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Article ]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 Vol. 37, No. 2, pp.105-115
ISSN: 1229-7836 (Print) 2713-6949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0 Apr 2020
Received 25 Feb 2020 Revised 09 Apr 2020 Accepted 09 Apr 2020
DOI: https://doi.org/10.21539/Ksds.2020.37.2.105

전문 무용예술 지원을 위한 예술지원사업 현황 및 주요 현안

고신영* ; 김운미**
*한양대학교 예술체육대학 무용학과 박사과정 ksy007816@naver.com
**한양대학교 예술체육대학 무용학과 교수, 교신저자 kimunmi@hanyang.ac.kr
Current Status and Issues of Art Support Programs for Professional Dance
Sinyoung Ko* ; Unmi Kim**
*Ph.D. in Dance, Hanyang University ksy007816@naver.com
**Professor of Dance Department of Hanyang University kimunmi@hanyang.ac.kr


CopyrightⒸ 2020 by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초록

본 연구는 각 전문 무용예술 지원 기관의 정책현황과 주요 현안을 살펴보고, 무용예술에서 발전확대가 될 수 있는 방향들을 어떠한 관점으로 접근해 보는지에 대한 목적을 가지고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지원사업의 대상에 대한 구체적인 기준이 정해져야 한다. 두 번째, 전통예술에 대한 지원사업의 확대가 필요하다. 세 번째, 지역별 지원기금의 균형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네 번째, 중복 지원되는 사업들을 재정비하고 개선하여 새로운 지원사업을 고안하거나 다양화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 다섯 번째, 사업선정단체의 지속적인 관리와 성과보고를 공유, 신뢰도와 투명도를 증진시켜야 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전문무용예술을 위한 수준 높은 예술 창출을 위한 정책개선과 문화예술향유권 확립을 위한 지원에 있어서 중립과 함께 지원사업의 분배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한국문화예술위원회를 비롯한 국공립, 민간지원 기관들의 자율성과 독립성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기 위한 제도적 개선과 혁신의제 구현을 위한 구체적인 실행노력도 필요할 것이다.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current policy and major issues of organizations that support the field of dance and to understand what approaches are considered to expand and develop the basis of professional dance. As a result, the study identifi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specific criteria for selecting beneficiaries should be determined. Second, support for traditional art projects should be expanded. Third, support funds should be balanced regionally. Fourth, projects that are receiving support through more than one channel should be rearranged and new projects should be devised or diversified. Fifth, the credibility and transparency of projects should be promoted through continuous management and reporting of beneficiaries. This research identified a strong need to further improve the policy for promoting high-standard art production for professional dance. In addition, acknowledging that arts in closer relation to everyday life are being emphasized to expand the basis for culture and art enjoyment, it is important to fairly distribute support across different sectors including classical dance. Prior to this, there need to be institutional improvements toward ensuring the autonomy and independence of public and private organizations, including the Arts Council Korea, and concrete efforts to implement innovative agendas.

Keywords:

professional dance, dance art support, art support program, arts and culture policy

키워드:

전문무용, 무용예술지원, 예술지원사업, 문화예술정책

References

  • 경기문화재단 홈페이지 www.ggcf.kr, .
  • 김운미(2017). 4차 산업시대 한국춤의 글로벌 확산 전략 소고. 우리춤과 과학기술, 39, 9-40.
  • 김정수(2008). 문화예술 공적 지원에 대한 검토와 재성찰. 문화정책논총, 20, 163-191.
  • 김지영, 김형남, 윤정은(2015). 문화예술정책의 맥락에서 ‘일상생활 속 무용의 확산’: 문화 복지를 실현하기 위한 무용융성의 방안 모색. 한국체육학회지, 54(5), 691–703.
  • 뉴시스(2019. 02. 11.). 우리나라 국민 문화예술 관람률 15년만에 80%대 진입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3&aid=0009053642, .
  • 문화체육관광부 www.mcst.go.kr, .
  • 미디어SR(2019. 04. 05.). 예술인 72.7% 월수입 100만원 미만. http://www.mediasr.co.kr/news/articleView.html?idxno=52005, .
  • 매일노동뉴스(2019. 04. 26.). “예술인도 노동자다”. http://www.labor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58096, .
  • 박지예, 오유진, 최정민, 민윤지(2016). 한국 전통무용예술의 활성화를 위한 정책수립에 관한 연구. 문화산업연구, 16(3), 117–127.
  • 박현숙, 김태영(2015). 문화예술기관의 재정력에 미치는 영향요인연구: 지역문화재단을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 동계학술발표 논문집, 2015(0), 390-415.
  • 서울문화재단 홈페이지 www.sfac.or.kr, .
  • 양혜원(2019). 예술과 예술인의 가치를 존중하는 예술정책. 한국문화관광연구원 토론회 자료집 ‘일상에서 만나는 문화, 문화·체육·관광·문화재 분야 정책성과와 과제’. pp. 9-88.
  • 예술경영지원센터 홈페이지. www.gokams.or.kr
  • 우혜영(2011). 무용예술 집중 육성을 위한 지원 정책의 뉴 거버넌스(New Governance) 모형.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 이데일리 뉴스(2019. 09. 21.). [현장에서] 첫 걸음 뗀 무용저작권 논의, 결과로 이어져야. https://news.v.daum.net/v/20190921061008750, .
  • 이용복(2019).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창작공연 직접지원제도 현황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동국대학교 대학원.
  • 이주희(2017). 한국 문화예술지원 유형에 따른 무용공연예술의 발전방안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 인천문화재단 홈페이지 www.ifac.or.kr, .
  • 정지영(2017). 지방자치에 따른 창작활동 참여를 위한 지역 행정지원의 사적고찰 : 경기문화재단을 중심으로. 한국질서경제학회, 20(1), 45–63.
  • 차은주, 김종희(2018). 전략적 사고를 적용한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 분석, 문화예술교육연구. 13(2), 21–46.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홈페이지 www.arko.or.kr, .
  • 홍성민(2004). 피에르 부르디외와 한국사회: 이론과 현실의 비교정치학. 서울:살림.
  • 현주, 안지호(2011). 문화정책과 국립무용단 작품 경향에 관한 연구. 대한무용학회논문집, 67, 231–252.
  • 황혜영(2012). 국공립 문화예술단체의 문화향유권 확대 방안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