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Article ]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Vol. 40, No. 4, pp.45-60
ISSN: 1229-7836 (Print) 2713-6949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1 Oct 2023
Received 31 Aug 2023 Revised 02 Oct 2023 Accepted 16 Oct 2023
DOI: https://doi.org/10.21539/Ksds.2023.40.4.45

확장된 계획행동이론(E·žTPB)을 적용한 공연예술 관람객의 체험요인이 재관람 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현규* ; 조남규**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공연예술경영학과 박사과정, 제1저자 ngoac@naver.com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공연예술경영학과 교수, 조남규, 교신저자 cng1222@hanmail.net
Applying the Extended Theory of Planned Behavior (E·TPB) The Influence of Experience Factors on the Intention to Revisit Performing Arts
Hyunkyu Rhee* ; Namgyu Cho**
*Ph.D., Department of Performing Arts Management, Sangmyung University ngoac@naver.com
**Professor, Department of Performing Arts Management, Sangmyung University cng1222@hanmail.net


CopyrightⒸ 2023 by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초록

본 연구는 Post COVID-19에 접어들면서 급증한 공연예술 관람객의 체험요인이 재관람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최근 6개월 이내 공연예술을 관람한 경험이 있는 서울, 경기도 및 6대 광역시의 20대 이상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통계프로그램 SPSS 26.0과 AMOS 24,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 및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연예술 관람객의 체험 4요소는 모두 태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태도는 재관람 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셋째, 주관적 규볌은 재관람 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넷째, 지각된 행동통제는 재관람 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다섯째, 태도는 체험요인과 재관람 의도와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재관람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이론적 설명력을 높이고, 공연예술 관람객 개발과 마케팅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experiential factors on revisit intentions of performing arts attendees in the post-COVID-19 era. To accomplish this, we selected 399 adult men and women in their 20s and older in Seoul, Gyeonggi Province, and the six largest metropolitan areas who had attended a performing arts event in the past six months. The collected data were subjected to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using statistical programs SPSS 26.0 and AMOS 24.0,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ll four components of a performing arts attendee's experience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attitudes. Second, attitude had a positive effect on rewatch intention. Third, subjective norms had a positive effect on rewatch intention. Fourth,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had no effect on rewatch intention. Fifth, attitude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tial factors and rewatching intention. This study aims to increase the theoretical explanatory power of the factors that influence revisit intention and provide a basis for audience development and marketing in the performing arts.

Keywords:

performing arts, audience, experiential elements, theory of planned behavior, revisit intention

키워드:

공연예술, 관람객, 체험요소, 확장된 계획행동이론, 재관람 의도

References

  • 권웅, 김가영(2018). 체험경제이론에 근거한 프로야구 관람객들의 관람경험과 만족 및 재관람 의도 간의 관계 분석. 한국체육학회지, 57(2), pp303-317.
  • 곽길동, 권혁인, 김대진(2022). 대중음악 페스티벌의 브랜드 자산이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확장된 계획 행동이론(ETPB) 기반으로. 한국콘텐츠학회, 22(12), pp433-448.
  • 김기웅(2020). 목표지향적 행동모형과 여가제약협상 모형을 활용한 프로야구 관람객의 의사결정.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김도희(2016). 확장된 계획행동이론(ETPB)을 적용한 뮤지컬 관람행동 분석,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민수, 한진욱(2012). 계획행동이론과 스포츠 팀 라이센싱 제품의 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1,2차 구조모형의 비교.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17(2), 51-64.
  • 김설화(2019). 뮤지컬 광고커뮤니케이션이 관객의 관람태도, 관람의도 및 재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 터테인먼트산업학회, 13(8), 281-290.
  • 김유진(2021). 한국무용 관람자의 문화소비성향과 감정반응, 관람만족 및 행동의도와의 관계 연구, 상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 김지수, 전종우(2022). 뮤지컬 공연 관람객의 소비가치가 뮤지컬 관람 플로우(flow) 및 재관람의도,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23(1), 302-315.
  • 김채윤(2020). 국립무용단의 컨버전스 공연을 통한 마케팅믹스가 관람만족과 재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 세종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김해리(2020). 다크 투어리즘 관광객 체험에 따른 감정적 애착 및 태도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서대문형 무소 역사관을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김현아, 류충완, 조선하(2015). 무용공연의 관객이 인지하는 혼잡지각요인이 관람만족 및 재관람의도에 미치 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24(6), 717-727.
  • 남정미(2015). 공연예술 상품의 소비자 관람행동,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남정미, 유소이(2015). 계획적 행동이론의 확장모델을 적용한 공연예술상품의 소비자 행동분석, 소비문화연구, 18(2), 63-88.
  • 노정식, 노해진(2021). 계획행동이론을 적용한 COVID-19 시대 무용전공 대학생의 학업지속성, 한국무용학회 지. 21(3), 1-14
  • 류수현, 강신겸(2018). 문화예술공연 관람자의 서비스 품질 인식과 만족도, 행동의도와의 관계 : 광주 공연장상주단체 페스티벌을 중심으로. 지역과 문화, 5(1), 1-20.
  • 류진승(2020). 서핑참여자의 체험경제이론에 따른 체험과 소비행동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 명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민두식, 고정민, 이완영(2020). 국제스포츠이벤트 관람객의 체험과 지각된 가치, 관광지역이미지, 만족도, 행동 의도 간 구조적 관계 규명. 한국체육학회지, 59(3), 243-261.
  • 박두수(2021). 유네스코 유산지의 체험요소가 장소성과 몰입 그리고 관람객의 행동의도에 미치는 구조연구 : 확장된 계획행동 이론을 활용하여.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박미진(2017). 확장된 계획적 행동이론(ETPB)를 적용한 전통무용공연 관객의 관람행동에 관한 인과모형 분석.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박미진, 박태승(2019). 확장된 계획적 행동이론(ETPB)을 적용한 전통무용공연 관객의 관람행동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무용과학회지, 36(2), pp13-26.
  • 박미진(2020). 무용공연 관람객의 공연선택요인이 재관람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학회지, 18(3), 521-529.
  • 박세령(2020). 공연예술 관람객의 문화소비성향에 따른 소비가치, 관람만족도, 재관람의도 간의 관계. 숭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박용수, 한진욱, 김민수(2012).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을 통한 무주 태권도공원 방문객의 방문의도 분석. 한국사회체육학회지, 48(1), 195-204.
  • 박은아, 김은정, 전수경, 김용기(2016). 공연예술 관객체험가치가 액션플로우, 공연만족, 그리고 공연주최사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문화산업연구, 16(4), 133-145.
  • 박지혜, 고정민(2014). 상상적(Imagery). 자극이 공연예술상품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문화정책논총, 28(1), 197-221.
  • 박태승(2022). 국악관현악 공연의 서비스품질이 서비스가치, 관람만족 및 재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 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6(1), 43-56.
  • 박해소(2019). 확장된 목표지향적 행동모형을 적용한 지역음식축제 참여자들의 행동의도 분석. 목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박현승, 김현철(2022). 공연예술상품 장르에 따른 소비자 구매행동 차이 분석 : 확장된 계획행동이론 모형을 중심으로. 신산업경영저널, 40(2), pp121-148.
  • 배강원(2023). 한국무용의 예술적 가치가 글로벌 소비자의 한국무용 관람의도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백보현, 권혁인(2019). 정보자본에 따른 공연예술 소비자 행동분석: E-TPB를 기반으로. 경영교육연구, 23(3), 125-145.
  • 변지윤, 김도윤, 류승완(2019). 클래식 관객의 소비가치가 관람몰입과 만족 그리고 재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9(11), 46-56.
  • 서순경(2009). 외국인의 한국무용이미지가 한국문화만족도 및 한국문화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48(4), 435-445.
  • 서해란, 이충기(2015).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을 이용한 중국관광객의 방한 의사결정 연구. 호텔관광연구 17(2), 1-16.
  • 성제환(2012). 문화 소비자본이 문화·예술상품 수요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문화경제연구, 15(1), 67-93.
  • 손지영(2022). 공연예술 소비자의 예약부도(No-Show)에 관한 연구 : 아이섹 아젠(Icek Ajzen) 계획행동이론 관점에서,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손지영, 안병주(2021). 계획행동이론을 적용한 공연예술 소비자의 예약부도 가능성 영향요인 연구 : 예약부도의 부정적 효과 인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체육과학회지, 30(5), 753-773.
  • 송학준, 이충기, 강수경(2011).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을 이용한 자연기반 축제 방문객의 의사결정과정에 대한 연구 - 보령머드축제를 사례로 – 한국관광학회 국제학술발표대회집 69(1), 983-995.
  • 여순심(2020). 공연예술관람객의 소비가치가 관람만족도 및 재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 예술교육연구, 18(1), 29-45.
  • 여순심(2020). 공연예술 관람객의 문화소비성향에 따른 소비가치, 관람만족도, 재관람의도 간의 관계. 호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여정정(2015). 한류공연에 대한 체험요소가 한류태도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중국인관광객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예술경영지원센터, 한국문화관광연구원(2022). 코로나19 전후 공연시장 변화 비교 분석.
  • 오종철(2007). 계획된 행동이론을 적용한 디지털 콘텐츠 충동구매에 관한 연구 : 감각추구 성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대한경영학회 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집, 2007.11, 477-504.
  • 오하나(2016). 뮤지컬 관람객의 작품 구매요인이 지각된 가치와 관람객 만족을 통해 재관람 의도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오하나, 김영택(2018). 국내외 뮤지컬 관람객의 작품 구매요인과 재관람 의도간의 구조적 관계. 서비스경영학회지, 19(2), 217-235.
  • 왕사영(2023).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대중음악 공연의 체험요소(4Es)가 관람객 만족도와 재관람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온ㆍ오프라인 콘서트의 특성비교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 유은정, 도몽원, 윤지환(2020). 공연축제의 체험요인이 도시브랜드이미지 및 관광객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부산원 아시아 페스티벌(BOF)을 방문한 중국인 대상으로. 관광연구저널, 34(12), 5-16.
  • 윤설민(2010). 계획행동이론의 확장을 통한 모험적 여가활동 추구 관광객의 행동지속성에 관한 연구 : 플로우(Flow), 애착도, 과거행동의 역할 탐색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윤준(2020). 목표지향적 행동모형을 활용한 마리나 요트 탑승객의 체험요소, 몰입, 행동의도간의 구조관계.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이숙경, 김선영(2021). 태권도공연 체험이 관광지 이미지 및 관람객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전주 한옥마을을 중심으로. 문화와 융합, 43(9), 759-778.
  • 이승훈(2020). 문화관광지의 체험성(4Es)이 자서전적 기억, 태도, 애호도, 문화관광개발 지지에 미치는 영향. 관광레저연구, 32(7), 137-158.
  • 이윤정(2011). 청소년의 무용관람에 따른 무용이미지와 관여도가 재관람의도 및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이은우(2016). 문화예술 상품수요의 결정요인 분석. 문화산업연구, 16(2). 69-78.
  • 이현수(2021). 확장된 계획행동이론(ETPB)을 적용한 관람형 태권도 관람객의 플로우(Flow) 및 행동의도의 관계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후석(2019). 확장된 목표지향적 행동모형(EMGB)을 이용한 축제방문객의 의사결정과정에 관한 연구 : 안동국제탈춤 페스티벌을 대상으로. 한국관광연구학회, 33(7), 133-147.
  • 임선영(2018). 체험경제이론에 따른 생활무용참여자의 스포츠가치관, 지속적 참여의도의 관계 : 스포츠의 감성적 인식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임재필(2018). 스쿠버다이빙 참여에 대한 의사결정과정 연구 : MGB와 여가제약-협상모형의 적용.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장정(2023). 뮤지컬 관람자의 충성적 소비에 대한 실증연구 : 계획된 행동이론의 확장모델을 적용하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전상영(2021). 공연예술에 대한 관람경험과 관람행동의 관계에서 관람의도의 매개효과. 강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정계은(2018). 기독교뮤지컬의 선택속성이 관람만족과 관람 후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8(12), 676-681.
  • 정다윤(2022). 무용공연 관람객의 관람동기가 인지된 가치와 행동에 미치는 영향, 문화산업연구. 22(4), 149-158.
  • 조복행(2010). 뮤지컬 반복소비자의 특성과 선호 경향에 관한 연구. 추계예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 조원섭(2014). 확장된 계획행동이론(TPB)을 활용한 커피전문점 행동의도 연구. 대한관광경영학회, 28(6), 161-179.
  • 주종현(2017). 관객의 소비가치를 통한 공연예술 관람 행동의도 연구: 연극과 뮤지컬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주진영, 유창석(2019). e스포츠의 동기와 체험경험이 관람만족 및 재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 소비자학연구, 30(4), 261-281.
  • 최우영(2018). 경험적 소비에서의 감정반응이 자발적 지불금액에 미치는 영향 : 주관적 지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최윤영(2020). 무용공연 관객의 라이프 스타일에 따른 관람만족 및 재관람 의도의 차이 분석. 무용역사기록학, 59, 203-228.
  • 최지애, 정달영(2022). 연극 재방문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기술적, 체험적 요인에 대한 연구. 인문사회과학연구, 30(4), pp674-695.
  • 하지원(2023). 공연예술관람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공연문화연구, 46, 105-125.
  • 한성재(2014). 확장된 계획행동이론(TPB)를 활용한 실버여행객의 여행상품 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 중국 패키지 여행고객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한숙영, 엄서호(2005). Pine과 Gilmore의 체험영역 모델에 관한 검증 – 한산모시축제 체험활동참가자 만족을 중심으로. 관광학연구, 29(2), 131-148.
  • 함의정(2018). 폐 산업시설 재생 문화공간에서 방문객의 체험이 지각된 가치와 몰입에 의해 장소성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Ajzen, I., & Fishbein, M. (1973), “Attitudinal and Normative Variables as Predictors of Specific Behavior,”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27 (1), 41-57. [https://doi.org/10.1037/h0034440]
  • Ajzen, I., & Fishbein, M. (1980). Understanding attitudes and predicting social behavior .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 Ajzen, I. (1985). From intentions to actions: A theory of planned behavior. In J. Kuhl & J. Beckman(Eds.), Action-control: From Cognition to Behavior (11-39). Heidelberg: Springer. [https://doi.org/10.1007/978-3-642-69746-3_2]
  • Ajzen, I. (1991).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ur. Organizational Behaviou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50(2), 179-211. [https://doi.org/10.1016/0749-5978(91)90020-T]
  • Bagozzi, R. P. (1981), “An Examination of the Validity of Two Models of Attitude,” Multivariate Behavioral Research, 16 (3), 323-359. [https://doi.org/10.1207/s15327906mbr1603_4]
  • Dick, A, S., & Basu, K.(1994). Customer loyalty: Toward an integrated conceptual frame-work.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22 (2), 99-113. [https://doi.org/10.1177/0092070394222001]
  • Kerin, R. A., Jain, A., & Howard, D. J. (1992). Store shopping experience and consumer price-quality-value perceptions. Journal of retailing, 68 (4), 376.
  • Lam, T. and C. H. C. Hsu (2004), “Theory of Planned Behavior: Potential Travelers from China,” Journal of Hospitality and Tourism Research, 28 (4), 463-482. [https://doi.org/10.1177/1096348004267515]
  • Lam, T. and C. H. C. Hsu (2006), “Predicting Behavioral Intention of Choosing a Travel Destination,” Tourism Management, 27 (4), 589-599. [https://doi.org/10.1016/j.tourman.2005.02.003]
  • Madden, T. J., P. S. Ellen, and I. Ajzen (1992), “A Comparison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and the Theory of Reasoned Action,”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8 (1), 3-9. [https://doi.org/10.1177/0146167292181001]
  • Hayes, A. F. (2013). An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A Regression-Based Approach . Guilford Press.
  • Oscar G. Brocket(1987). History of the Theatre, London: Allyn and Baoon, lcn. 5th Edition.
  • Pine, B. J., & Gilmore, H. J.(1998). Welcome to the experience economy. Harvard Business Review, 76(4), 97-105.
  • Perugini, M. and R. P. Bagozzi (2001), “The Role of Desires and Anticipated Emotions in oaldirected Behaviors: Broadening and Deepening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British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40 (1), 79-98. [https://doi.org/10.1348/014466601164704]
  • Qullette, J. A. and W. Wood (1988), “Habit and Intention in Everyday Life: The Multiple Processes by Which Past Behavior Predicts Future Behavior,” Psychological Bulletin, 124 (1), 54-74. [https://doi.org/10.1037/0033-2909.124.1.54]
  • Rhodes, R. E., & Courneya, K. S.(2003). Modelling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and Past Behavior. Psychology, Health & Medicine, 8 (1), 57-69. [https://doi.org/10.1080/1354850021000059269]
  • Sheppard, B. H., Hartwick, J., & Warshaw, P. R.(1988). The theory or reason ed action: A meta-annalysis of past research with recommendations for modification and future reserch.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5 (december), 428-441. [https://doi.org/10.1086/2091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