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mbré, Arabésqué 동작의 기능적 훈련이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CopyrightⒸ 2022 by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초록
본 연구는 발레 동작 수행에 있어 기능적 훈련의 중요성에 주목하고, 이를 위한 교육방안의 과학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Cambré, Arabésqué의 기능적 훈련에 따른 근활성도를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발레 전공 대학생 9명을 선정하였으며, Cambré, Arabésqué 훈련 프로그램을 통해 주 3회, 8주간 훈련을 진행하였다. 실험은 16채널 무선 근전도 장비 Ultium ESP를 사용하여 척추기립근, 중둔근, 대둔근, 복직근의 근활성도를 측정하였다. 자료는 SPSS 24.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평균, 표준편차를 산출하였으며,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Cambré 동작 훈련 후 복직근(상부, 하부)의 근활성도가 증가하였으며, 척추기립근(상부, 중부, 하부), 중둔근의 근활성도는 감소하였고, 대둔근의 근활성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거나 감소하였다. 둘째, Arabésqué 동작 훈련 후 척추기립근(상부, 중부, 하부), 중둔근, 대둔근의 근활성도는 증가하였으며, 복직근(상부, 하부)의 근활성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거나 감소하였다. 이상은 Cambré, Arabésqué의 기능적 훈련이 주동근 활성에 따른 체간 안정화에 영향을 준 결과로 동작 수행의 효율성에 따른 부상 예방, 기교적 향상을 위하여 골반과 척추의 바른 정렬에 기초한 올바른 단위 동작 훈련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Abstract
This study set out to analyze muscle activity according to the functional training of cambré and arabésqué,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ballet movement functional training based on establish a scientific ground for its educational plans. The subjects include nine college students specializing in ballet. They participated in an eight-week training program for cambré and arabésqué with three sessions per week. In the experiment, the subjects were measured in the muscle activity of erector spinae muscles, gluteus medius, gluteus maximus, and muscle rectus abdominis with Ultium ESP, a radio electromyogram equipment with 16 channels.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were obtained in the data with the SPSS 24.0 program. In addition, repeated-measures ANOVA was carried out.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muscle activity of muscle rectus abdominis(upper and lower) increased after cambré training, but that of erector spinae muscles(upper, middle, and lower), gluteus medius decreased after the training, and gluteus maximus no significant differences or decreased after the training.; and secondly, the muscle activity of erector spinae muscles(upper, middle, and lower), gluteus medius, and gluteus maximus increased after arabésqué training, but that of muscle rectus abdominis(upper and lower)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or decreased after the training.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functional training of cambré and arabésqué had impacts on stabilization of the torso according to agonistic muscle activity. The findings raise a need for the functinal training of unit movements based on the right arrangement of the pelvis and spine to prevent injuries and enhance techniques according to the efficiency of movements.
Keywords:
ballet, basic movement, cambré, arabésqué, muscle activity, functional training키워드:
발레, 기본동작, Cambré, Arabésqué, 근활성도, 기능적 훈련References
- 강하나, 송인아, 최성이(2007). 발레 동작의 운동학적 분석 : 파드샤(pas de chat)를 중심으로. 한국무용과학회지, 15, 1-14.
- 권안숙(2004). 발레 동작에서 정성분석의 모형 : 아라베스크 회전 동작 분석. 한국무용과학회지, 8, 1-12.
- 권안숙(2011). 발레 삐루엣 동작 수행정도에 따른 각도, 중심변인 및 근활동 분석, 한국운동역학회지, 21(2), 181-187.
- 권지영, 우병훈(2018). 발레 Pirouette en dehors 동작의 성공과 실패에 따른 운동역학적 차이 분석. 한국스포츠학회지, 16(3), 327-336.
- 김동희, 김인숙(1983). 발레동작의 근전도적 분석(Ⅰ) -arabesque동작을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9, 311-328.
- 김민정, 이경옥(2015). 탄성밴드 사용유무에 따른 발레 아라베스크 동작의 운동 역학적 분석. 한국운동역학회지, 25(3), 265-0274.
- 김상아, 이경옥(2018). 탄성밴드 사용 유무에 따른 골반교정 발레플로어 프로그램이 출산경험이 있는 여성의 골반 및 자세에 미치는 영향. 우리춤과 과학기술, 14(1), 45-67.
- 김수현(2018). 안정한 지지면과 불안정한 지지면에서의 자세에 따른 체간안정화 근육 활성도 비교. 대한통합의학회지, 6(2), 37-44.
- 김은지(2014). 드미 플리에 지도법 및 그 효과에 관한 연구 -골반의 바른자세를 중심으로-. 한국무용교육학회지, 25(1), 149-167.
- 김제민, 김광진(2021). 발레 피루엣(Ballet pirouette) 앙 디올 (En dehors) 동작의 운동학적 순서 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무용과학회지, 38(1), 1-14.
- 김태완, 공세진, 길세기, 박종철, 전호준, 송주호, 이기광, 임영태, 채원식(2013). 근전도 분석. 서울: 한미의학.
- 김채원(2017). 요추 과전만 신체변형이 있는 임신부의 근력강화와 바른 자세를 위한 발레 기본동작 수행연구. 한국무용과학회지, 34(2), 153-165.
- 김현수(2016). 예비여성노인의 발레 바 운동이 균형, 하지 근지구력, 파워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인체육학회지, 3(1), 31-42.
- 문종숙, 이계행(2012). 발레 플로어바 수행이 20대 여성의 건강관련체력과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학회지, 10(2), 413-425.
- 박금란(2007). Plié 동작의 수행 평가척도 개발과 규준지향검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 서수민(2006). 발레 Grand assemble의 동작 분석. 한국무용과학회지, 12, 83-99.
- 심재희, 최성이(2006). 발레 아라베스크 동작 시 숙련도 및 동작유형에 따른 운동학적 분석. 한국무용과학회지, 13, 87-107.
- 염창홍, 박영훈, 서국웅, 양충모(2004). 발레 숙련도에 따른 센터에서 Grand Battement Jete a la seconde 동작의 운동학적 비교 분석, 한국운동역학회지, 14(2), 153-166.
- 이기청(2012). 발레 기초동작 연습이 초등학생의 보행패턴과 지면반력에 미치는 영향. 아시아운동학학술지, 14(1), 1-7.
- 이윤옥(2010). 발레의 에티튜드(Attitude) 동작 시 근활동량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용인대학교 대학원.
- 이주희, 문달콤(2017). 발레프로그램이 일반 여대생의 하지(下肢) 유연성, 근기능 특성 및 형태에 미치는 효과. 우리춤과 과학기술, 13(4), 65-86
- 이진(2012). 발레 Jeté 동작의 도움닫기와 점프구간에서 상해 발생 요인에 대한 생체역학적 분석. 한국운동역학회지, 22(3), 295-304.
- 이진, 서수진(2016). 중년여성의 필라테스 자세에 따른 근활성도와 주관적인 몸의 변화. 한국무용과학회지, 33(4), 109-123.
- 이진, 정익수(2012). 발레 Developpe 수행 시 시뮬레이션을 통한 운동학적 및 근 활성도의 비교 분석. 한국체육과학회지, 21(4), 1403-1414.
- 이진수(2014). 건강한 여성에서 체간 안정화와 복부 근육과의 상관관계.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8(3), 1-8.
- 임수진(2021). 무용역학과 기능학의 통합적 접근 : 파세(Passé)와 르 띠레(Retiré) 동작의 정성적 분석. 무용과 이론, 4, 23-39.
- 임유은(2014). 무용전공에 따른 요부 형태와 요부 근력 비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 장소정(2019). 신체 균형성과 안정성을 위한 발레 기본기(PRS)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생체역학적 분석.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대학원.
- 정은선(2013). 발레무용수의 신체구성, 유연성, 상해 위험과 ACE, ACTN3, CoL5A1 유전자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대학원.
- 정진우(2019). 그림으로 보는 근골격 해부학. 서울: 대학서림.
- 조남규, 오성근(2014). 발레 Pirouette en dehors 동작의 성공과 실패에 따른 운동역학적 차이 분석. 한국체육과학회지, 23(1), 1439-1446.
- 조남규, 오성근(2015). 발레 Fouette en dehors 동작 시 숙련 무용수와 비숙련 무용수의 생체역학적 차이. 한국체육과학회지, 24(1), 1445-1455.
- 조준희(2020). 발레 동작 Grand Battement Devant의 최상수행을 위한 발끝 선속도, 고관절 각속도, 지면반력, 신체중심의 관계 분석. 한국무용과학회지, 37(1), 19-27.
- Akuthota, V. A., & Nadler S. F.(2004). Core Strengthening.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85(3), 86-92. [https://doi.org/10.1053/j.apmr.2003.12.005]
- Alfuth, M., Luetkecosmann, J., & Knicker, A.(2021). Comparison of Plantar Sensitivity, Dynamic Balance, and Lower Extremity Joint Range of Motion Between Experienced Female Ballet Dancers and Female Non-Dancing Athletes: A Cross-Sectional Study. Journal of Dance Medicine & Science, 23(4), 238-248. [https://doi.org/10.12678/1089-313X.121521c]
- Bazarova, N., & Mey, V.(2000). Alphabet of Classical Dance. Hampshire: Dance Books Ltd.
- Clippinger, K. S.(2015). Dance Anatomy and Kinesiology. Champaign: Human Kinetics Publishers.
- Donald, F., Featherstone, A., & Savastano, A.(1974). Dancing without danger.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Sxercise, 6(2), 0-5. [https://doi.org/10.1249/00005768-197400620-00008]
- Filho, R., Silva, L. A., Monteiro, T. L., Alves, N., Carvalho, A. C., & Azevedo, F. M.(2009). Lumbo-pelvic stability and electromyography of abdominal muscles in ballet dancers. Electromyography and Clinical Neurophysiology, 49(8), 377-384.
- Fitt, S. S.(2007). Dance kinesiology. Boston: Thomson Learning.
- Gontijo, K. N. S., Candotti, C. T., Feijo, G. S., Ribeiro, L. P., & Loss, J. F.(2015). Kinematic Evaluation of the Classical Ballet Step “Plié”. Journal of Dance Medicine & Science, 19(2), 70-76. [https://doi.org/10.12678/1089-313X.19.2.70]
- Gatts, S. K., & Woollacott, M. H.(2006). Neural mechanisms underlying balance improvement with short term Tai Chi training. Aging Clinical and Experimental Research, 18(1), 7-19. [https://doi.org/10.1007/BF03324635]
- Gottschalk, F., Kourosh, S., & Leveau, B.(1989). The functional anatomy of the tensor fasciae latae and gluteus medius and minimus. Journal of Anatomy, 166, 179-189.
- Kawano, Y., Lin, C. F., Mayumi, K. M.(2022). Both Upper and Lower Limb Movements Contribute to Aesthetics of the Piqué Arabesque in Ballet. Journal of Dance Medicine & Science, 26(1), 15-24. [https://doi.org/10.12678/1089-313X.031522c]
- Kay, A. G.(2013). An extensive literature review of the lumbar multifidus: anatomy. Journal of Manual & Manipulative Therapy, 82, 102-114. [https://doi.org/10.1179/jmt.2000.8.3.102]
- Miller, H. N., Rice, P. E., Felpel, Z. J., Stirling, A. M., Bengtson, E. N., & Needle, A. R.(2018). Influence of Mirror Feedback and Ankle Joint Laxity on Dynamic Balance in Trained Ballet Dancers. Journal of Dance Medicine & Science, 22(4), 184-191. [https://doi.org/10.12678/1089-313X.22.4.184]
- Neumann, D. A.(2010). Kinesiology of the hip: A focus on muscular actions. Journal of Orthopaedic & Sports Physical Therapy, 40(2), 82-94. [https://doi.org/10.2519/jospt.2010.3025]
- Paskevska, A.(2004). Ballet Beyond Tradition. NewYork: Routledge. [https://doi.org/10.4324/9780203997741]
- Tsanaka, A., Manou, V., & Kellis, Spiros.(2017). Effects of a Modified Ballet Class on Strength and Jumping Ability in College Ballet Dancers. Journal of Dance Medicine & Science, 21(3), 97-101. [https://doi.org/10.12678/1089-313X.21.3.97]
- Vaganova, A.(1969). Basic Principles of Classical Ballet: Russian Ballet Technique(Translated by Anatole Chuojy). New York: Dover Publ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