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Article ]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Vol. 38, No. 3, pp.49-62
ISSN: 1229-7836 (Print) 2713-6949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1 Jul 2021
Received 28 May 2021 Revised 05 Jul 2021 Accepted 19 Jul 2021
DOI: https://doi.org/10.21539/Ksds.2021.38.3.49

한국무용이 노인의 체력 및 운동수행력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정희정* ; 한범석**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체육교육학과 강사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체육교육학과 박사과정 zidane@snu.ac.kr
A Meta-Analysis of Effectiveness on Korean Dance Program to Improve Physical Fitness in the Elderly
Hee Joung Joung* ; Byumsuk Han**
*Lecturer, College of Education,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tudent, College of Education,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CopyrightⒸ 2021 by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무용이 노인들의 체력 및 운동수행력에 미치는 효과성을 분석하여 종합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AMSTAR 11가지 기준을 토대로 2000년 1월부터 2021년 1월까지 국내에 보고된 연구 중 선정기준에 적합한 21편 선행연구를 Comprehensive Meta-Analysis(CMA) version 3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노인 570명을 대상으로 전체효과크기, 평균연령, 프로그램 시간, 빈도, 총 회차수, 근력, 근지구력, 심폐지구력, 순발력, 협응력, 평형성, 유연성, 보행속도, 신체수행력을 변인으로 효과크기를 산출하였고 출판편향과 진단검사를 통해 내적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전체효과크기는 중간 효과크기(0.627)가 나타났고, 한국무용 프로그램에 참여한 노인집단이 비 참여집단에 비해 24.8%이상 체력 및 운동수행력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연령은 75~79세(1.169, 37.7%), 시간은 60분(0.754, 27.3%), 빈도는 주당 3회, 총 36회(0.847, 29.9%)가 다른 변인에 비해 더 큰 효과크기를 보였다. 건강체력에서는 상지유연성(1.347, 40.9%)이, 운동체력에서는 정적균형(눈뜨고)(0.864, 30.5%)이, 운동수행력에서는 신체수행력(1.054, 35.3%)이 다른 변인에 비해 더 큰 효과크기를 보였다. 연구결과를 통해 한국무용이 노인의 체력 및 운동수행력 향상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고, 하위변인별 효과크기 및 프로그램 실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였다. 본 연구는 추후 노인을 위한 한국무용 프로그램 적용을 위한 근거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Korean Dance program for improving Physical Fitness in the Elderly. 21 studies based on 11 criteria of AMSTAR were analyzed using Comprehensive Meta-Analysis (CMA) version 3 among the studies reported in Korea by January 2021. For 570 elderly people, overall effect size, age, program time, frequency, total number of rounds, strength, muscular endurance, cardiopulmonary endurance, flexibility, BMI, power, balance, coordination, walking speed, physical performance were determined through publication bias and diagnostic test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overall effect size was medium (0.627), and the elderly group participating in the Korean Dance program was more than 24.8% more effective in Physical Fitness than the non-participating group. Age 75–79 (1.169, 37.7%), 60minutes (0.754, 27.3%), 3times per week (0.847, 29.9%), upper limb flexibility (1.347, 40.9%), static balance (0.864, 30.5%), physical performance (1.054, 35.3%) was more effective than other variables in each performance.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ed that Korean dance is an effective mediation program to improve the physical strength and athletic performance of the elderly, and provided the effect size and comprehensive information for each variable through comparison and analysis. Therefore, our findings suggest considering Korean Dance Program to improve physical fitness as a basic strategies for the elderly.

Keywords:

Korean Dance,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Skill-Related Fitness, Exercise Performance, Meta-Analysis

키워드:

한국무용, 노인, 건강체력, 운동체력, 운동수행력, 메타분석

References

  • ※ 별표(*)로 표시된 연구는 메타분석에 포함되었음.
  • 고선숙(2011). 노인건강증진을 위한 무용프로그램 현황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 김대훈(2008). 운동프로그램이 심리적 기능에 미치는 효과: 메타분석. 한국체육과학회지, 17(4), 339-352.
  • * 김성옥(2009). 한국무용 참여가 여성노인의 기능체력과 혈중지질 및 노화관련 호르몬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 김영욱, 오수학(2017). 노인의 규칙적인 운동참여가 신체조성과 체력에 미치는 효과의 메타 분석적 접근. 한국체육학회지, 56(1), 753-769.
  • 김종희, 차은주(2019). 노인 건강관련 무용프로그램의 현황 및 내용분석. 한국스포츠학회, 17(4), 593-609.
  • * 민병주(2010). 12주간의 한국무용 프로그램이 여성노인의 신체조성 체력 혈중지질 성장호르몬 뇌혈류 및 신경전달물질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 박소연, 신인수(2011). 국내 노인을 대상으로 한 낙상예방 운동프로그램이 근력증가에 미치는 효과: 메타분석.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18(3), 38-38.
  • 박양선, 장지영(2015). 한국무용 팔허리감기 동작 시 호흡 사용 유무에 따른 상지의 운동학적 분석. 한국리듬운동학회지, 18(2), 17-24.
  • * 박의영(2007). 한국무용이 노인여성의 건강체력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스포츠산업대학원석사학위.
  • * 박정희(2008). 전통무용을 이용한 노인체조를 통한 노인체력의 변화. 한국사회체육학회지, 32(1), 683-696.
  • * 박정희, 위성식(2008). 한국무용을 이용한 노인체조가 노인여성의 체구성 및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34(1), 763-774.
  • * 박하늬, 소위영, 서상훈(2014). 12 주간의 한국무용 참여가 여성 노인의 기능체력과 대사증후군 위험인자에 미치는 효과. 한국체육과학회지, 23(1), 1295-1307.
  • 배주옥(2013). 운동유형에 따른 여성노인의 근력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무용연구, 31(2), 57-75.
  • 서민수, 김영욱, 최지아(2020). 노인 낙상 관련 요인에 대한 운동중재 효과의 메타분석. 중앙대학교 학교체육연구소, 8(4), 87-100.
  • * 신원태, 권오석(2018). 노인여성의 한국무용 참여가 노인체력과 대사증후군 위험요인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연구, 36(2), 151-169.
  • 안병주, 배수을, 김수진(2008). 노인 대상 무용 강좌 현황과 시사점. 무용예술학연구, 25(25), 143-160.
  • * 안주연(2019). 한국무용 다감각 훈련이 여성노인의 수평시야, 체력, 자세, 보행, 낙상효능감, 우울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 유수정(2017). 12 주간 한국무용에 기반한 낙상예방 프로그램 참여가 노인의 균형감각, 보행기능, 낙상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 * 유지영(2017). 균형훈련 매트를 활용한 한국 전통춤 참여가 노인의 동적균형 및 보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연구, 35(1), 23-46.
  • * 유정숙(2010). 한국무용 참가가 노인의 운동능력과 웰니스에 미치는 영향. 운동학 학술지, 12(2), 33-43.
  • 윤혜선, 이연정(2018). 노인 대상 한국춤 프로그램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 한국무용과학회지, 35(2), 35-49.
  • 이경옥, 손소영(2000). 한국무용 무릎굴신동작의 근전도 분석. 한국무용교육학회, 11(1), 153-168.
  • * 이경호(2010). 한국무용의 균형 잡기 동작 프로그램이 노인여성들의 하지근지구력, 유연성 및 평형성에 미치는 영향. 무용예술학연구, 29(29), 47-64.
  • * 이숙경(2009). 한국무용이 양로시설 여성노인의 신체기능과 정신건강에 미치는 효과.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조선대학교 대학원.
  • 이윤구, 오윤선, 권재윤(2018). 노인의 무용 프로그램 참여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체육학회지, 57(3):293-305.
  • 이윤구, 곽민석, 이소미(2020). 노인의 인지기능 향상을 위한 무용의 역할: 메타분석적 접근. 한국체육학회지, 59(1):287-95.
  • 이현정, 김애정(2020). 노인의 근감소증에 운동요법, 영양요법 및 건강교육 관련 중재요법이 미친 효과크기의 메타분석. 노인복지연구, 75(1), 65-97.
  • * 임지유(2019) 한국무용과 요가 복합운동이 여성노인의 노화관련체력과 노화호르몬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창원대학교 대학원.
  • * 전찬복, 정상열, 조강옥(2013). 한국무용의 참여가 여성노인의 대사증후군 위험인자, 염증반응인자 및 노인활동체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33(3), 551-561.
  • 정승혜, 안병주(2011). 노인종합복지관 한국무용 프로그램 참여자의 참여특성 및 참여 만족도 관계연구. 한국체육과학회지, 20(6), 995-1006.
  • * 정진욱, 김수미(2011). 12 주 한국무용프로그램이 당뇨 노인여성의 신체조성, 체력, 혈액성분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연구, 29(1), 259-280.
  • 정희정, 김기태(2020). 한국무용의 3 단 디딤보행과 일반보행의 운동역학적 비교 분석. 한국체육학회지, 59(5), 323-332.
  • 황필하, 윤성덕, 신철호, 박기덕(2019). 3 디딤새 보법 운동이 고령여성의 족저압 및 노인체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성체육학회지, 33(1), 89-104.
  • 한지영, 오율자(2017). 무용이 노인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효과–메타분석. 대한무용학회논문집, 75(4), 138-162.
  • * 홍예주, 구광수, 오덕자(2008). 12 주간 한국무용 참여가 노인여성의 간단신체수행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성체육학회지, 22(4), 27-37.
  • * 홍예주, 박인영, & 오덕자. (2011). 12 주간 한국무용 참여가 여성노인의 신체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기록학회지, 23, 199-221.
  • * 홍예주. (2015). 한국무용이 비만여성노인의 비만관련 변인과 심폐기능에 미치는 효과. 한국무용과학회지, 32(2), 103-114.
  • * 홍예주. (2016). 성공적 노화를 위한 노인여성의 체력변인과 유산소능력에 미치는 한국무용의 효과. 한국무용과학회지, 33(1), 117-127.
  •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2013). ACSM's exercise for older adults. P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 Borenstein, M., Hedges, L. V., Higgins, J. P., & Rothstein, H. R. (2011). Introduction to meta-analysis. NJ: John Wiley & Sons.
  • Cohen. J. (1988). Sta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 (2nd ed.). Hillsdale, NJ : Lawrence Erlbaum.
  • Cooper, H. M. (2010). Research synthesis and meta-analysis: A step by step approach (4th ed.). Thousand Oaks, CA: Sage.
  • Duval, S., & Tweedie, R. (2000). Trim and fill: A simple funnel-plot-based method of testing and adjusting for publication bias in meta-analysis. Biometrics, 56, 45-46. [https://doi.org/10.1111/j.0006-341X.2000.00455.x]
  • Granacher, U., Muehlbaue, T., Zahner, L., Gollhofer, A., & Kressig, R. W. (2011). Comparison of traditional and recent approaches in the promotion of balance and strength in older adults. Sports medicine, 41(5), 377-400. [https://doi.org/10.2165/11539920-000000000-00000]
  • Hedges, L. V. (1980). Unbiased estimation of effect size, evaluation in education. Evaluation in Education, 4, 25-27. [https://doi.org/10.1016/0191-765X(80)90005-1]
  • Hewston, P., Kennedy, C.C., Borhan, S., Merom, D., Santaguida, P., Ioannidis, G., Marr, S., Santesso, N., Thabane, L., Bray, S., & Papaioannou, A. (2020). Effects of dance on cognitive function in older adult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Age and Ageing, 50(4), 1084-1092. [https://doi.org/10.1093/ageing/afaa270]
  • Hwang, P. W. N., & Braun, K. L. (2015). The effectiveness of dance interventions to improve older adults’ health: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lternative therapies in health and medicine, 21(5), 64.
  • Inoue, W., Ikezoe, T., Tsuboyama, T., Sato, I., Malinowska, K. B., Kawaguchi, T., Tabara Y, Nakayama T, Matsuda, & F, Ichihashi, N. (2017). Are there different factors affecting walking speed and gait cycle variability between men and women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Aging Clinical and Experimental Research, 29(2), 215-221. [https://doi.org/10.1007/s40520-016-0568-8]
  • Islam, M. M., Takeshima, N., Rogers, M. E., Koizumi, D., & Rogers, N. L. (2004). Relationship between Balance, Functional Fitness, and Daily Physical Activity in Older Adults. Asian Journal of Exercise & Sports Science, 1(1), 9-18.
  • Koch, S. C., Riege, R. F., Tisborn, K., Biondo, J., Martin, L., & Beelmann, A. (2019). Effects of dance movement therapy and dance on health-related psychological outcomes. A meta-analysis update. The Arts in Psychotherapy, 41(1), 46-64. [https://doi.org/10.1016/j.aip.2013.10.004]
  • Keogh, J. W., Kilding, A., Pidgeon, P., Ashley, L., & Gillis, D. (2009). Physical benefits of dancing for healthy older adults: a review. Journal of aging and physical activity, 17(4), 479-500. [https://doi.org/10.1123/japa.17.4.479]
  • Lesinski, M., Hortobágyi, T., Muehlbauer, T., Gollhofer, A., & Granacher, U. (2015). Effects of balance training on balance performance in healthy older adult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Sports medicine, 45(12), 1721-1738. [https://doi.org/10.1007/s40279-015-0375-y]
  • Liu, X., Shen, P. L., & Tsai, Y. S. (2020). Dance intervention effects on physical function in healthy older adult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Aging clinical and experimental research, 1-11. [https://doi.org/10.1007/s40520-019-01440-y]
  • Olivares, P. R., Gusi, N., Prieto, J., & Hernandez-Mocholi, M. A. (2011). Fitnes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dimensions in community-dwelling middle aged and older adults. Health and quality of life outcomes, 9(1), 1-9. [https://doi.org/10.1186/1477-7525-9-117]
  • Rosenthal, R. (1979). The file drawer problem and tolerance for null results. Psychological bulletin, 86(3), 638. [https://doi.org/10.1037/0033-2909.86.3.638]
  • Shea, B. J., Hamel, C., Wells, G. A., Bouter, L. M., Kristjansson, E., Grimshaw, J., Henry, D. A., & Boers, M. (2009). AMSTAR is a reliable and valid measurement tool to assess the methodological quality of systematic reviews. Journal of Clinical Epidemiology, 62(10), 1013-1020. [https://doi.org/10.1016/j.jclinepi.2008.10.009]
  • Wennie Huang, W. N., Perera, S., VanSwearingen, J., & Studenski, S. (2010). Performance measures predict onset of activity of daily living difficulty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58(5), 844-852. [https://doi.org/10.1111/j.1532-5415.2010.02820.x]
  • Yan, A. F., Cobley, S., Chan, C., Pappas, E., Nicholson, L. L., Ward, R. E., Murdoch, R. E., Trevor, B. L., Vassallo, A. J., Wewege, M. A., & Hiller, C. E. (2018). The effectiveness of dance interventions on physical health outcomes compared to other forms of physical activit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Sports Medicine, 48(4), 933-951. [https://doi.org/10.1007/s40279-017-0853-5]
  • Van Abbema, R., De Greef, M., Crajé, C., Krijnen, W., Hobbelen, H., & Van Der Schans, C. (2015). What type, or combination of exercise can improve preferred gait speed in older adults? A meta-analysis. BMC geriatrics, 15(1), 1-16. [https://doi.org/10.1186/s12877-015-006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