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무용수의 자기애적 성향이 공연자신감 및 성공기대감에 미치는 영향
CopyrightⒸ 2023 by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초록
본 연구는 직업무용수의 자기애적 성향이 공연자신감과 성공기대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목적표집법에 의한 서울, 경기, 대구, 제주의 직업무용단 무용수를 대상으로 자기기입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최종 212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SPSSWIN Ver. 23.0으로 통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직업무용수의 자기애적 성향이 공연자신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업무용수의 자기애적 성향이 성공기대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업무용수의 공연자신감이 성공기대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로부터 직업무용수의 자기애적 성향이 공연자신감과 성공기대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확인하여, 자기애적 성향에 내포된 중요한 의미를 도출하였다는데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향후 이를 근거로 무용수들의 공연자신감과 성공기대감을 상승시킬 수 있는 자기애적 성향이 현장의 지도 및 교육에 응용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purpose of examining the influence of professional dancers' narcissistic tendencies on performance confidence and success expectations.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a self-written survey was conducted on dancers of vocational dance companies in Seoul, Gyeonggi, Daegu, and Jeju by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and the final 238 copies were used for analysis. The following research results were derived from the collected data by statistically analyzing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WIN Ver. 23.0. First, it was found that the narcissistic tendency of professional dancers influenced on performance confidence significantly.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narcissistic tendency of professional dancers influenced on success expectations significantly. Third, it was found that the performance confidence of professional dancers influenced on the expectation of success significantly.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 that the narcissism tendency of professional dancers is a meaningful factor affecting performance confidence and success expectations, resulting in a positive and important meaning of narcissistic tendencies. In the future, based on this, narcissism tendencies that can increase dancers' confidence in performance and expectations for success should be applied to field guidance and education.
Keywords:
Narcissism tendency, Performance Confidence, Success Expectation, Professional Dancer키워드:
자기애적 성향, 공연자신감, 성공기대, 직업무용수References
- 강상욱(2019). 운동선수 나르시시즘 구성개념 정립 및 측정도구 개발.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서울.
- 고우리(2023). 직업무용수의 나르시시즘이 무용몰입 및 공연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62(2), 251-261.
- 김남영(2012). 무용전공대학생들의 신체적 자기지각을 통한 공연자신감 및 자기효능감이 무용몰입과 무용수행만족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부경대학교 대학원.
- 김민희, 김지영(2022). 전문무용수의 외현적 자기애 성향이 무용 정서 표현성에 미치는 영향: 신체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무용학회지, 22(2), 31-46.
- 김보라(2014). 무용영재의 성격특성이 학습양식과 무용성취 및 미래포부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대학원.
- 김승현 (2014). 여가활동 참여 대학생들의 여가정 체성 및 여가만족과 생활만족의 관계.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용인대학교 대학원.
- 김예림(2014). 나르시시즘 현상을 바탕으로 한 무용창작작품 「마주한 공허」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김자경(2020). 보육교사의 일과 삶의 균형과 직무만족 및 생활만족의 관계.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덕성여자대학교대학원.
- 김혜민(2021.10.6.). 우리아이 우울증인가요? 코로나19로 소아 청소년 우울 늘어. YTN.
- 김혜정, 김보라(2013). 무용지도자와 학생의 상호작용이 무용성취동기 및 미래포부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기록학회, 29, 63-81.
- 김희은(2018). 공연예술전공 대학생의 공연자신감과 숙달목표지향, 그릿, 스트레스대처 방식의 구조적 관계.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 나경아, 박현정(2011). 무용전공 대학생들의 자기애적 성격과 무용정서표현성 간의 관계. 한국무용기록학회, 22, 1-18.
- 박은정, 정명선(2010). 여대생의 자기애적 성격과 자아존중감이 외모 관리 행동에 미치는 영향. 복식문화연구, 18(4), 717-730.
- 백영옥(2017.3.5.). 어떤 예술이 우리를 구원하는가. 중앙선데이.
- 백영태, 전진아(2019). 중학생의 표현활동에 대한 태도와 수업참여간의 관계에서 지각된 학습장애의 매개효과. 예술교육연구, 17(1), 69-83.
- 양소정 안병순(2018). 무용전공고등학생의 자기애와 자기관리 및 섭식장애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집, 18(8), 408-414.
- 양창순(2012). 나는 까칠하게 살기로 했다. 서울 : 다산북스.
- 이건미(2018). 무용교육자의 전문성이 무용전공대학생의 무용자신감과 무용능력성취에 미치는 영향. 대한무용학회논문집, 76(1), 111-125.
- 이대원(2023). 무용학과 대학생의 가치지각, 성장 마인드셋 및 수업참여 간의 관계에서 성공기대와 지각된 비용의 조절된 매개효과. 예술교육연구, 21(3), 187-201.
- 이명자(2018). 무용전공대학생의 무용정서지능 및 자기애적 성격이 무용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73, 137-150.
- 이민정(2015). 무용전공대학생의 무용심상과 지각된 공연자신감이 무대불안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동국대학교, 서울.
- 이윤조(2002). 자기애적 성격특성과 자기효능감 및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서울.
- 이은정(2020). 후기청소년의 정서지능이 미래성공기대감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과 부모-자녀 의사소통의 매개효과. 미간행박사학위논문.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 이중삼(2021.9.28.). 전문대학생 ‘취업’ 부담 스트레스 극심… 대학이 나서자 달라졌다. 한국대학신문.
- 이지연, 하정희, 전수현(2006). 성취상황에서 부모태도가 청소년의 미래성공기대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자존감과 우울을 매개로. 교육심리연구, 20(4), 873-890.
- 임은정(2019). 나르시시즘이 외모관리행동과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성신여자대학교, 서울.
- 장나연, 주진영, 신규리(2022). MZ세대의 자기애성향, SNS 이용동기, 과시적 여가소비의 관계.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46(3), 53-64.
- 정보아(2001). 대학생의 자기애적 성격과 대인관계 성향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 정은선, 하정희, 이성원(2017). 자기가치감 수반성과 대학생활적응 및 미래성공기대와의 관계에서 인지적 유연성의 매개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8(5), 226-236.
- 차경호, 홍기원, 김명소(2006). 한국 성인의 자존감 구성요인 탐색. 한국심리학회지, 25(1), 105-139.
- 차여진(2015). 무용전공대학생의 공연자신감에 대한 정서지능과 신체적 자기지각의 중재효과 검증.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 크레이그 멜킨(2017). 나르시시즘 다시 생각하기. 서울 : 푸른숲.
- 한임숙(2013). 무용전공 대학생의 성격특성과 자신감 및 무용성취감의 관계. 한국무용과학회지, 30(3), 123-136.
- 한혜원, 오진숙(2011). 무용전공 여대생의 신체이미지가 무용자신감과 무용능력 성취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20(5), 859-870.
- Hauser, R. M., D. K. Anderson(1991). Post-high school plans and aspiration of black and white high school seniors: 1976-86. Sociology of Education, 64 (4), 263-277. [https://doi.org/10.2307/2112707]
- Kohut, H. (1984). How does analysis cure? . Chicago : The Universityof Chicago Press. [https://doi.org/10.7208/chicago/9780226006147.001.0001]
- Saha, L. J.(1994). Aspiration and expectations of students. In the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education , In T. Husen & T. N. Postlethwaite(2nd ed) Oxford : Pergamon Press. 354-358.
- Vealey, R.S., Hayashi, S.W., Garner-Holman, M. & Giacobbi, P. (1998). Sources of sport-confidence: Conceptualization and instrument development. Journal of Sport and Exercise Psychology, 20, 54-80. [https://doi.org/10.1123/jsep.20.1.54]
- Wink, P. (1991). Two faces of narcissism.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1 , 590-597. [https://doi.org/10.1037/0022-3514.61.4.5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