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대면 실기 수업을 위한 온라인 무용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기초 조사 연구
CopyrightⒸ 2022 by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초록
이 연구는 COVID 19로 인해 시도된 네트워크를 활용한 비대면 온라인 무용 실기 교육프로그램을 개발에 관한 기초조사를 수행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는 기술과 융합횐 교육형태로서 온라인 무용 실기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진행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무용 실기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서 다양한 교육 매체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 과정에서 무용 실기 내용에 필요한 스토리텔링, 레터링, 움직임 촬영 내용 구성, 교수법 개발 등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온라인 무용 실기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서 교수자와 학생들의 원활한 소통을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예를 들면 블렌디드 러닝과 같이 교수자가 실시간 스트리밍을 통해서 학습자와 채팅으로 만나는 방식을 도입하여 움직임을 수행하면서 학생들과 실시간 소통하는 교육 방식을 체계적으로 만드는 과정을 유도할 수 있다. 셋째, 온라인 무용 실기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영상제작의 다양화를 유도할 필요성이 있다. 즉, 에듀테크 교육 방식을 활용하여 학생들이 자신의 수준에 맞는 수업을 선택하여 수업을 들을 수 있도록 유도하는 방법이 있다. 또한 영상을 다양한 방식으로 촬영하여 한 방향에서 수행하는 동작만을 보여주는 것이 아닌 몸의 부위별 동작의 모습을 보여주고, 방향에 따라 호흡의 방식 등을 세분화하여 촬영하여 동작을 보다 정확하게 이해시킬 수 있는 방식 등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an online dance practical education program for future education through a basic investigation to develop a non-face-to-face online dance practical education program using the network changed due to COVID 19. As a result, this study suggested the following directions for developing a non-face-to-face online dance practical education program. First, the development of online dance practical training programs requires the development of various educational media. Second, in order to develop an online dance practical education program, various methodologies are needed for smooth communication between instructors and students. Third, it is necessary to induce the diversification of video production in order to develop an online dance practical training program.
Keywords:
dance, dance education, COVID-19, online dance education, untact dance education키워드:
무용예술, 무용실기교육, 코로나, 온라인 무용실기교육, 언택트 무용교육References
- 강수인(2020).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무용교육 인식 및 방향성 제고에 대한 연구, 대한무용학회논문집, 78(3), 1-23.
- 강하라(2021). 예술고등학교의 효과적인 온라인 무용 실기 수업을 위한 현황분석 및 연구: 부산, 울산예고를 중심으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 고현정(2021), 트랜스리터러시 비대면 무용교육 사례를 통한 디지털 정체성 고찰. 한국무용교육학회지, 32(3), 19-29.
- 김규진(2020). 온라인 무용교육의 유형 분석 및 교육효과 차이 연구. 대한무용학회논문집, 78(5), 21-35.
- 김서진, 문영(2020). 포스트 코로나를 대비하는 예술교육: 언택트 시대의 몸 교육에 관한 소고. 대한무용학회논문집, 78(3), 87-100.
- 김소연, 박지연(2021). 교육대학 온라인 무용수업 사례와 학습자들의 학습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무용연구, 39(1), 53-76.
- 김정은(2020a). 온라인 무용수업에 있어 학습자들의 비언어적, 언어적 커뮤니케이션 방식에 따른 유형별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무용학회지, 20(3), 135-146.
- 김정은(2020b). 온라인 무용실기 수업에 있어 ‘원격현전’에 대한 학습자의 ‘공간감 체험’에 관한 연구. 대한무용학회논문집, 78(4), 27-43.
- 박상준(2020). 코로나 이후 미래교육. 서울: 교육과학사.
- 박영하(2021). 메타분석을 통한 4차 산업혁명 시대 대학무용교육의 방향. 대한무용학회논문집, 79(1), 57-71.
- 서예원(2021). 팬데믹 이후 대학무용교육의 변화. 무용예술학연구, 84(4), 81-98.
- 유혜진(2021), 코로나 시대 비대면 무용교육의 수업모형 개발 및 효과: 박금술 기본무를 중심으로. 예술교육연구, 19(1), 69-85.
- 윤소정, 신현군, 김정은(2021). 무용전공 학생들의 언택트 수업 경험에 관한 연구. 영남춤학회지, 9(1), 139-166.
- 윤성혜, 장지은, 임현진, 임지영(2019), 미래교육 인사이트. 서울: 지식과 감성.
- 이정민(2020). 언텍트 시대 가상 공간에서의 움직임과 소통: 미국 NDEO의 온라인 무용교육 사례 연구. 한국무용교육학회지, 31(3), 63-81.
- 이주호, 정제영, 정영식(2021). AI 교육혁명. 서울: 시원북스.
- 조은정(2021). 키넥트와 키넥트 SDK를 활용한 스마트 무용교육 학습콘텐츠 개발: ‘Kin-Dance’.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 교육부 - 교원이라면 알아야 한다는 그것 미래교육센터 총정리. 교육부 칼럼. https://blog.naver.com/moeblog/222416230070, 2022년 5월 2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