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발레 공연사업의 기획, 창작・제작 및 유통에 관한 이해관계자 인식 분석
CopyrightⒸ 2024 by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초록
이 연구는 국제 사회에서 한국 발레 무용수와 안무가의 활약이 두드러지고 있는 상황에서 상대적으로 논의가 부족한 창작발레 및 공연사업에 대한 학술 논의를 이끌어내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에 질적 연구의 이상적 사례선택 방법에 따라 국내 발레 공연사업의 기획, 창작·제작, 유통 단계에 참여하고 있는 전문가 8인을 발레 공연사업의 이해관계자로 선정하고, 온라인과 대면 심층면담을 통해 한국 창작발레 작품 기획, 창작·제작, 유통 단계에서 나타나는 어려움과 해결방안, 향후 공연사업의 발전방안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였다. 연구결과는 기획, 창작·제작, 유통의 단계별로 도출하였다. 첫째, 기획 단계에서 30~50대 여성이 발레 작품의 주된 관객층이고, 클래식 발레공연과 창작발레 공연은 사전 티켓 판매율에서부터 큰 격차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창작·제작 단계에서 창작발레, 모던 발레, 컨템포러리 발레의 명확한 개념 정립과 무용수 및 안무가의 창작 역량을 키울 기회가 필요하다. 셋째, 유통 단계에서 창작발레는 생경한 소재로 관객의 선택을 받기 어렵기 때문에 초기 유통과정에서 홍보가 중요하고, 지역발레단의 설립 및 민간발레단을 위한 추가적 예산 편성이 절실하며, 어린이 뮤지컬 발레, 지방 공연장 분석, 발레 교육 및 사업 등 틈새시장을 공략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창작발레 작품의 기획, 창작・제작, 유통 세 단계에 참여하는 전문가의 의견을 통해 창작발레의 현황을 파악하고 향후 공연사업의 발전방안을 모색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draw practical academic discussions on creative ballet and performance projects that are relatively lacking in discussion in the current situation where Korean ballet dancers and choreographers are outstanding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ccording to the ideal case selection method of qualitative research, eight experts participating in the planning, production, and distribution stages of the domestic ballet performance business were selected as stakeholders in the ballet performance business. Research results were derived in stages of planning, production, and distribution. First, in the planning stage of the work, women in their 30s and 50s are the main audiences of ballet works, and classical and creative ballet performances show a wide gap in pre-ticket sales. Second, in the production stag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clear concept of creative ballet, modern ballet, and contemporary ballet and to develop the creative capabilities of dancers and choreographers. Third, in the distribution stage of the work, promotion is important in the initial distribution process because creative ballet is an unfamiliar material. In addition, local ballet companies should be established, and additional budgeting for local and private ballet companies is urgently neede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identified the current status of creative ballet through expert opinions in three areas of planning,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creative ballet works and sought ways to develop future performance businesses.
Keywords:
ballet, performance business, planning, production, distribution키워드:
발레, 공연사업, 기획, 창작·제작, 유통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서울문화재단 2023년 예술연구활동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This research was conducted with the research fund support of 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References
- 공연예술 통합전산망. https://www.kopis.or.kr/
- 구희영(2015). 관객은 왜 감동하는가?: 발레공연 중심으로. 한국무용학회지, 15(1), 13-28.
- 권선영(2023). 국내 발레 창작 환경 및 현황 분석. (사)한국발레협회 2023 결과공유 토론회 자료집.
- 김다희(2023). 플로어발레테라피 프로그램의 치유적 경험: 아로마 트리트먼트의 활용.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 김태원(2018). 우리 발레 세계발레계가 주목하고 있다. 공연과 리뷰, 102, 132–138.
- 박재홍, 탁새암(2023). 국내 발레관련 연구동향 분석(2018~2022). 한국무용과학회지, 40(2), 37-52.
- 배소심, 김희영(2005). 한국 창작발레의 예술적 경향. 대한무용학회논문집 42, 175-192.
- 이성희(2009). 한국 발레사에 나타난 임성남의 작품성향과 가치인식. 우리춤과 과학기술, 5(1), 85-113.
- 이용건, 주형철(2020).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발레공연 활성화 전략. Asi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of Sport Science, 8(3), 75-88.
- 이정숙, 김달우(2013). 한국 동문발레단 애지회의 업적 연구. 한국무용과학회지, 29, 35-51.
- 임수진(2015). 댄스 리터러시 개념에 대한 이론적 고찰. 대한무용학회논문집, 73, 123-145.
- 장소정(2023). 발레 무용수들의 자세 균형성과 발레상해 경험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무용과학회지, 40(1), 13-27.
- 정주연(2023). 클래식발레와 운동을 접목한 발레프로그램이 성인 여성의 체력, 프로그램 수행 만족도 및 운동 몰입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홍애령(2023). 무용의 사회적 역할로서 코로나 블루 완화를 위한 움직임 퍼포먼스 실행연구. 한국무용과학회지, 40(3), 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