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Article ]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Vol. 40, No. 3, pp.31-50
ISSN: 1229-7836 (Print) 2713-6949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1 Jul 2023
Received 28 May 2023 Revised 06 Jul 2023 Accepted 21 Jul 2023
DOI: https://doi.org/10.21539/Ksds.2023.40.3.31

노인무용지도자의 교육목적과 역할에 대한 인식 연구

윤혜선* ; 이연정**
*동덕여자대학교 공연예술대학 무용과 부교수 dasoma40@naver.com
**동덕여자대학교 무용융합콘텐츠학 박사수료 younjong93@naver.com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Educational Purposes and Roles of Elderly Dance Instructors
Hye-Sun Yoon* ; Yeonjeong Lee**
*Associate Professor, College of Performing Arts, Department of Dance, Dongduk Women's Univ. dasoma40@naver.com
**Dongduk Women's University Dance Convergence Contents Doctoral Completion younjong93@naver.com


CopyrightⒸ 2023 by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초록

이 연구는 노인무용지도자가 현장 경험을 토대로 인식하고 있는 노인무용교육의 목적과 지도자 역할을 심층적으로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연구 대상은 3년 이상 노인무용교육 경험이 있고 현재 노인무용지도자로 활동을 지속하고 있는 12명을 선정하였고, 개방형 설문을 통한 자기평가 기입방법을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Moustakas(1994)의 현상학적 분석 절차를 참고하여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 결과, 첫째, 노인무용지도자가 인식하는 무용교육의 목적에 대해 분석하여 33개의 의미 단위, 7개의 주제, 3개의 본질적인 주제가 도출되었다. 연구에서 도출된 본질적 주제는 ‘행복하고 즐거운 무용교육’, ‘자아실현과 자기표현을 위한 무용교육’, ‘삶의 질을 높이는 무용교육’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노인무용지도자가 인식하는 지도자 역할의 주안점에 대한 분석 결과, 25개의 의미 단위, 7개의 주제와 3개의 본질적인 주제가 도출되었다. 도출된 주제는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한 창의적 교수법’, ‘학습자와의 친밀한 관계와 소통능력’, ‘포용적인 태도와 문제상황 대응력’으로 도출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노인무용교육 현장에서 활동하고자 하는 예비 무용지도자들과 노인시설 종사자들에게 유용한 자료로 활용되길 바라며 향후 초고령화 사회에서 노인무용교육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데 의미 있는 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objectives of elderly dance education and the role of instructors as perceived by elderly dance instructors based on their field experiences. To do this, 12 participants with at least 3 years of experience in elderly dance education and currently working as elderly dance instructors were selected,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assessment using open-ended questionnair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Moustakas (1994)'s phenomenological analysis procedure to derive the research results.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firstly, an analysis of the purpose of dance education perceived by elderly dance instructors revealed 33 meaning units, 7 themes, and 3 essential themes. The essential themes derived from the study were 'happy and enjoyable dance education,' 'dance education for self-actualization and self-expression,' and 'dance education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Secondly, the analysis of the main focus of the instructor's role perceived by elderly dance instructors resulted in 25 meaning units, 7 themes, and 3 essential themes. The derived themes were 'creative teaching methods considering learners' characteristics,' 'close relationships and communication skills with learners,' and 'inclusive attitude and problem-solving ability in difficult situ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tilized as useful information for prospective dance instructors and elderly facility workers who want to work in the field of elderly dance education, and as meaningful data for exploring ways to activate elderly dance education in the future super-aged society.

Keywords:

Elderly dance, Elderly dance education, Elderly dance instructor, Purpose of dance education, Role of dance instructor

키워드:

노인무용, 노인무용교육, 노인무용지도자, 무용교육목적, 무용지도자 역할

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2022년도 동덕여자대학교 학술연구비 지원에 의하여 수행된 것임.

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the Dongduk Women's University grant.

References

  • 강순화, 김공(2010). 노인체육지도자 역할 척도 개발 : 생활체육 참여 노인들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체육학회지, 39, 461-473.
  • 고나리(2022.10.20.) 교육진흥원,‘2022 두근두근 청춘제’개최...노인문화예술교육 의미 되새긴다. 문화뉴스, https://www.mhn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36756
  • 권선영(2017). 무용은 어떻게 우리를 행복하게 하는가? : 무용의 문화예술교육적 가치 실현을 위한 무용향유체험의 질적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권윤지(2022.08.26). 초고령화 사회가 온다...스타트업 새 먹거리 ‘실버산업’. 복지타임즈, https://www.bokji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33158
  • 김경미, 이병준 (2022). 노인 무용교육을 위한 교수학습방법 탐구 - 미적 발달이론을 기반으로. 문화예술교육연구, 17(5), 205-225.
  • 김미정(2014). 노인의 자아실현 예측모형.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김선희(2009). 노인체육 프로그램의 성공적 실천을 위한 노인체육지도자의 역할과 자질. 한국사회체육학회지, (35), 661-676.
  • 김애경(2000). 대학무용 지도자의 리더십 형태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 김연진(2008). 지도자의 지도행동 유형이 무용전공학생의 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 박미정, 이재형(2008). 노인의 생활무용참여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33), 705-714.
  • 박소정(2020). 한국 커뮤니티 댄스의 효과와 역할. 트랜스, 9, 37-66.
  • 박연희, 최환석(2016). 노인체육 지도자에 대한 참여자의 감정반응이 성취목표와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7(5), 186-194.
  • 박종훈(2023.05.22.). 초고령화 사회 진입 목전...시니어 계층, 소비 큰 손으로 부상. 한스경제, http://www.sporbiz.co.kr/news/articleView.html?idxno=651820
  • 박진희(2008). 생활무용 참여가 사회적지지와 자아실현에 미치는 영향. 대한무용학회논문집, 56, 63-75.
  • 브라보마이라이프(2022.10.12.). “노인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 문화예술 활동으로 풀어야”. 브라보마이라이프, https://bravo.etoday.co.kr/view/atc_view/14061
  • 배성한(2013). 노인복지관 프로그램 운영의 문제점 및 무용프로그램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무용역사기록학, 28, 101-120.
  • 손희영(2017). 노인의 사회참여 확장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연구 : 공익(公益)을 넘어 공존(共存)으로.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안혜임, 김경숙(2007). 현장에서 요구되는 사회체육지도자의 전문능력요인. 한국사회체육학회지, (30), 131-142.
  • 염두승, 김덕임(2009). 시니어 생활체육 참여자들의 웰니스 지수와 삶의 질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지, 18(1), 265-273.
  • 오현주(2021). 액티브시니어를 위한 인문예술교육프로그램. 지역복지정책, 32, 71-99.
  • 유지영(2015). 노인무용 교육효과의 치유작용 메커니즘.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4), 114-121.
  • 유지영(2020). 노인대상 한국무용 지도자의 애로요인 탐색: PBL 문제개발로의 확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4(3), 93-103.
  • 윤지은(2020). 노인무용 지도자 양성을 위한 방향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7), 691-706.
  • 윤지은, 오윤선, 이소미 (2021). 포스트 코로나, 노년기 ‘웰에이징 무용교육’의 방향성 탐색. 한국융합합과학회지, 10(4), 130-142.
  • 윤혜선, 이연정(2018). 노인 대상 한국춤 프로그램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 한국무용과학회지, 35(2), 35-49.
  • 이귀영(2003). 노인무용활동의 활성화를 위한 조사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미영(2009). 한국무용 참여가 중년여성의 신체상에 미치는 효과. 한국무용학회지, 9(2), 1-7.
  • 이상희, 원영신, 배재윤(2014). 노인체육지도자가 체험하는 생활체조 수업 제약 및 극복요소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학회지, 53(1), 267-280.
  • 이수정(2019.06.13.) “내 나이가 어때서”...활발한 시니어 ‘노노족No老族)’ 뜬다. 천지일보, https://www.newscj.com/news/articleView.html?idxno=641036
  • 이연정, 윤혜선(2020). 무용지도자가 경험한 노인무용교육의 어려움과 바람. 한국무용과학회지, 37(3), 13-33.
  • 이연정(2021). 초고령 사회 액티브 시니어 대상 미래 무용교육의 방향성. 국제문화예술, 2(2), 79-89.
  • 이윤구, 오윤선, 권재윤(2018). 노인의 무용 프로그램 참여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체육학회지, 57(3), 293-305.
  • 이해주(2018). 제3기 인생을 위한 평생교육 활성화 방안의 탐색. 통합인문학연구, 10(2), 123-158.
  • 이혜민, 신현군, 김윤희(2013) 노인 무용참여를 통한 성공적인 노화경험. 한국스포츠학회지, 11(3), 121-133.
  • 이호훈(2017) 엑티브 에이징 실현을 위한 노인스포츠지도사의 지도역량 우선순위 분석. 한국스포츠학회지, 15(1), 347-357
  • 장은하, 조대연(2022). 한국 노년기 성인의 역량개발을 위한 요구도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23), 627-646.
  • 전미현(2014). 소매틱적 겁근을 통한 움직임교육이 노인들의 몸(Soma)에 미치는 영향. 무용예술학연구, 49(4), 101-121.
  • 전태준, 김동아(2017). 노인운동지도자의 교육신념과 노인들의 건강관련태도 및 여가욕구의 관계. 한국웰니스학회지, 12(2), 217-226.
  • 정미선, 정진옥(2020). 노인 여성의 한국무용몰입이 자아존중감과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영남춤학회誌, 8(1), 175-199.
  • 정윤하(2015). 무용활동과 노인 심리건강의 관계 분석.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19, 613-621.
  • 조은영, 진지형(2013), 노인종합복지관 체육지도자들의 태도에 관한 사례연구. 글로벌시니어건강증진개발원논문집, 3(2), 49-58.
  • 최경희(2011). 사회적 소통으로서 무용교육의 힘. 한국예술연구, (3), 85-109.
  • 최환석(2015). 노인스포츠 지도자의 의사소통능력이 참여자의 감정반응과 긍정적 자기관리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54(2), 441-450.
  • 한국문화정책연구소, 안태호, 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2018). 경기도 노년층 문화예술교육 조사 및 발전 방향 연구 ; 2018 경기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지원사업 기획공모. 경기문화재단.
  • 한정란, 윤소영(2015). 정책수요자 요구에 근거한 노인 문화예술교육의 방향제안. 노년교육연구, 1(1), 69-89.
  • 황정옥(2018). 문화예술교육에서 무용교육의 위치와 기능. 공연문화연구, (36), 531-551.
  • Creswell, J. W.(2013). Qualitative inquiry &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 조흥식, 정선욱, 김진숙, 권지성 공역(2015). 질적 연구방법론: 다섯 가지 접근. 서울: 학지사
  • Moustakas, C.(1994).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s . Thousand Oaks, CA: Sage. [https://doi.org/10.4135/97814129956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