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Article ]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Vol. 39, No. 4, pp.21-36
ISSN: 1229-7836 (Print) 2713-6949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1 Oct 2022
Received 30 Aug 2022 Revised 11 Oct 2022 Accepted 24 Oct 2022
DOI: https://doi.org/10.21539/Ksds.2022.39.4.21

코로나 이후 무용 공연 활성화를 위한 빅데이터 분석과 전략적 활용 : 텍스트 마이닝의 네트워크와 토픽 모델링 분석

조남규* ; 김혜림**
*상명대학교 문화기술대학원 공연예술 경영학과 교수 cng1222@hanmail.net
**상명대학교 문화기술대학원 공연예술 경영학과 박사과정 khr0201kms@naver.com
Big data analysis and strategic utilization plan to revitalize dance performances after COVID-19: Text mining network and topic modeling analysis
Namgyu Cho* ; Hyehreem Kim**
*Professor of Performing Arts Management at Sangmyu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Culture and Technology
**Ph.D. in the Department of Performing Arts Management at Sangmyu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Culture and Technology


CopyrightⒸ 2022 by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초록

본 연구는 빅 데이터 분석 기술을 활용하여 무용 공연 소비자를 대상으로 코로나 이후 국내 무용 공연에 대한 인식과 태도, 트랜드 변화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무용 공연 예술 관련 온라인 댓글과 뉴스 텍스트를 코로나 이전과 이후로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특히 토픽 모델링 분석으로 코로나 전후의 무용 공연 예술에 대한 소비자들의 태도 및 소비 행동 변화의 주요 요인과 이를 유형화하여 코로나 팬데믹 이후 무용 공연 예술의 경영 활동과 관련된 시사점들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코로나 이후에는 ‘가요’, ‘클래식’, ‘배우’, ‘합창’, ‘역사’ 등과 같은 코로나 이전에 찾아 볼 수 없는 주요 단어들이 많이 나타났다. 또한 코로나 이후에는 특정한 공간으로 관객을 유인하는 새로운 공연 문화가 나타났고, 새로운 장르로서 융·복합 공연이 활성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볼 때, 코로나 이후 융·복합 무용공연의 다양성을 늘리고, 온라인 공연 플랫폼 등을 통해 온라인 공연을 확대시키며, 새로운 무용 공연 장르 개발을 통해 관객층을 확대시키는 전략이 무용 공연 대중화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onsumers of dance performances by using big data analysis technology to see the change in perception, attitude, and trend of domestic dance performances after COVID-19. For this purpose, in this study, texts from online comments and news related to domestic dance performanc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before and after COVID-19. In particular, by topic modeling analysis, the main factors of the changes in consumer attitudes and consumption behavior toward dance performances before and after COVID-19 and these were typified to suggest implications related to the business management of dance performance after the COVID-19 pandemic.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fter COVID-19, there are many new key words that cannot be found before COVID-19, such as 'pop', 'classic', 'actor', 'chorus', and 'history'. In addition, after COVID-19, attracting audiences to a specific space seemed to be a new performance culture, and convergence and complex performances were seen as a new genre. The results of this study reflect that it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popularization by increasing the diversity of convergence and complex dance performances, expanding online performances through online performance platforms, and expanding the audience through the development of new dance performance genres.

Keywords:

Dance performances, consumer, text mining, topic modeling

키워드:

무용공연, 소비자, 텍스트 마이닝, 토픽 모델링

References

  • 권리안, 차수정(2018). SNS 프로슈머 마케팅을 활용한 무용공연의 관람만족 관계의 질, 장기적 관계지향성과의 관계. 한국무용연구, 36(1), 1-29.
  • 고정숙(2008). 한국 전통무용공연 마케팅 믹스요인과 재방문의사 관계에서 관여도의 매개효과 검증. 대한무용학회논문집, 57(57), 19-36.
  • 구은자, 안성식(2017). 선호하는 공연예술 장르별로 SNS 활용이 공연예술소비자의 향후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17(6), 169-179.
  • 김지영, 김은혜, 이지영(2019). 텍스트 마이닝 및 의미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무용 경영 연구 동향과 지식구조 분석.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24(3), 85-103.
  • 김진각(2003). 무용 관객 성향과 관심도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 김효정(2011). 소비자의 공연선택요인이 무용공연 관람태도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미간행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 남인용, 백경옥(2012). 공연소비자의 관람행태와 미디어 이용. 예술경영연구, 21, 5-29.
  • 문화향수실태조사(2018). 문화관광부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 백맹(2017). 공연예술 성공사례 분석을 통한 무용공연 활성화 방안 연구 : 한국과 중국의 공연예술 현황을 중심으로(1). 석사학위논문, 상명대학교 대학원.
  • 백승주(2005). 무용공연의 관객증대를 위한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연구: 경기도 지역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스포츠과학대학원.
  • 송미숙(2006). 무용공연관람을 위한 소비자 구매행동분석-서울. 경기무용단을 중심으로. 대한무용학회논문집, 46(46), 85-106.
  • 신현지(2016). 무용단체의 SNS 활용과 무용단 신뢰, 관계 몰입 및 충성도와의 구조적관계. 박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 안정훈(2011). 무용 공연 활성화 촉진을 위한 전략과 관객행동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대학원.
  • 이다혜(2021). 소셜 빅 데이터를 이용한 온라인 공연 트렌드 분석 및 개발 전략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상명대학교 대학원.
  • 이용건, 주형철(2020).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발레공연 활성화 전략. Asi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of Sport Science(AJPESS), 8(3), 75-88.
  • 이은선, 김화례(2011). 무용공연장에서 마케팅믹스요인이 관객만족과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무용학회논문집, 69(69), 91-108.
  • 이정민( 2017). 무용학의 지적 구조 분석 연구 : 텍스트 마이닝 기반의 빅 데이터 분석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 이정학(2006). 관람 소비수준에 따른 마케팅믹스 요인이 무용공연 만족도 및 재 관람 의도에 미치는 영향. 체육과학연구, 17(4), 156-163.
  • 정지윤(2011). 무용 관객 개발을 위한 감성 마케팅 전략에 관한 연구: 무용축제와 경연대회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대학원.
  • 조선하(2005). 무용공연 예술 산업 활성화를 위한 관객유입 전략. 박사학위논문, 목포 대학원.
  • 채훈화(2017). 무용공연의 마케팅믹스요인, 관람동기, 관계의 질, 소비행동의도의 관계. 박사학위논문, 조선대학교 대학원.
  • 황보현(2021). SNS 마케팅 프로모션이 공연 예술 소비자의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연구: 1인 예술 공연자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인천대학교 경영대학원.

<언론보도자료>

  • 원요한(2016,8.17.). 공연예술의 특성 살펴보기. 매일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