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레 전공 대학생의 Battement Tendu 개념, 수행 방법, 자기화에 대한 인식
CopyrightⒸ 2024 by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초록
본 연구는 발레 전공 대학생의 탄듀(tendu) 개념, 수행 방법, 자기화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발레 전공생 10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과 영상을 통해 얻은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탄듀의 사전적 정의에 대한 참여자들의 인식은 알고 있거나, 알고 있으나 정확하지 않거나, 모르는 세 유형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초교육 단계에서 동작에 대한 개념적 이해가 불확실함을 시사한다. 둘째, 탄듀의 일반적 수행 방법에 대해서는 인식하고 있었으나, 중족의 안정성 및 풀업(pull-up)을 동반해 수행하여야 한다는 인식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나, 기본적인 기술 습득 이후에도 전신의 관점에서 이해하고 수행하는 심화 교육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셋째, 자기화 단계에서는 개인적 차원에서 자신의 근골격 구조와 유연성을 반영한 수행 시 문제 해결방법에 대한 인식이 다르게 나타나므로 개인화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자기화 방안을 고안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로써 탄듀의 개념과 수행 방법에 대한 종합적 이해 및 개인의 신체적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훈련이 심화 학습에서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본 연구는 발레 전공생의 탄듀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와 유사한 교육현장에서 고려해야 할 교육의 방향을 제공하는 데 의의가 있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perceptions of ballet-major university students regarding the concept, execution method, and individual implementation of the tendu. To achieve the research goal , an in-depth interview using semi-structured questionnaires, along with simultaneous video recordings, with ten ballet majors enrolled at a four-year university in Seoul was conducted and the collected qualitative data was analyzed. The study results suggest that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concepts of tendu, its execution method, and individual implementation according to physical characteristics are necessary to enhance advanced learning among ballet majors at the four-year university in Seoul.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foundational data that provides practical educational direction for instructors based on the perceptions of ballet majors regarding the tendu, which can be utilized in the field.
Keywords: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ballet, concept of battement tendu, execution of battement tendu, individual implementation키워드:
발레 전공 대학생, 탄듀(tendu) 개념, 탄듀의 수행 방법, 탄듀의 자기화 수행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한성대학교 교내연구비 지원을 받았음.
This research was conducted with the research fund support of Hansung University.
References
- 김민지(2010). 턴아웃이 발레 동작의 고관절 움직임 범위에서 가지는 기능적 역할에 관한 연구. 한국무용교육학회, 21(2). 153-168.
- 노연경(2000). 발레 바(Barre)연습을 위한 교수 방법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박금란(2007). Plie 동작의 수행 평가척도 개발과 규준지향검사.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박재홍(2021). 발레‘Plié’수행의 재개념화. 한국무용과학회지, 38(1), 69-77.
- 송인아(1998). 발레 Turn-out 수직점프의 미적특성에 대한 무용역학적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2-31.
- 신정희(2003). 어린이 발레지도를 위한 기초연구. 한국무용교육학회, 14(1), 75-93.
- 신현경(2000). 발레 조기교육을 위한 효율적인 지도방법에 관한 고찰.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심선미(2002). 발레 바(Barre) 기본동작의 지도방법에 관한 연구 –RAD METHOD를 근거로-.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이주하, 김영미(2021). 무용전공대학생의 신체정렬교육에 관한 인식도 조사. 한국무용학회지, 20(4), 27-36
- 조승미(1998). Ballet Technique의 Barre Work에 대하여. 한양대학교 체육대학 석사학위 논문.
- Bazarova, N., & Mey, V. (1987). Alphabet of Classical Dance (trans. by Richard Glasstone). Bath: The Bath Press.
- Grant, G. (1981). Technical Manual and Dictionary of Classical Ballet. Dover Publications.
- Hammond, Sandra Noll. (2000). Ballet Basics (최성이 옮김). 음악세계.
- Katan-Schmid, S. (2016). The significance of flexible approaches in ballet training: Addressing the challenges of standardization. Research in Dance Education, 17(1), 51-64.
- Pickard, A. (2012). Schooling the dancer: the evolution of an identity as a ballet dancer. Research in Dance Education, 13(1), 25-46. [https://doi.org/10.1080/14647893.2011.651119]
- Vaganova, A. (1934). Basic Principles of Classical Ballet.
- Wolcott, H. F. (1994). Transforming Qualitative Data: Description, Analysis, and Interpretation. Thousand Oaks, California: Sage.
- Wyon, M., & Koutedakis, Y. (2013). Musculoskeletal injuries in dancers: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Dance Medicine & Science, 17(1), 40-50. [https://doi.org/10.12678/1089-313X.17.2.63]
- danceadvantage.net.(2010.4.19.) https://www.danceadvantage.net/improve-tendu/NICHELLESUZANNE
- The Ballet Academy. (n.d.). (2020.1.15.) Ballet Basics: Battement Tendu. https://www.theballetacademy.com.sg/post/ballet-basics-battement-tend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