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Article ]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Vol. 39, No. 2, pp.63-79
ISSN: 1229-7836 (Print) 2713-6949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0 Apr 2022
Received 24 Feb 2022 Revised 05 Apr 2022 Accepted 21 Apr 2022
DOI: https://doi.org/10.21539/Ksds.2022.39.2.63

무용안무가의 예술지원사업 인식유형에 관한 Q방법론 연구

고신영*
*에리카한양대학교 예체능대학 무용학과 강사 sy00282@hanyang.ac.kr
Perception Types of Choreographers on Art Support Programs: A Q Methodological Study
Sinyoung Ko*
*Instructor of Dance Department of Hanyang University sy00282@hanyang.ac.kr


CopyrightⒸ 2022 by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초록

본 연구는 무용현장에서 실연과 창작의 경험이 있는 무용안무가 30명을 중심으로 2016년부터 2020년까지 참여하여 예술지원사업에서 얻게 된 경험과 인식을 유형별로 분석하고 다변화되는 예술지원사업의 발전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가지고 연구 Q방법론을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제1유형은 작품창작형으로 직접적인 지원이 온전히 작품에 중요도로 결부되는 유형으로 나타났다. 제2유형은 작품경제형으로 지원에 대한 기획과 투자의 중요도가 높은 유형으로 나타났다. 제3유형은 예술가의 행정형으로 인건비와 작품의 규모가 작품의 질적인 향상 여부를 결정하는 유형으로 나타났다. 제4유형은 예술가형으로 지원사업을 통해 예술가의 자부심과 작품활동을 가능하게 하는 유형으로 나타났다. 그동안 예술지원사업은 정부, 특정 재단의 목적과 진행 방식에 따라 공고되고 이에 예술가들이 지원하고 선정되는 수순으로 진행되어왔다. 이에 대한 무용 분야 전문가들의 의견이 지원사업의 방향에 영향을 주었는지는 알려진 바 없다. 이에 본 연구의 분석결과가 예술지원사업의 방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해야 할 것이며, 지원정책의 제도적 개선과 혁신의제 구현을 위한 구체적인 실행노력도 필요할 것이다.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by type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gained by 30 dancers with experience in performance and creation in the field of dance during art support projects from 2016 to 2020 and it conducted Q research methodology with the aim of presenting ways to develop diversified art support project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Type 1 was a work creation type, with which direct support was found to be entirely related to importance in the work. Type 2 was a work economy type, which placed importance on planning and investment regarding support. Type 3 was an artist administration type, with which labor costs and scale determined the qualitatively improvement of the work. Type 4 was an artist type that enabled artist pride and work activities through support projects. So far, art support programs have been announced by the government or specific foundations in accordance with their missions and process, and recipients were selected among the artists who applied for the programs. It is uncertain whether the experts' opinions in the field of professional dance have influenced the direction of the support programs. Further research is necessary to present ways in which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can affect the future directions of art support programs. More effort would also be needed to make systematic improvements to the support policy and realize the innovation agenda.

Keywords:

choreographer, art support program for professional dance, art support programs, perception types, Q methodology

키워드:

무용안무가, 무용예술지원, 예술지원사업, 인식유형, Q방법론

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고신영(2021)박사학위 논문에서 발췌하였음

References

  • 강명선(2004). 현대무용 안무가와 무용가의 심리상태가 즉흥표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대학원.
  • 강영아(2012). 안무가 성향에 따른 대전시립무용단의 정체성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 고정민, 장신정, 장윤정(2019). 문화예술지원사업 추진상의 쟁점과 정책방향 ‘시각예술창작산실 공간·전시 지원사업을 중심으로’. 한국예술경영학회, 52(1), 39-73.
  • 김미희(2016). 트리샤브라운(Trisha Brown)의 작품 에 나타난 포스트모더니즘에 관한 연구. 신문방송학 트랜스미디어연구소, 0(1), 1-19.
  • 김운미(2017). 4차산업시대 한국춤의 글로벌 확산 전략 소고. 우리춤과 과학기술, 39, 9-40.
  • 김은주(2020). Q방법론을 활용한 부모의 자녀가치 인식에 대한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 김정인(2014). 문화예술지원 거버넌스 분석, 기업 메세나 활동을 중심으로. 한국문화정책학회, 2, 1-23.
  • 김지영, 김형남, 윤정은(2015). 문화예술정책의 맥락에서 ‘일상생활 속 무용의 확산’: 문화 복지를 실현하기 위한 무용융성의 방안 모색. 한국체육학회지, 54(5), 691–703.
  • 김흥규(1992). 주관성(Subjectivity) 연구를 위한 Q 방법론의 이해. 서울대학교 간호대학연구소, 6(1), 1-11.
  • 백지연(2009). 젊은 안무가 지원 프로그램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상명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 오하진, 홍준희, 최우열(2019). 무용 안무의 은유적 표현이 정서와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9(6), 291-301.
  • 우혜영(2011). 무용예술 집중 육성을 위한 지원 정책의 뉴 거버넌스(New Governance) 모형.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 윤나영(2018). 청년 무용가의 창작지원사업 수혜 경험에 관한 연구 ‘청년 무용가에 있어서 관객의 의미를 중심으로’. 무용역사기록학회, 50, 35-58.
  • 유승관(2016). <한국 현대춤작가 12인전>의 작품 경향 연구 ‘남성 한국무용 안무가를 중심으로’. 무용역사기록학회 40 187-219.
  • 이경희(2005). 라반동작분석법을 통한 현대무용의 안무성향 ‘마사 그라함과 머스 커닝햄 작품을 중심으로’. 대한무용학회, 43(0) 225-240.
  • 이숙재, 곽지원(2009). 무용전용공간 지원사업의 개선방안. 한국무용학회, 9(1), 61-72.
  • 이순묵(1995). 아동 가족 연구를 위한 최신통계기법/요인분석, 한국아동학회, 1995(1), 47-75.
  • 장지연, 윤수미(2019). 한국무용 안무가가 인식하는 ‘한국창작춤’의 유형과 특성, 한국무용연구학회, 37(4) 175-202.
  • 조영미(2020). 남정호 작품의 특징 연구 -<유희Ⅰ>(1984), <풍선심장>(1986), <자화상>(1988)을 중심으로 영남춤학회誌, 8(3), 231-252.
  • 차은주, 김종희(2018). 전략적 사고를 적용한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 분석. 문화예술교육연구, 13(2), 21–46.
  • 한하경, 김인설(2020). 디지털 가상공간을 활용한 신규 공연예술 지원사업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문화예술경영학회, 20(6), 101-116.
  • 황혜영(2012). 국공립 문화예술단체의 문화 향유권 확대 방안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