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전통춤 선입무(僊立舞) 특성에 관한 연구
CopyrightⒸ 2024 by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초록
본 연구는 한국 전통춤인 선입무(僊立舞)에 내재된 특성을 분석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문헌고찰 및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수집된 자료와 영상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입무(僊立舞)는 춤동작에 있어 맺고, 풀고, 변형하는 형태를 지니고 있어 다양한 무대구성이 가능한 춤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선입무(僊立舞)의 장단은 중모리 장단, 굿거리 장단, 자진모리 장단, 뒷굿거리 장단으로 정립되었다. 셋째, 선입무(僊立舞)의 남성 복식은 순결 및 정의를 내포하는 오정색(五正色), 즉 백색으로 이루어져 있고, 여성 복식은 요선철릭을 모티브로 하여 노란색이 그 주를 이루며, 태양과 빛을 상징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상징적 춤사위의 특성은 간접화법을 구사하여 내면적 미의 중요성이 부각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선입무(僊立舞) 계보를 통해 재구성하는 과정을 거쳐 춤의 정립과정을 분석할 수 있었으며, 선입무(僊立舞)의 내재적 특성을 분석하여 예술적 가치 및 전승에 대한 고찰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공연 분석과 전문가 인터뷰 등 다양한 방법으로 선입무(僊立舞)에 대한 후속 연구를 제언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nherent characteristics of Seonipmu, a traditional Korean dance.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data and video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Seonipmu involves movements of tying, untying, and transforming, allowing for various stage compositions. Secondly, the musical composition of Seonipmu consists of Jungmori, Goodgeori, Jajinmori, and Dwigoodgeori. Thirdly, the men's costume of Seonipmu is predominantly white, symbolizing purity and righteousness, while the women's costume is mainly yellow, inspired by the rays of the sun and light. Fourthly, the characteristic of indirect expression in Seonipmu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inner beauty. Therefore, by reconstructing the lineage of Seonipmu,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dance could be analyzed. It suggests the necessity of further research on Seonipmu through performance analysis and expert interviews to examine its artistic value and transmission.
Keywords:
Seonipmu form, Seonipmu costumes, Seonipmu dance style, traditional Korean dance키워드:
선입무 형태, 선입무 복식, 선입무 춤사위, 한국전통춤References
- 고효영(2022). 한국전통춤 중견무용수의 무대 경험 내러티브 탐구. 동덕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김기화(2020). 이매방 살풀이춤의 ‘여영화’에 대한 논의. 한국무용연구, 38(1), 33-65.
- 김미란, 조남규(2016).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된 전통무용의 장단에 관한 고찰 - 승무와 태평무를 중심으로. 한국무용연구, 34(3), 23-47.
- 강성범, 김현주(2007). LMA 분석을 통한 강선영류 태평무의 움직임 특성 연구. 무용역사기록학회지, 12, 1-20.
- 김종덕(2014). 역사상(易思想)을 통해서 본 호흡과 대삼소삼(大衫小衫)의 연관성 연구 -이매방류 살풀이춤을 중심으로-우리춤과 과학기술, 10(2), 9-13.
- 김형신, 윤수미(2017). 강선영류 태평무의 발놀음 특징 연구. 한국무용연구, 35(4), 81-114.
- 문철영(2015). 인간 이매방과 그의 춤. 우리춤과 과학기술, 11(4), 9-36.
- 박연선(2007). 색채용어사전. 서울: 도서출판예림.
- 박주연(2023.08.02.). 북춤·여울·태평무…국립극장서 펼쳐지는 '다색무'. 뉴시스. https://n.news.naver.com/article/003/0012008549?sid=103, .
- 박진희(2017). 무형문화재 태평무 최초 보유자 강선영 생애담을 통한 유, 아동기 삶의 이해. 대한무용학회논문집, 75(1), 161-173.
- 백경우(2011). 인문, 사회과학현: 음양 관점에서 본 이매방 살출이춤의 교태적 특징 연구. 한국과학회지, 50(4), 321-332.
- 성기숙(2009). 호남춤의 명인 이매방 연구. 한국무용연구, 27(2), 1-26.
- 송경숙, 송미숙(2019). 홍애수건춤 춤사위에 나타난 상징성에 관한 연구. 한국무용연구, 37(3), 23-39.
- 오덕자, 윤정옥(2021). 국가무형문화재 태평무 최초 보유자 강선영 생애담을 통한 노년기 삶의 의미. 남도민속연구, 43, 171-195.
- 오덕자, 심경은(2017). 무형문화재 태평무 명예 보유자 강선영 생애담을 통한 성인기 삶의 의미. 한국여성체육학회지, 31(1), 89-101.
- 윤혜미, 김진현(2021). 강선영류 태평무에 관한 고찰. 한국예술문화연구, 1(2), 39-53.
- 이노연(1992). 살출이춤의 기법에 관한 연구: 이매방류 살풀이춤을 중심으로. 한국무용연구, 10, 29-44.
- 이미영(2007). 한국춤 연구. 서울: 민속원.
- 이병옥(2013). 한국 전통춤의 분류와 양식적 특징: 정병호의 분류법 검토를 중심으로. 한국공연문화학회지, 27(0), 13-44.
- 임윤희(2023). 이은주 산조춤 금선무에 관한 연구. 무용역사기록학, 68, 105-128.
- 정은영(2004). 한국전통춤 체험의 현상학적 접근.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 정은파(2023). 이매방류 살풀이춤의 핵심개념 및 동작원리에 대한 분석전문가 평가와 FGI에 기초하여. 무용예술학연구, 91(2), 103-123.
- 정창완(2013.01.21.). 익산의 영언한 ‘무용 선생님’ 최태열 씨 “무용으로 행복을 퍼트리겠다”. 소통신문. https://www.sotongsinmun.com/bbs/board.php?bo_table=newsall_01&wr_id=2253
- 한국민속예술사전(2024.02.22.). 중모리 장단. https://m.terms.naver.com/list.naver?cid=58721&categoryId=58727, .
- 한국민속예술사전(2024.02.22.). 자진모리 장단. https://m.terms.naver.com/list.naver?cid=58721&categoryId=58727, .
- 한국민족문화대백과(2024.02.21.). 굿거리 장단. https://m.terms.naver.com/entry.naver?docId=794469&cid=46661&categoryId=4666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