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Article ]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Vol. 38, No. 2, pp.1-12
ISSN: 1229-7836 (Print) 2713-6949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0 Apr 2021
Received 04 Mar 2021 Revised 30 Mar 2021 Accepted 13 Apr 2021
DOI: https://doi.org/10.21539/Ksds.2021.38.2.1

영유아 무용교육 가이드라인 개발을 위한 무용교육표준 분석: SLTDA와 NCAS를 중심으로

홍애령* ; 이소미**
*상명대학교 글로벌문화예술교육연구소 전임연구교수 dphong@smu.ac.kr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체육교육과 부교수, 교신저자 leessom@smu.ac.kr
Analysis of Dance Education Standards for the Development of Guidelines for Dance in Early Childhood: Focused on SLTDA and NCAS
Aeryung Hong* ; Somi Lee**
*Research Professor, Global Research Institute for Arts and Culture, Sangmyung University
**Professor,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Sangmyung University


CopyrightⒸ 2021 by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초록

이 연구는 영유아 무용교육표준의 영역, 내용을 분석하고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여 한국형 영유아 무용교육 가이드라인의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파악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미국의 국립무용교육기구(NDEO)가 고시하고 있는 2005 무용교육표준(2005 Standards for Learning and Teaching Dance in the Arts, SLTDA)과 2014 국가핵심예술표준(2014 National Core Arts Standards in Dance, NCAS)에 포함된 영유아 무용교육(Dance in Early Childhood, Pre K, Kindergarten)의 영역 및 내용을 분석하고 유아무용교육 전문가 5인과의 FGI를 실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두개의 표준은 공통적으로 창작(Creating), 공연(Performing), 반응(Responding), 연계(Connecting)의 4가지 과정으로 구성되었고, 각 연령대에서 학생들의 신체적, 인지적, 심리적 수준과 능력을 고려하여 발달적으로 적합한 무용교육의 내용을 담고 있었다. 교육내용은 모든 무용 장르와 스타일에 적용이 가능하도록 제시하고, 다양한 감각적 자극(음악, 소리, 시각, 촉각)에 움직임으로 반응하기, 기초 이동 움직임, 비이동 움직임 탐구와 하나 이상의 무용 요소로 변화시키기가 포함되어 있었다. 둘째, 가이드라인 개발을 위한 시사점으로 영유아 무용교육의 발달단계별 세분화, 다양화 및 연계성의 고려, 기존 교육표준에 대한 적합성 검토, 가이드라인 수요자 대상의 교보재 개발, 안전하고 다양한 수업 환경의 고려가 제안되었다. 이상의 내용을 고려할 때 영유아 시기의 발달단계별 특성을 상세히 목록화 하고 이를 근거로 무용교수학습과정에서 핵심적인 목표, 내용과 방법에 대해 구체화하는 작업이 요청된다. 또한 누리과정 등 국내 교육체계의 특성을 반영하여, 영유아 발달단계에 따라 움직임과 놀이를 숙지하고 무용을 지도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의 제공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urriculum, area, and contents of the existing early childhood dance education standards and to identify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style guidelines for dance in early childhood. For this study, the contents of early childhood dance education included in the 2005 Dance Education Standards and the 2014 National Core Arts Standards announced by the National Dance Education Organization of the United States (NDEO) were analyzed and FGI was conducted with five experts in early childhood dance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wo standards consist of four common processes: creating, performing, responding, and connecting, which include developmentally appropriate dance education considering students' physical, cognitive, and psychological levels and abilities at each age group. Educational content is suggested to be applicable to all dance genres and styles, and includes responding to various sensory stimuli (music, sound, vision, and touch), exploring basic locomotor movements, non-locomotor movements, and transforming them into one or more dance elements. Second, as implications for guideline development, segmentation, diversification and linkage of early childhood dance education by stage, suitability review of existing educational standards,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for guideline consumers, and consideration of safe and diverse classroom environments were proposed. Considering the above, it is requested to list in detail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velopmental stage of the early childhood period and to specify key goals, contents and methods in the teaching learning process based on thi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guidelines were needed to be provided to guide infants while familiarizing themselves with movements and play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stage of early childhood,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domestic education system, such as Nuri Curriculum.

Keywords:

early childhood, dance education, education standards, SLTDA, NCAS

키워드:

영유아, 무용교육, 교육표준

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2020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20S1A5B8104241, NRF-2020S1A5A8045870)

References

  • 강소연(2019). 유아의 감성지능(EQ) 발달을 위한 한국무용 교육 프로그램 개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 교육부 보도자료(2019). 2019 개정 누리과정 확정·발표. 세종: 교육부.
  • 김지영, 홍애령(2019a). 무용교육학(Dance Pedagogy)의 학문적 정체성 탐색: 시계열 관점의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디지털융복합연구, 17(9), 439-450.
  • 김지영, 홍애령(2019b). 미래 학교무용교육을 위한 정책 제도의 쟁점과 발전 전략.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26(4), 163-184.
  • 윤혜선, 김예진(2016). 국내 유아 대상 통합적 예술교육 프로그램에서 무용의 적용에 관한 연구동향. 한국무용과학회지, 33(4), 17-32.
  • 윤혜선, 김예진(2018). 무용전공자가 경험한 유아무용지도 과정의 난점 분석을 통한 개선 방향 탐색. 한국무용과학회지, 35(4), 43-60.
  • 이윤구, 이소미(2020). 유아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신체활동의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 175-188.
  • 이정미(2007). 발달에 적합한 실제에 대한 보육교사의 신념과 교사-영아 상호작용간의 관계.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덕성여자대학교.
  • 임동호, 이소미(2018). 시각자극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체육활동에 따른 유아의 운동능력과 주의 집중력의 차이. 디지털융복합연구, 16(2), 415-420.
  • 정영님(2007). 생태 유아교육에 대한 학부모 인식 및 자연물을 이용한 생태 유아 프로그램.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 정재임(2019). 유아의 댄스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LMA 무용교육 프로그램 개발.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 정주희, 윤혜선, 김예진(2016). 유아 무용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한국무용과학회지, 33(1), 35-54.
  • 채규남(2010). 동화극놀이를 활용한 유아무용교육 프로그램 개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 최경근, 이소미, 권재윤(2020). 영유아의 문화예술교육 동향과 프로그램 보급을 위한 정책 추진 과제. 한국체육과학회지, 29(3), 371-380.
  • 홍애령(2017). 초등 무용교육자의 정체성과 수업 전문성에 관한 이론적 고찰. 한국초등체육학회지, 22(4), 107-118.
  • 홍애령(2019a). 초중등학교 체육교사의 표현활동 인식과 표현활동 교수전문성의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예술연구, (23), 75-99.
  • 홍애령(2019b).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영유아 무용교육의 연구동향 및 과제 탐색. 우리춤과 과학기술, 47, 9-27.
  • 홍애령(2020). 한국 무용교육의 역사적 흐름과 영역의 재검토: 교육무용 지향에서 큰 무용교육 지향으로.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27(4), 121-139.
  • 홍애령, 김종희(2020). 2019 개정 누리과정 분석을 통한 유아・놀이중심 무용교육 프로그램의 개념틀 연구. 한국예술연구, (27), 343-365.
  • Ailwood, J. (2003). Govern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through play. Contemporary Issues in Early Childhood, 4(3), 286-299. [https://doi.org/10.2304/ciec.2003.4.3.5]
  • Faber, R. (2017). Dance and early childhood cognition: The Isadora effect. Arts Education Policy Review, 118(3), 172-182. [https://doi.org/10.1080/10632913.2016.1245166]
  • Gestwicki, C. (1995).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 Curriculum and development in early education. Albany, New York: Delmar Publishers.
  • Green Gilbert, A., & Smith, H. P. (1992). Creative dance for all ages: A conceptual approach. Reston, VA: American Alliance for Health, Physical Education, Recreation and Dance.
  • National Dance Education Organization(2005). Standards for dance in early childhood. Bethesda, MD: National Dance Education Organization.
  • NDEO 홈페이지. www.ndeo.org
  • Rakimahwati, R. (2014). Character development through dance learning in an early childhood setting. Indonesi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Studies, 3(2), 102-107.
  • Wulandari, H., Agustin, M., Narawati, T., & Masunah, J. (2019, February). Learning model of creative dance for early childhood. In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rts and Design Education (ICADE 2018) (pp. 188-191). Atlantis Press. [https://doi.org/10.2991/icade-18.2019.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