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Article ]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Vol. 40, No. 2, pp.1-11
ISSN: 1229-7836 (Print) 2713-6949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0 Apr 2023
Received 28 Feb 2023 Revised 03 Apr 2023 Accepted 03 Apr 2023
DOI: https://doi.org/10.21539/Ksds.2023.40.2.1

무용전공 대학생의 감성지능, 자기효능감 및 자아실현의 관계

이윤경*
*세종대학교 박사 olivegreen01@hanmail.net
The Relationship among Emotional Intelligence, Self-Efficacy and Self-Realization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Dance
Yoonkyung Lee*
*Phd, Department of Dance, Sejong University olivegreen01@hanmail.net


CopyrightⒸ 2023 by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초록

본 연구는 무용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감성지능과 자기효능감 및 자아실현의 관련성을 규명하고 예술무용인으로서 성장하기 위한 과정에 있는 무용수의 양성 및 목표달성에 기여하고자 하는 목적하에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22년 4월 중 서울 및 경기도 소재 7개 대학교의 무용학과 재학생을 대상으로 배포한 설문지 총 370부 중 323부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는 빈도분석, 타당도 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 분석 등을 SPSS 23.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연구를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무용전공 대학생의 감성지능이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무용전공 대학생의 감성지능이 자아실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무용전공 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이 자아실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무용전공 대학생의 감성지능을 향상하게 하는 것은 무용수의 자기효능감 향상으로 이어져 무용수의 예술적 성취로 최고 수준의 무용예술인이 되려는 목표달성에 기여하고 자아실현에 이바지할 수 있다는 사실을 규명하였다. 이는 무용 전공자의 지도법이나 관련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무용교육 관련 지식체 형성에 기여하고 전반적 무용계의 발전에도 이바지할 것을 기대할 수 있다.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emotional intelligence, self-efficacy, and self-realization for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dance, and to contribute to the training of dancers and the achievement of dancers' goals in the process of growing as art dancer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323 out of a total of 370 questionnaires distributed to dance students from six universitie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in April 2022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is study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validit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23.0 statistical program, and the following studies were derived. First, it was found that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dance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self-efficacy.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dance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self-realization. Third, it was found that the self-efficacy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dance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self-realization. Therefore, this study found that improving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dance majors can lead to the improvement of the dancer's self-efficacy, contributing to the achievement of the dancer's goal of becoming the highest-quality dance artist. This can b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a knowledge body related to dance education that constitutes the guidance method or related programs of dance majors and to the development of the overall dance world.

Keywords:

Emotional Intelligence, Self-Efficacy, Self-Realization,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Dance

키워드:

감성지능, 자기효능감, 자아실현, 무용전공 대학생

References

  • 권수진(2022,8,30). 인간욕구 단계를 통한 꿈과 희망, 위대한 도전!. 대경일보. https://www.dk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374979, .
  • 김경남, 최성희(2005). 무용활동 참가와 몰입경험 및 자아실현의 관계. 대한무용학회논문집, 44, 1-18.
  • 김민지(2020). 무용전공 대학생의 감성지능이 자기조절과 스트레스 대처에 미치는 영향. 대한무용학회 논문집, 78(6), 57-74.
  • 김아영, 차정은(1996). 자기효능감과 측정. 산업 및 조직심리학회 동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51-64.
  • 김영미(2000). 무용참가와 자아실현의 관계.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 김영미, 한혜원(2009). 무용전공 대학생의 무용몰입 경험이 자기효능감과 무용활동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과학회, 19, 95-111.
  • 김전미(2003). 무용전공 대학생의 자아실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탐색. 한국체육학회지, 42(5), 621-630.
  • 김혜림(2003). 무용 전공자의 경력수준이 자아실현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학회지, 1(2), 259-264.
  • 나용근, 윤선미, 노수정(2015). 서비스 실패상황에서 여행기업 종사원의 감성지능이 서비스회복노력에 미치는 영향 - 고객지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대한관광경영학회지, 30(2), 249-273.
  • 박소현, 차수정(2020. 무용전공대학생의 감성지능이 자기효능감 및 무용몰입에 미치는 영향. 대한무용학회논문집, 78(6), 141-154.
  • 박주영(2022.10.6.). 자원봉사활동과 자아실현. 경상일보. http://www.ksilbo.co.kr/news/articleView.html?idxno=948787, .
  • 배주희(2019.10.23.). 자녀의 행복한 삶을 바란다면...감성지수(EQ)에 주목해야. 마인드포스트. http://www.mindpost.co.kr/news/articleView.html?idxno=2884, .
  • 성지선(2021). 발레 전공 대학생이 인지한 교수 감성지능이 자기효능감, 학습만족, 학업지속의도에 끼치는 영향 연구. 한국무용교육학회지, 32(1), 187-206.
  • 소현주, 차수정(2018). 무용교사의 지도유형이 무용전공 고등학생의 감성지능 및 무용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연구, 36(4), 115-139.
  • 신미진, 송용관, 이철(2011). 무용전공 대학생의 자기관리, 자기효능감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한국체육학회, 50(4), 333-346.
  • 안찬호, 한진욱(2017). 프로스포츠 구단의 모바일 앱 사용에 대한 프라이버시 염려가치 지속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금전적 보상 및 서비스 혜택의 조절효과. 한국체육학회지, 56(5), 387-402.
  • 양수진, 송영수(2015). 대학생의 셀프리더십 수준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감성지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22(12), 443-470.
  • 어수웅(2017.3.21.). AI에 수학·과학 맡기고, 우린 감정지능 과목 만들자. 조선일보. https://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3/21/2017032100223.html, .
  • 이다혜(2018). 대학 교양무용 참여에 따른 자기효능감 및 전공몰입 변화. 대한무용학회, 76, 2, 88-102.
  • 이승국(2006). 감성지능과 진로발달의 관계. 소년보호연구, 6, 161-186.
  • 이윤정, 서희정(2018). 연기정공대학생의 감성지능이 자아탄력성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한국무용 경험을 통하여. 한국체육학회지, 57(6), 203-215.
  • 이인정, 최해경(2020).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파주: 나남출판사.
  • 이현정(2019). 무용전공 대학생의 감성지능이 셀프리더십과 진로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58(3), 305-316.
  • 정상열, 박명규(2017). 커피전문점 종사원의 감성지능과 조직시민행동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관광연구학회, 31(3), 191-206.
  • 정윤정(2013). 자기효능감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 조선영(2018). 무용전공 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이 감성지능 및 취업역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연구, 36(1), 119-140.
  • 조훈일, 권은주(2004). 무용수업 참여가 자기효능감 및 자아실현에 미치는 영향. 대한무용학회논문집, 41, 171-187.
  • 지삼업, 이영경, 임연희(2012). 무용전공 중, 고등학생의 자기관리 능력이 자아성취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학회지, 12(1), 103-111.
  • 허진영, 권형수(2009). 무용전공 대학생의 감성지능과 자아실현의 관계이해. 대한무용학회지, 58, 315-335.
  • 홍정아, 민현주(2013). 예술고등학교 무용전공학생의 자아실현이 무용정서 및 무용능력성취에 미치는 영향. 대한무용학회논문집, 71(2), 267-282.
  • 홍혜전, 한혜원(2022). 무용전공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이 자기효능감과 무용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학회지, 22(3), 87-98.
  • Bandura, A.(1982). Self-efficacy mechanism in human agency. American Psychologist, 37 (2), 122-147 [https://doi.org/10.1037/0003-066X.37.2.122]
  • Bandura, A.(1997).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 New York: Freeman.
  • Caruso, D. R. & Wolfe, C. J.(2001). Emotional intelligence in the workplace. In Ciarrochi, J., Forgas, J. P., & Mayer, J. D. (Eds.), Emotional intelligence in everyday life: A scientific inquiry. Philadelphia: Taylor & Francis.
  • Maslow, A. H. (1970). Motivation and Personality. New York : Haper & Row.
  • Shostrom, E. L.(1976). Actualizing therapy: Fundamentals for a scientific ethic . Sandiego, CA:Deits.
  • Wong, C. S.,& Law, K. S. (2002). The effects of leader and follower emotional intelligence on performance and attitude: An exploratory study. The Leadership Quarterly, 13 (3), 243-274. [https://doi.org/10.1016/S1048-9843(02)0009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