goals, learning goals, learning contents, teaching-learning activities, and evaluation methods were presented in detail, which will be of practical help to instructors in the field.

Keywords:

sociality, thinking ability, sociability, social norms, liberal arts dance classes

키워드:

사회성, 사고력, 사교성, 사회적 규범, 교양무용수업

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2022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기초연구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22S1A5B5A17038204)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NRF-2022S1A5B5A17038204)

References

  • 김달효(2010). 사회성 측정(sociometry)을 활용한 학생의 사회성 개선 효과 검증. 수산해양교육연구, 22(4), 633-646.
  • 김상건(2003). 재량활동 태권도 수업이 교유관계와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울스포츠 대학원.
  • 김영천(2015). 질적연구방법론 II. 아카데미프레스.
  • 김지영(2008). 놀이를 활용한 집단상담이 초등학생의 자아개념 및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4(2), pp. 1-20.
  • 남경이(1997). 무용교육을 통한 사회성의 가치 확립에 관한 연구. 미간행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서울.
  • 박재호(2014). 인간, 사회적 동물: 사회심리학에 관한 모든 것. 탐구당
  • 손수민, 강윤정(2018). GI협동학습모형을 적용한 미술감상수업이 미술자아개념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대안고등학교를 중심으 로. 문화예술교육연구, 13(4), pp. 123-155.
  • 심경일(2004). 독서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기개념 및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 미간행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충북.
  • 원세정(2013). 중학생의 학교 무용수업 참여경험이 자신감과 사회성 및 자아실현 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과학회지, 30(3). pp. 47-65.
  • 이건미(2010). 초등학생의 방과후 무용활동이 정서 및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대한무용학회논문집. 62, 119-133.
  • 이명희(2005). 사회성 발달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인간관계와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 이정화, 이한주(2013). 고등학생들의 사회, 정서 학습(SEL)을 위한 표현활동 무용수업 적용 및 개선방안. 대한무용학회 논문집, 71(3). pp. 91-116.
  • 이진선(2015). 초등학생의 무용 활동 참여가 사회성, 교우관계 및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학회지, 15(1). pp. 39-48.
  • 이태신(2000). 체육학대사전. 민중서관
  • 임수진(2015a). 댄스 리터러시의 개념 및 교수방법 탐색: 문화예술교육으로서 무용교육의 개념틀 구성을 위한 기초연구. 미간행박 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 임수진(2015b). 댄스 리터러시 개념에 대한 이론적 고찰. 대한무용학회논문집, 73(3), 123-145.
  • 임수진(2022). 인문학적 소양교육을 위한 교양무용 콘텐츠 개발: 메디치 가(家)와 공자에게 배우는 창의력과 리더십. 한국무용과학 회지, 39(1), 43-58.
  • 임태희(2009). 태권도 수련에 따른 유소년의 사회성 변화. 체육과학연구, 20(2), 387-399.
  • 정갑순(1980). 또래집단에서의 어린이 사회성 발달에 관한 연구. 미간행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 정인영(2004). 초등학생의 태권도 수련유무에 따른 사회성 및 리더십 차이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용인대학교 대학원.
  • 조남민, 손달임, 황미경(2021). 역량기반교육과 대학 교양교육의 목적. 한국교양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세션 4-2), 273-289
  • 조영훈, 윤인애(2020). 학교 스프츠클럽 참여 중학생들의 자아개념이 사회성 및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성체육학회지, 34(1), pp. 93-109.
  • 채이병(2006). 사회성과 반사회성 사이의 갈등: 칸트의 역사철학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와철학연구회, vol(12). pp. 217-240.
  • 최정원(2022). 코로나 19시대 MZ세대의 사회성 발달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 22-기본 03.
  • 최재희(2013). 초등무용수업 참여만족이 사회성 및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무용예술학연구, 45(6). pp. 133-163.
  • 한규석(2009년). 사회심리학의 이해. 학지사.
  • Berk, L. E. (2007). Development through the lifespan. Boston: Pearson Education, Inc.
  • Gilbert, A. G. (1992). Creative Dance for all ages. SHAPE.
  • Kemmis, S., & McTaggart, R.(1988). The Action Research Planner. Deakin University.
  • Moustakas, C. (1994).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s. Thousand Oaks, CA: Sage. [https://doi.org/10.4135/9781412995658]
  • Shaffer, D. R. (2005). Social and Personality Development. Canada: Cengage Learning. 송길연, 이지연(역)(2008). 사회성 격발달. 서울: 센게이지러닝코리아.
  • Stringer(2004). Action Research in Education. Pearson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