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틴댄스 활동이 비만여성의 혈관내피세포 변인 및 혈관조절인자에 미치는 영향
CopyrightⒸ 2023 by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16주간의 라틴댄스 활동이 비만 여성들의 혈관내피세포 변인 및 내피기능 조절인자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모집광고를 통해 수집된 비만여성을 대상으로 신체적 동질성 여부를 검사한 후 모집단 내의 체계적 표집(systematic sampling)방법을 이용하여 선정된 비만 실험군 10명, 비만 통제군 10명을 대상으로 In body 3.0을 이용한 체지방률의 측정과 pulse wave doppler를 이용하여 FMD를 검사하고 VEGF, NO 및 ET-1을 혈액 분석에서 나타난 자료를 이원반복분산분석(two-way repeated ANOVA)으로 처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만여성의 혈관내피세포 변인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상완동맥의 혈류매개 혈관확장반응(FMD)에서 실험군은 36.2%의 다소 높은 증가 비율을 나타냈으며, 혈중의 혈관내피성장인자(VEGF)도 실험군의 경우 13.7%로 증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비만여성의 혈관조절인자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산화질소(NO)는 실험군은 24.4%의 높은 증가 비율을 나타냈으며, 엔도텔린1(ET-1)의 경우 실험군은 46.7%의 유의하게 높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쩨, 체지방률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체지방률은 실험군의 경우 사전에 비해 사후 21.1%로 유의하게 높은 비율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변인 별 통제군의 통계적인 변화는 없었다. 요약하면, 비만여성의 체지방율의 감소와 FMD 및 VEGF의 증가와 연관된 NO와 ET-1의 변화를 통해 장기간의 라틴댄스 활동에 적응된 혈관내피세포 변인은 혈관조절인자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연관성을 관찰 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라틴댄스 프로그램은 여성들의 비만 해소와 함께 혈관내피세포의 개선 및 혈관조절인자들의 혈관 내피기능 조절에 매우 유익한 효과를 미친 것으로 해석되며, 이후 비만 인의 체내 지방조절과 더불어 혈관내피의 탄력성과 혈관조절인자의 기능적 개선을 위한 효과적인 유산소 운동으로 제시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16 weeks of Latin dance activity on vascular endothelial cell variables and endothelial function regulators in obese women. To carry out this purpose, after examining the physical homogeneity of obese women collected through recruitment advertisements, 10 obese experimental groups and 10 obese control groups were selected using the systematic sampling method in the population. As a result, the measurement of body fat percentage using In body 3.0 and the FMD test using pulse wave doppler, and the data shown in blood analysis for VEGF, NO, and ET-1 were processed by two-way repeated ANOVA.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hanges in vascular endothelial cell parameters in obese wome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rather high increase rate of 36.2% in the brachial artery blood flow-mediated vascular dilation(FMD), and the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VEGF) in the blood also in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increase found in 13.7% of cases.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changes in vasomodulators in obese women, nitric oxide(NO) showed a high increase rate of 24.4%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endothelin 1(ET-1) showed a significantly high decrease of 46.7% in the experimental group.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hange in body fat percentage, it was found that the body fat percentage decreased at a significantly higher rate in the experimental group by 21.1% post-mortem than before. There was no statistical change in the control group for each variable. In summary, through changes in NO and ET-1 associated with a decrease in body fat percentage and an increase in FMD and VEGF in obese women, vascular endothelial cell variables adapted to long-term Latin dance activities are sensitive to changes in vascular regulators. Therefore, it is interpreted that the Latin dance program in this study had a very beneficial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vascular endothelial cells and the regulation of vascular endothelial function of vascular regulators, along with the relief of obesity in women. It is suggested as an effective aerobic exercise for functional improvement of blood pressure and vascular control factors.
Keywords:
Latin dance, Obese women, Vascular endothelial cells, Vascular regulators키워드:
라틴댄스, 비만여성, 혈관내피세포, 혈관조절인자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2022년도 전주교육대학교 국립대학 육성사업의 연구비 지원으로 수행하였음.
This thesis was carried out with the research fund support of Jeon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 2022.
References
- 김기진(2019). 12주간의 복합운동이 대사증후군 동반 40대 비만여성의 경동맥 내중막 두께, 혈관기능관련 염증 유발요인 및 체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스포츠의학회지, 37(4), 184-194.
- 김보성, 하수민, 김종원, 김수진, 김도연(2020). 걷기와 탄력밴드 운동이 제2형 당뇨 여성노인의 혈중지질, 엔도텔린-1 및 혈관내피성장인자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성체육학회지, 34(4), 123-139.
- 김은희, 홍가람, 이슬희, 정현훈, 박상갑(2018). 고혈압 노인의 장수운동프로그램이 산화질소(NO) 및 엔도텔린(ET-1) 농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57(33), 335-344.
- 김영일(2021). 운동형태의 차이가 뇌신경성장인자 및 혈관신생인자에 미치는 영향. 코칭능력개발지, 23(3), 190-198.
- 김은숙, 최희연(2014). 댄스스포츠 참여가 비만 중년여성의 혈관계 변인 및 렙틴 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과학회지, 30(4), 67~80.
- 김태수, 윤진환, 이병기, 장창현(2014). 걷기운동이 신경영양인자 조절을 통한 여성노인의 신경인지적인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55(2), 559-571.
- 김혜빈, 윤재량(2016). 16주간 댄스스포츠 트레이닝이 여자 초등학생의 신체조성, 신체정렬 및 유산소성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학회지, 14(3), 525-534.
- 박종임(2018). 댄스스포츠 프로그램이 비만 중년여성의 신체구성, 혈중지질 및 스트레스 호르몬에 미치는 영 향, 한국스포츠학회지, 16(3), 503-512.
- 이채산, 이경희(2017). 차차차 댄스운동이 비만남자대학 생의 신체조성, 동맥경직도 및 사이토카인에 미치는 효과. 한국웰니스학회지, 13(2), 573-585.
- 오수일, 신혜숙, 황예선(2012). 무용과 댄스스포츠 전공별 여중생의 신체구성 및 체력 분석. 한국무용과학회지, 26, 135- 144.
- 우민정(2010). 운동과 인지기능과의 관계: 뇌 과학적 증거에 관한 문헌고찰. 한국체육학회지, 49(2), 133-146.
- 윤관수, 김경애, 이만균(2020). 10주간의 복합운동이 제2형 당뇨병 노인의 인슐린 저항성, 심혈관기능 및 혈관내피세포 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59(3), 363-374.
- 안나영, 김기진(2008). 규칙적인 운동이 순환계 질환의 내피 기능에 미치는 영향. 대한비만학회지, 17(1), 1-9.
- 양상훈, 김종식(2020) 유도훈련이 경호전공 비만 남자대학생들의 대사증후군, 인슐린 저항성 및 혈관내피 성장인자에 미치는 영향. 시큐리티 연구, 65, 425-451.
- 조은아(2015). 인터벌트레이닝이 고혈압환자의 혈압 및 혈관내피기능에 마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 전용균, 박상규(2020). 강도별 유산소운동이 청소년의 NGF, VEGF와 DHEAs에 미치는 영향. 한국웰니스학회지, 15(2), 525-533.
- 장용우(2022). 16주간의 웨이트트레이닝이 비만여성의 동맥혈류 및 혈관조절변인에 미치는 영향. 한국웰니스학회지, 17(1), 425-435.
- 장용우, 송지환(2020). 댄스스포츠 활동이 비만 아동의 혈류속도 및 혈관 조절인자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체육학회지, 26(2), 159-168.
- 장용우(2013). 댄스스포츠 참여가 중년여성들의 대퇴부 근력 및 동맥 혈류속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웰니스학회, 8(3), 199-208.
- 체육과학연구원(2000). 전문가를 위한 최신 운동처방론. 서울: 21세기교육사.
- Ahmadi-Abhari, S., Sabia, S., Shipley, M. J., et al.(2017). Physical activity, sedentary behavior, and long-term changes in aortic stiffness: the Whitehall II study. J Am Heart Assoc, 6:e005974. [https://doi.org/10.1161/JAHA.117.005974]
- Barhoumi, T., Briet, M., Kasal, D. A., Fraulob-Aquino, J. C., Idris-Khodja, N., Laurant, P. & Schiffrin, E. L.(2014). Erythropoietininduced hypertension and vascular injury in mice overexpressing human endothelin-1: Exercise attenuated hypertension, oxidative stress, inflammation and immune response. Journal of hypertension, 32(4), 784-794. [https://doi.org/10.1097/HJH.0000000000000101]
- Bots, M. L., Westerink, J., Rabelink, T. J. & de Koning, E. J.(2005). Assessment of flowꠓmediated dilatation (FMD) of the brachial artery: Effects of technical aspects of the FMD measurement on the FMD response. European Heart Journal, 26(4), 363-368. [https://doi.org/10.1093/eurheartj/ehi017]
- Brinkley, T. E., Fenty-Stewart, N. M., Park, J. Y., Brown, M. D. & Hagberg, J. M.(2009). Plasma nitrate/nitrite levels are unchanged after long-term aerobic exercise training in older adults. Nitric Oxide, 21(3-4), 234-238. [https://doi.org/10.1016/j.niox.2009.10.001]
- Brixius, K., Schoenberger, S., Ladage, D., Knigge, H., Falkowski, G., Hellmich, M., Graf, C., Latsch, J., Montiel, G., Predel, G. & Bloch, W.(2007). Longterm Endurance Exercise decreases the Antiangiogenic Endostatin Signaling in adipose men aged between 50-60 years. British Journal of Sports Medicine, 23, 1-12. [https://doi.org/10.1136/bjsm.2007.035188]
- D’Antoni, S., Ranno, E., Spatuzza, M., Cavallaro, S. & Catania, M. V.(2017). Endothelin-1 Induces Degenerat- ion of Cultured Motor Neurons Through a Mechanism Mediated by Nitric Oxide and PI3K/Akt Pathway. Neurotoxicity research, 32(1), 58-70. [https://doi.org/10.1007/s12640-017-9711-3]
- Goto, C., Higashi, Y., Kimura, M., Noma, K., Hara, K. & Nakagawa, K.(2003). The effect of different intensities of exercise on endothelium-dependent vasodilation in humans: role of endothelium-dependent vasodilation nitric oxide and oxidative stress. Circulation, 108(5), 530-5. [https://doi.org/10.1161/01.CIR.0000080893.55729.28]
- Green, D. J., Maiorana, A., O'Driscoll, G. & Taylor, R.(2004). Effect of exercise training on endothelium -derived nitric oxide function in humans. The Journal of Physiology, 561(1), 1-25. [https://doi.org/10.1113/jphysiol.2004.068197]
- Hanna, K., Gaggin, H. K., Truong, Q. A., Gandhi, P. U., Motiwala, S. R., Belcher, A. M., Weiner, R. B. & Januzzi, J. L.(2017). Systematic Evaluation of Endothelin 1 Measurement Relative to Traditional and Modern Biomarkers for Clinical Assessment and Prognosis in Patients With Chronic Systolic Heart FailureSerial Measurement and Multimarker Testing.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pathology, 147(5), 461-472. [https://doi.org/10.1093/ajcp/aqx014]
- Kemi, O. J., Haram, P. M., Loennechen, J. P., Osnes, J. B., Skomedal, T. & Wisløff, U.(2005) Moderate vs. high exercise intensity: Differential effects on aerobic fitness, cardiomyocyte contractility, and endothelial function. Cardiovasc Res, 67(1), 161-72. [https://doi.org/10.1016/j.cardiores.2005.03.010]
- Miyazawa-Hoshimoto, S., Takahashi, K., Bujo, H., Hashimoto, N. & Saito, Y.(2003). Elevated serum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is associated with visceral fat accumulation in human obese subjects. Diabetologia, 46(11), 1483-1488. [https://doi.org/10.1007/s00125-003-1221-6]
- Silha, J. V., Krsek, M., Sucharda, P., & Murphy, L. J.(2005). Angiogenic factors are elevated in overweight and obese indiviꠓduals. Int. J. Obes., 29(11), 1308-1314. [https://doi.org/10.1038/sj.ijo.0802987]
- Zaros, P. R., Pires, C. E. R., Bacci, M., Moraes, C. & Zanesco, A.(2009). Effect of 6-months of physical exercise on the nitrate/nitrite levels in hypertensive postmenopausal women. BMC Women's Health, 9(1), 17. [https://doi.org/10.1186/1472-6874-9-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