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Article ]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Vol. 40, No. 1, pp.85-98
ISSN: 1229-7836 (Print) 2713-6949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1 Jan 2023
Received 29 Nov 2022 Revised 02 Jan 2023 Accepted 18 Jan 2023
DOI: https://doi.org/10.21539/Ksds.2023.40.1.85

평양검무의 전승과 활성화 모색을 위한 분석연구

이득춘*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공연예술경영학과 박사과정 ldc4111@naver.com
Analysis on the Transmission and Revitalization of Pyongyang Sword Dance
Deukchun Lee*
*Ph.D. Candidate in Dept. of Performing Arts Management, Sanmyung University


CopyrightⒸ 2023 by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초록

본 연구는 평양검무의 활성화 방안 모색을 위한 분석 연구로서 한국 무용전공생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 및 평양 검무 전문가 2인과 문화재위원 2인 총 4명의 전문가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평양검무는 무형문화재 전문위원들과 함께 3회의 원형복원 과정을 진행하였고 현재 평양검무보존회에서 전문가 양성교육과 공연을 통해 전승을 이어가고 있으며, 그 원류가 북한 지역이나, 현재는 남한에서도 복원과 전승을 한정적으로 이어가고 있다. 평양검무는 남북한의 분단 상황을 넘어서는 보존과 전승의 가치가 있다. 평양검무에 관한 무용인들의 인식은 있으나 적은 횟수의 공연과 홍보 부족으로 인하여 대중성이 떨어진다. 다른 검무에 비해 평양검무는 춤사위가 크고 활발하며 머리 윗 사위가 주조를 이루는 차별성을 가지는데, 특히, 팔 위에 칼을 얹지 않고 손목을 돌려 칼을 돌리는 돌림사위 동작은 예술적 가치로서 의미가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평양검무의 활성화를 위해서, 공연의 레퍼토리를 개발하고 교육의 기회 제공을 통해 다양한 홍보가 진행되어야 한다. 평양검무를 이어갈 수 있는 전문성을 갖춘 무용인을 지속적으로 양성해야 하고, 다양한 평양검무 관련 콘텐츠가 개발됨으로써 대중들에게 관람의 기회가 증대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야 하는 과제를 안겨주고 있다. 이상을 바탕으로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의 설명력을 높이기 위해서 확률적 표집을 만들어서 제시해야 한다. 둘째, 후속 연구에서 평양검무의 다양한 콘텐츠 프로그램을 조사, 분석하고, 그것이 대중의 인지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한 연구 결과를 제시한다. 셋째, 전통 무용의 범위에서 평양검무가 가지는 위상을 넓히고, 평양검무가 전통 무용 발전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역할에 대해서 추가 연구를 해야 할 것이라 사료된다.

Abstract

As an analytical study to find ways to revitalize Pyongyang Sword Dance, 200 Korean dance majors were surveyed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a total of 4 experts, 2 experts in Pyongyang Sword Dance and 2 members of cultural heritage. Pyongyang Sword Dance has been restored to its original form three times with experts in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and the Pyongyang Sword Dance Preservation Society continues to pass it down through expert training and performances. continues on a limited basis. Pyongyang Sword Dance is worth preserving and transmitting beyond the situation of division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Dancers are aware of Pyongyang Sword Dance, but its popularity is low due to the small number of performances and lack of publicity. Compared to other sword dances, Pyongyang Sword Dance has large and lively dance movements, and the top of the head is the main focus. In particular, the turning movement, in which the sword is turned by turning the wrist without placing the sword on the arm, is meaningful as an artistic value.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n order to revitalize Pyongyang Sword Dance a variety of publicity should be conducted through developing a performance repertoire and providing educational opportunities.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nurture dancers with expertise to continue Pyongyang Sword Dance, and as various contents related to Pyongyang Sword Dance are developed, the public is given the task of creating an environment in which opportunities for viewing can be increased. Based on the above, suggestions for follow-up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increase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study, a probabilistic sampling should be created and presented. Second, in follow-up research, various contents programs of Pyongyang Sword Dance are investigated and analyzed, and research results on how they affect public awareness are presented. Third, it is considered that the status of Pyongyang Sword Dance should be expanded in the scope of traditional dance, and additional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on the role that Pyongyang Sword Dance can help in the development of traditional dance.

Keywords:

Sword dance, Pyongyang Sword Dance, Intangible cultural assets, Dace contents

키워드:

검무, 평양검무, 무형문화재, 무용 콘텐츠

References

  • 김권택(2009). 검무의 미학적 특성과 가치. 움직임의 철학. 한국체육철학회지, 17(1).
  • 김미경(2012). 무형문화재 정책 및 운영의 발전 방안 연구. 박사학위논문. 배재대학교 대학원.
  • 김영란(2005). 평양검무와 진주검무의 비교연구. 석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 김영희(2009). 한국 근대춤에서 검무의 변화 연구. 한국무용사학, 10.
  • 김영희(2016). <검무> 구조의 분석 : 문헌과 음악을 중심으로. 공연과 리뷰, 23(2).
  • 김운태(1998). 한국 검무사 연구. 석사학위논문. 청주대학교 대학원.
  • 김선정, 최해리(2022). 무형문화재 ‘전통무용’의 개념과 범주에 대한 재고찰. 한국무용과학지, 39(3).
  • 김효순(2003). 중요무형문화재 무용분야 지정 현황 비교 조사 연구. 무용역사기록학, 4.
  • 강인숙(2016). 무형문화재법 변화에 따른 무용 무형유산의 조사 방안. 무형유산, 1.
  • 강인숙(2018). 국가와 시·도 무형문화재 무용 종목 전승 현장의 당면 과제. 무형유산, 5.
  • 민태금(1984). 해주검무와 진주검무의 비교연구.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 박경미(2005). 해주검무의 춤사위 고찰.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 박은영(2002). 시대별로 보는 한국의 검무. 민족무용, 2.
  • 서문현(2017). 시, 도지정 무형문화재 <무용부분>운영 현황에 따른 발전 방안연구. 박사학위논문. 세종대학교 대학원.
  • 신현규(2017). 융복합의 공간, 평양기생학교. 한국문화융합학회 2017년 하계학술대회 자료집.
  • 심승구(2010). 궁중무용에서 본 남북한 무용의 문화 특성. 한국무용 연구, 28(2).
  • 이병옥(1999). 중요무형문화재 지정에 따른 연구성과와 과제: 무용분야. 문화재, 32.
  • 이지연(2004). 이봉애의 평양검무.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 이재필(2018). 국가 및 시.도 무형문화재 제도 운영의 성과와 과제: 지정 제도 및 지정 현황을 중심으로. 무형유산, 5.
  • 이종숙(2016). <진주검무> 중요무형문화재 지정 이후의 변화에 관한 소고. 문화재, 49.
  • 임수정(2006). 검무(劍舞)의 진행방식에 관한 연구-여기(女妓) 검무를 중심으로. 동양예술, 11.
  • 임영순, 정은영(2015). 평양검무의 무용사적 가치. 움직임의 철학. 한국체육철학회지, 23(3).
  • 임영순(2017). 평양검무의 실체분석과 인지도에 관한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세종대학교 대학원.
  • 안병주, 민현주, 배수을(2002). 신무용(新舞踊) 계열의 남북한 검무 비교. 무용역사기록학, 3.
  • 양종승(2015). 문화재보호법과 이북5도 무형문화재. 한국전통공연예술학, 4.
  • 정수진(2003). 한국 무형문화재 제도의 성립: 그 사회적 조건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강대학원 대학원.
  • 조보라(2005). 평양검무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대학원.
  • 조남규(1998). 검무의 지역별 유형적 특이성에 관한 연구. 체육과학, 18(18).
  • 최희아(2021). 남한에서의 북한지역 기반 무형문화재 전승과 보존에 관한 제도 분석연구. 무용예술학 연구, 81(1).
  • 유안나(2020). 평양검무의 변천 과정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융합산업 대학원.
  • 황지윤(2005). 평양검무 춤사위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 김정녀, 성기숙(1996). 무형문화재 조사보고서 19 입춤, 한량무, 검무. 서울문화재관리국.
  • 민향숙(2016). 이론 전승 행보 무보 평양검무. 네오출판사. 서울 동대문.
  • 문화재청(2020). 제1차 남북문화유산 정책포럼.
  • 한국문화재관리국(1998). 重要無形文化財 調査報告書 : 사직대제·평양검무·해주검무. 단행본 국립중앙도서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